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대한민국 헌법전사 : 우리 눈으로 꼼꼼히 살펴본 헌법 제정을 위한 치열한 여정

대한민국 헌법전사 : 우리 눈으로 꼼꼼히 살펴본 헌법 제정을 위한 치열한 여정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허완중, 許完重, 1973-
서명 / 저자사항
대한민국 헌법전사 : 우리 눈으로 꼼꼼히 살펴본 헌법 제정을 위한 치열한 여정 / 허완중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솔과학,   2023  
형태사항
576 p. ; 23 cm
기타표제
憲法
ISBN
9791192404288
서지주기
참고문헌: p. 563-57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7069
005 20230418145030
007 ta
008 230417s2023 ulk b 000c kor
020 ▼a 9791192404288 ▼g 93360
035 ▼a (KERIS)BIB000016670877
040 ▼a 247017 ▼c 247017 ▼d 211009
082 0 4 ▼a 342.519029 ▼2 23
085 ▼a 342.53029 ▼2 DDCK
090 ▼a 342.53029 ▼b 2023
100 1 ▼a 허완중, ▼g 許完重, ▼d 1973- ▼0 AUTH(211009)103592
245 1 0 ▼a 대한민국 헌법전사 : ▼b 우리 눈으로 꼼꼼히 살펴본 헌법 제정을 위한 치열한 여정 / ▼d 허완중 지음
246 1 3 ▼a 憲法
260 ▼a 서울 : ▼b 솔과학, ▼c 2023
300 ▼a 57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563-576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29 2023 등록번호 1118795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에는,
언제나 변함없이 도도히 흐르는 역사의 강물에
대한민국 헌법전사의 체계를 세운다는 작은 돛단배 하나 띄워 웃을 수 있길 바라는
저자의 바람이 오롯이 녹아있다.

이 책은 대한민국 헌법전사의 체계를 세우는 데 집중하였다.

특히 대한민국 헌법사의 주인공인 아람(民)이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어떻게 대한민국을 세우고 나라의 주인이 되었는지에 주목하려고 한다.

즉 아람(民)의 관점에서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만들기까지의 다양한 시도와 노력의 흔적을 차근차근 더듬어 가려고 한다. 다만.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수긍할 수 있는 체계를 세우기도 쉬운 일이 아닐 뿐 아니라 체계를 세워야만 이후 미시적인 연구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헌법은 물론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도 우리 스스로 만들었다.
특히 1919년 4월 11일 제정된 대한민국 임시헌장은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권력을 분립한 명백한 근대적 의미의 헌법이다. 게다가 대한민국 임시헌장은 세계 최초로 민주공화국을 규정하였다.

따라서 우리가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어떻게 왜 만들었는지를 밝힐 필요성이 생긴다.
특히 전제군주국인 대한제국이 1910년 8월 29일 일제에 강점되고 나서 채 10년이 되지 않아서 군주제를 부정하는 공화국원리에 기초한 헌법을 어떻게 만들 수 있었을까?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여정이 헌법전사 연구이다.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만들기 위한 치열한 투쟁의 역사가 대한민국 헌법전사이다.

대한민국 헌법전사를 연구하면 할수록 놀라움의 연속이다. 근래 우리가 이룩한 촛불혁명과 한류열풍이 절대 우연이 아니라 위대한 역사의 결과물임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더 많은 사람, 아니 모든 대한국민과 한민족이 알기를 바란다.

