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공포와 불안의 심리학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Diel, Paul, 1893-1972 김성민, 金星民, 1952-, 역
Title Statement
공포와 불안의 심리학 / 폴 디엘 지음 ; 김성민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과천 :   달을긷는우물,   2023  
Physical Medium
232 p. ; 23 cm
Varied Title
La peur et l'angoisse : phénomène central de la vie et de son évolution
ISBN
9791191335040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Fear Anxiet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7241
005 20230421132301
007 ta
008 230420s2023 ggk 000c kor
020 ▼a 9791191335040 ▼g 03180
035 ▼a (KERIS)BIB000016698072
040 ▼a 211027 ▼c 211027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152.4/6 ▼2 23
085 ▼a 152.46 ▼2 DDCK
090 ▼a 152.46 ▼b 2023z1
100 1 ▼a Diel, Paul, ▼d 1893-1972
245 1 0 ▼a 공포와 불안의 심리학 / ▼d 폴 디엘 지음 ; ▼e 김성민 옮김
246 1 9 ▼a La peur et l'angoisse : ▼b phénomène central de la vie et de son évolution
246 3 9 ▼a Peur et l'angoisse
260 ▼a 과천 : ▼b 달을긷는우물, ▼c 2023
300 ▼a 232 p. ; ▼c 23 cm
650 0 ▼a Fear
650 0 ▼a Anxiety
700 1 ▼a 김성민, ▼g 金星民, ▼d 1952-, ▼e▼0 AUTH(211009)107428
900 1 0 ▼a 디엘, 폴,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46 2023z1 Accession No. 1118797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프랑스의 심리학자 폴 디엘은 이 책에서 인간의 공포와 불안을 생물학, 천문학, 인류학, 종교학의 연구 결과들과 함께 진화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새로운 형이상학을 전개하여 의미를 찾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하려고 한다.

그는 다른 동물들은 단세포생물로부터 유인원에 이르기까지 외부의 자극 때문에 생기는 흥분을 반사 행동을 통하여 해소시켰지만 인간의 수준에 이르러서는 단순한 반사(reflexe)에 머무르지 않고 반성(reflexion)을 통하여 좀 더 정교하게 반응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인간이 진화과정에서 생각(esprit)이 생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엘은 인간에게는 욕구를 즉각적으로 충족시키려고 하지 않고, 반성을 통하여 다른 욕망들과 조화를 이룬 가운데서 충족시키려는 성향이 있으며, 그것이 인간의 본질적 욕망이라고 주장하였다. 내면세계에서 비롯되거나 외부세계의 자극 때문에 생긴 본능적 욕구를 좀 더 정신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려고 하며, 그때 삶의 본질적인 기쁨을 맛본다고 하였다.

프랑스의 심리학자 폴 디엘은 이 책에서 인간의 공포와 불안을 생물학, 천문학, 인류학, 종교학의 연구 결과들과 함께 진화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새로운 형이상학을 전개하여 의미를 찾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하려고 한다. 그는 다른 동물들은 단세포생물로부터 유인원에 이르기까지 외부의 자극 때문에 생기는 흥분을 반사 행동을 통하여 해소시켰지만 인간의 수준에 이르러서는 단순한 반사(reflexe)에 머무르지 않고 반성(reflexion)을 통하여 좀 더 정교하게 반응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인간이 진화과정에서 생각(esprit)이 생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엘은 인간에게는 욕구를 즉각적으로 충족시키려고 하지 않고, 반성을 통하여 다른 욕망들과 조화를 이룬 가운데서 충족시키려는 성향이 있으며, 그것이 인간의 본질적 욕망이라고 주장하였다. 내면세계에서 비롯되거나 외부세계의 자극 때문에 생긴 본능적 욕구를 좀 더 정신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려고 하며, 그때 삶의 본질적인 기쁨을 맛본다고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인간의 공포와 불안이라는 감정을 다룬 디엘의 심리학 서적은 심리학만 말하지 않고, 형이상학을 다룬 철학 서적 같기도 하다. 그러나 철학 서적처럼 딱딱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그래서 디엘을 후원했던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디엘의 이런 생각을 가리켜서 새로운 형이상학으로서 의미를 찾아서 고뇌하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빛을 던져 주는 것이라고 극찬하였다. 아무쪼록 디엘의 사상이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인도자-이상(ideal-guide)이 되었으면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폴 디엘(지은이)

프랑스의 철학자, 심리학자. 프랑스 국립중앙과학연구소 아동정신-생물학실험실 치료사. 프랑스 동기부여의 심리학회 설립. 동기부여의 심리학 교육연구원 설립. A. 아인슈타인은 그에게 “나는 당신 생각의 힘과 결과에 대해서 찬탄합니다. 당신의 저서는 병리적인 현상들과 기초적인 생물학적 현상들을 포함하여 인간 정신의 삶 전체를 나의 눈앞에 가져와서 살펴보게 한 첫 번째 작품입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삶의 의미에 대한 통합적인 관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라고 격찬. 저서: 『신』, 『동기부여의 심리학』, 『상징과 성서』, 『두려움과 불안』, 『요한복음과 상징』, 『그리스 신화의 상징성』, 『두려움과 불안』, 『교육과 재교육』 등.

김성민(옮긴이)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II 대학교 졸업(Dr. de Theol). 협성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융연구원 상임교수. IAAP(국제분석심리학회) 정회원, C.G. 융학파정신분석가. 한국융분석가협회 전이사장. 월정분석심리학연구소장. 저 서 : 『분석심리학과 종교』, 『분석심리학과기독교』, 『분석심리학과 기독교신비주의』(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종교체험』, 『칼 융의 ‘심리학과 종교’ 읽기』, 『생명과 치유, 그리고 그리스도』, 『기독교영성의 추구와 분석심리학』(2020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신의 황혼의 시대와 새로운 신의 추구: 영지주의와 분석심리학』 등.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5
서문 12
서언 14
제1부 고전 심리학과 내적 성찰의 심리학에서의 불안
제1장/ 정신내적 불안과 역동성 23
불안의 원천 23
정신내적 불안과 방법론적 연구 26
제2장/ 고전 심리학에서의 불안 44
리보의 불안 45
뒤마와 쟈네의 불안 64
정신분석학에서의 불안 76
제3장/ 생명과학의 기반 89
기계론과 목적론 89
초월과 실존 91
사고의 방법론적 기초에 대한 연구 102
데카르트적 인식으로부터 내적 성찰의 심리학으로 107
방법론적 결론 115
제2부 불안과 진화
제1장/ 발달의 형태와 불안 125
흥분성 125
자극하는 것과 자극 받는 것 125
유보 139
제2장/ 인간의 불안 150
인간의 정신체계의 구조 150
상상력과 인식 150
의지와 사고 151
의식적인 삶 152
의식과 초-의식 154
제3장/ 불안과 불안의 초-의식적 변환 169
상상력에 의한 도피 177
병적 고뇌와 명료한 공격 184
제4장/ 죄책으로 인한 불안과 윤리적 해방 190
죄책으로 인한 불안의 억압은 본질적 패배이다 195
도덕은 쾌락의 경제학이다 198
책임성 202
내적성찰의 방법 204
가치의 내재성 214
제5장/ 죽음에 대한 불안 22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