흔히 헌법학을 포함한 대한민국 법학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대륙법학을 수용한 계수법학이라고 한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 헌법사를 서술할 때 서양의 헌법사부터 시작하는 것이 당연시된다. 그런데 대한민국 헌법은 물론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도 우리 스스로 만들었다. 특히 1919년 4월 11일 제정된 대한민국 임시헌장은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권력을 분립한 명백한 근대적 의미의 헌법이다. 게다가 대한민국 임시헌장은 세계 최초로 민주공화국을 규정하였다. 대한민국 임시헌장에 영향을 준 외국의 헌법문서나 헌법이론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헌장과 같거나 비슷한 헌법문서는 찾을 수 없다. 대한민국 임시헌장이 다른 것을 참조하기는 하였으나, 적어도 그대로 베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어떻게 왜 만들었는지를 밝힐 필요성이 생긴다. 특히 전제군주국인 대한제국이 1910년 8월 29일 일제에 강점되고 나서 채 10년이 되지 않아서 군주제를 부정하는 공화국원리에 기초한 헌법을 어떻게 만들 수 있었을까?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여정이 헌법전사 연구이다.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만들기 위한 치열한 투쟁의 역사가 대한민국 헌법전사이다. 대한제국은 망할 수밖에 없었다는 당위론을 펼치는 일제의 식민사관을 극복하고 식민사관에서 벗어난다는 명분으로 고종을 계몽군주로 보려는 시도도 배척하고 자주적인 대한민국 헌법전사를 쓰고자 한다. 특히 대한민국 헌법사의 주인공인 아람(民)이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어떻게 대한민국을 세우고 나라의 주인이 되었는지에 주목하려고 한다. 즉 아람(民)의 관점에서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만들기까지의 다양한 시도와 노력의 흔적을 차근차근 더듬어 가려고 한다. 다만. 여기서는 대한민국 헌법전사의 체계를 세우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수긍할 수 있는 체계를 세우기도 쉬운 일이 아닐 뿐 아니라 체계를 세워야만 이후 미시적인 연구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헌법전사를 연구하면 할수록 놀라움의 연속이다. 근래 우리가 이룩한 촛불혁명과 한류열풍이 절대 우연이 아니라 위대한 역사의 결과물임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더 많은 사람, 아니 모든 대한국민과 한민족이 알기를 바란다.
이 책은 전체 5장으로 구성된다. 각 장은 독립적으로 작성되었다.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고치거나 줄이기는 하였지만, 각 장의 완결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 중복되는 내용을 빼거나 정리하지 않았다. 중요 내용을 반복하여 언급함으로써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다. 게다가 각 장은 다른 관점에서 작성되어서 각각의 맥락 속에서 해당 내용이 다르게 이해되는 측면도 있다.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사실은 주를 달지 않았으나, 잘 알려지지 않거나 특별한 사실에는 주를 달았다. 중요한 헌법문서는 원문과 함께 번역문을 본문 뒤에 덧붙였다. 번역문은 얻을 수 있는 모든 번역문을 두루 참조하여 가능한 한 쉬운 우리말로 옮겼다. 따라서 번역문은 기존 번역문에 빚진 바가 많음을 밝힌다.이 작은 책이 석주 이상룡 선생님(1858〜1932,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백암 박은식 선생님(1859〜1925,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2대 임시대통령), 성재 이시영 선생님(1868〜1953,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단재 신채호 선생님(1880〜1936, 성균관 박사), 민세 안재홍 선생님(1891〜1965, 미국 군정청 민정장관), 위당 정인보 선생님[1893〜1950, 대한민국 초대 감찰위원장(오늘날 감사원장)]의 학문과 사상을 잇는 민족사관 계열 역사서로 평가되길 갈구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허완중(지은이)

● 학력 인천 송도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법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뮌헨대학교 법학과 박사과정 졸업(Dr. jur.) ● 경력 성균관대학교 BK21 글로컬Glocal 과학기술법전문가 양성사업단 박사후연구원(2008. 9. - 2010. 2.)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연구교수(2010. 5. - 2011. 4.)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2011. 5. - 2016. 8.)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공익인권법센터 제8대 센터장(2019. 2. - 2021. 12.) (현)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부원장 (현) 한국국가법학회 감사 (현) 한국비교공법학회 섭외이사 (현) 전남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위원 (현) 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 운영위원회 위원 (현)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공익인권법센터 운영위원 (현) 광주광역시 제6기 인권증진시민위원회 위원 (현) 광주광역시 제5기 인권옴부즈맨 (현) 광주광역시 제5기 북구 인권위원회 위원 (현) 광주과학기술원 인권위원회 예비위원 (현) 한국농어촌공사 정보공개심의회 외부위원 한국공법학회 신진학술상 수상(2016. 12.) 전남대학교 제23회 용봉학술상 수상(2019. 6.) 전남대학교 우수신임교수상 수상(2019. 6.) 헌법재판소 헌법논총 우수논문상 수상(2019. 11.) ● 저서 헌법재판소 결정이 입법자를 구속하는 범위와 한계,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헌법재판소 결정의 효력,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헌법소송법, 박영사, 2019 헌법사례연습, 박영사, 2019 헌법 으뜸편-기본권론, 박영사, 2020 기본권 3각관계,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간추린 헌법소송법, 박영사, 2021 간추린 헌법 으뜸편 - 기본권론, 박영사, 2021 헌법 버금편 – 헌법총론과 국가조직론, 박영사, 202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머리말 _4
■ 이 책의 바탕이 된 지은이의 글 _7

제1장 대한민국 헌법사의 출발점
Ⅰ 헌법사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헌법사의 출발점 _16
Ⅱ 대한민국 헌법사 연구의 문제점 _19
Ⅲ 헌법사 출발점 인정 기준 _22
1. 인정 기준으로서 근대적 의미의 헌법 _22 / 2. 근대적 의미의 헌법의 구성요소 _23
Ⅳ 헌법사의 출발점에 관한 구체적 검토 _30
1. 과정으로서 대한민국 헌법사 _30 / 2. 3·1 혁명(1919년) - 임시정부 수립의 직접적 계기 _31 / 3. 대동단결선언(1917년) - 국민주권의 명시적 선언 _36 / 4. 대한광복군정부(1914년) - 최초의 망명정부 _38 / 5. 신민회(1907년) - 공화제 수립 목표 _42 / 6. 대한국 국제(1899년) - 흠정헌법 제정 _44 / 7.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 상하합작의 개혁 _48 / 8. 홍범 14조(1894년) _53 / 9. 동학농민혁명(1894년) - 아래로부터의 개혁 _58 / 10. 갑신정변(1884년) - 위로부터의 개혁 _61 / 11. 흥선대원군 집권(1864년) - 복고적 개혁 _63 / 12. 영·정조 시대 - 신분 해방 시작 _66 / 13. 소결 _71

제2장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헌법사적 관계와 그 의미
Ⅰ 대한제국을 계승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_78
Ⅱ 일제와 본격적인 전쟁을 시작한 대한제국 _81
Ⅲ 국외 망명정부 건설 제안 _86
1. 공립협회와 대한인국민회 그리고 무형국가론 _86 / 2. 공화제 수립 목표 - 신민회 _91 / 3. 국외 망명정부 구상 - 13도의군 _94
Ⅳ 최초의 국외 망명정부 _98
Ⅴ 광무 황제(고종)의 국외 망명 도모 _102
Ⅵ 국민주권원칙 확립 _105
Ⅶ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_108
Ⅷ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적 성격 _115
1. 망명정부와 임시정부의 의의 _115 /
2.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망명정부인가? _119
Ⅸ 대한민국의 대한제국 계승 여부 _127
1. 경술국치 이후 대한제국의 존속 여부 _127 / 2.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관계 _130
Ⅹ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_139

제3장 공동체 개념으로 바라본 대한민국 헌법사
Ⅰ 주체에 소홀하였던 대한민국 헌법사 연구 _144
Ⅱ 권력의 객체에서 벗어나려고 한 인민 _148
1. 인민의 개념 _148 / 2. 인민의 헌법적 의미 _150 / 3. 대한민국 헌법사에서 인민의 탄생 _153
Ⅲ 정치의 주체가 되고자 한 시민 _161
1. 시민의 개념 _161 / 2. 시민의 헌법적 의미 _162 / 3. 대한민국 헌법사에서 시민의 탄생 _163
Ⅳ 새로운 국가를 만드는 주체로서 민족 _169
1. 민족의 개념 _169 / 2. 민족의 헌법적 의미 _171 / 3. 대한민국 헌법사에서 민족의 탄생 _172
Ⅴ 국가의 진정한 주인으로 진화하는 국민 _1751. 국민의 개념 _175 / 2. 국민의 헌법적 의미 _176 / 3. 대한민국 헌법사에서 국민의 탄생 _178
Ⅵ 끊임없이 진화하는 공동체 _182

제4장 중요사항별로 살펴본 대한민국 헌법전사
Ⅰ 근대적 헌법 제정 이전과 이후를 이어주는 헌법전사 _186
Ⅱ 헌법문서 _1901. 헌법문서의 의의 _190 / 2. 혁신정강 14조 _191 / 3. 12개 폐정개혁 안_194 / 4. 홍범 14조 _196 / 5. 헌의 6조 _198 / 6. 국태민안 칙어 _201 / 7. 대한국 국제 _202 / 8. 성명회 선언서 _204 / 9. 대동단결선언 _205 / 10. 2·8 독립선언서 _207 / 11. 3·1 독립선언서 _209 / 12. 대한독립선언서 _211 / 13.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 _212 / 14. 소결 _213
Ⅲ 국호 _215
Ⅳ 공화국 _222
Ⅴ 주권 _234
Ⅵ 국민 _238
Ⅶ 국가영역 _2431. 연해주 _244 / 2. 녹둔도 _245 / 3. 대마도 _246 / 4. 거문도 _247 / 5. 용암포 _250 / 6. 간도 _252 / 7. 독도 _254 / 8.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고유영토 _256
Ⅷ 자유와 평등 _259
Ⅸ 망명정부 혹은 임시정부 수립 _266
Ⅹ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쌓아올린 헌법전사 _273

제5장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본 대한민국 헌법전사
Ⅰ 대한민국 헌법사의 시작 _278
Ⅱ 복고적 개혁 _283
Ⅲ 하향적 개혁 _289
Ⅳ 상향적 개혁 _2991. 동학농민혁명 _299 / 2. 갑오개혁 _305
Ⅴ 상하합작의 개혁 _314
Ⅵ 보수의 반동 _321
1. 광무개혁 _321 / 2. 대한제국 정부 소멸 _326 / 3. 미주에서 피어오르는 공화주의의 싹 _328 / 4. 국내의 애국계몽운동 _334
Ⅶ 대일 전쟁의 시작과 망명정부 및 임시정부 수립 시도 _337
1. 망명정부 건설 시도 _337 / 2. 임시정부 수립 시도 _345
Ⅷ 공화국 건설 _349
1. 국민주권 이론 확립 - 대동단결선언 _349 / 2. 3·1 독립선언_351 / 3.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_359
Ⅸ 어디에 내놔도 자랑스러운 헌법전사 _368

연표 _370

헌법문서 _386
1. 혁신정강 14조(1882년 12월) _386 / 2. 폐정개혁안(1894년) _389 / 3. 대조선 개국 503년 6월 28일 의안(1894년 7월 30일) _404 / 4. 홍범 14조(1895년 1월 7일) _407 / 5. 헌의 6조와 조칙 5조(1898년) _414 / 6. 중추원 신관제(1898년 11월 2일) _420 / 7. 국태민안 칙어(1898년 11월 26일) _425 / 8. 대한국 국제(1899년 9월 21일) _430 / 9. 고종 성명(1906년 1월 29일) _433 / 10. 권황제아령파천소(1910년 7월 28일) _435 / 11. 성명회 선언서(1910년 8월 23일) _440 / 12. 대동단결선언(1917년 7월) _454 / 13. 2·8 독립선언서(1919년 2월 8일) _468 / 14. 3·1 독립선언서(1919년 3월 1일) _480 / 15. 대한독립선언서(1919년 3월 11일) _488 / 16. 조선민국임시정부조직 포고문(1919년 4월 10일) _497 / 17. 조선공화국임시헌법(1919년 4월 10일) _514 / 18. 대한민국 임시헌장(1919년 4월 11일) _516/ 19. 필라델피아 총대표회 종지(한국인의 목표와 열망)(1919년 4월 15일) _522 / 20. 신한민국 정부 선언서(1919년 4월 17일) _528 / 21. 한성정부 국민대회취지서(1919년 4월 23일) _532 / 22. 대한공화국 헌법요강(the main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Republic)(1919년 8월 25일) _541 / 23. 대한민국 임시헌법(1919년 9월 11일) _542 / 24. 순종 황제의 유조(1926년 7월 8일) _561

■ 참고 문헌 _56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