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6990 | |
005 | 20230419130454 | |
007 | ta | |
008 | 230417s2023 ulka 001c kor | |
020 | ▼a 9791167480989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735187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495.78 ▼2 23 |
085 | ▼a 497.8 ▼2 DDCK | |
090 | ▼a 497.8 ▼b 2023 | |
245 | 2 0 | ▼a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학개론 / ▼d 김정숙 [외]지음 |
260 | ▼a 서울 : ▼b 夏雨, ▼c 2023 | |
300 | ▼a 375 p. : ▼b 천연색삽화 ; ▼c 24 cm | |
500 | ▼a 공저자: 정명숙, 이승연, 김서형, 이유경, 정다운, 최은지, 이지용, 이은희, 손다정, 전형길, 이연정, 한하림, 이아름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정숙, ▼e 저 |
700 | 1 | ▼a 정명숙, ▼e 저 |
700 | 1 | ▼a 이승연, ▼e 저 |
700 | 1 | ▼a 김서형, ▼d 1972-, ▼e 저 ▼0 AUTH(211009)47441 |
700 | 1 | ▼a 이유경, ▼e 저 |
700 | 1 | ▼a 정다운, ▼e 저 |
700 | 1 | ▼a 최은지, ▼g 崔恩志, ▼d 1978-, ▼e 저 ▼0 AUTH(211009)19658 |
700 | 1 | ▼a 이지용, ▼e 저 |
700 | 1 | ▼a 이은희, ▼e 저 |
700 | 1 | ▼a 손다정, ▼e 저 |
700 | 1 | ▼a 전형길, ▼e 저 |
700 | 1 | ▼a 이연정, ▼e 저 |
700 | 1 | ▼a 한하림, ▼e 저 |
700 | 1 | ▼a 이아름,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 | 청구기호 497.8 2023 | 등록번호 111879517 | 도서상태 지정도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국문학, 한국어교육학을 전공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학의 개론적인 내용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집필하였다. 한국어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잘 구사하는 외국인일지라도 한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 화용, 그리고 국어사적인 측면을 이론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향후 전공으로서 한국어를 깊이 있게 배워야 할 외국인 유학생들이 이 책을 디딤돌로 삼아 좀 더 수월하게 한국어학에 입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책을 마련하였다.
이 책은 국어국문학, 한국어교육학을 전공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학의 개론적인 내용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집필하였다. 한국어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잘 구사하는 외국인일지라도 한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 화용, 그리고 국어사적인 측면을 이론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향후 전공으로서 한국어를 깊이 있게 배워야 할 외국인 유학생들이 이 책을 디딤돌로 삼아 좀 더 수월하게 한국어학에 입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책을 마련하였다.
이 책은 국내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생에게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할 필요성을 느끼는 내국인 국어학, 한국어교육학 전공 입문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학습한 학교 문법의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학을 가르치게 된다. 한국의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 외국인 학생들은 이러한 학교 문법의 지식을 갖추지 못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외국인 학생들이 이러한 지식을 기본적으로 갖출 수 있도록 학교 문법에서 채택하는 문법 체계와 용어를 주되게 사용하였다.
이 책에서는 학생들이 보다 쉽게 한국어학개론을 접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장치를 마련해 두었다. 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좀 더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쉬운 예문을 제시하였고, 한 걸음 더 깊이 있게 들어간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여기서 잠깐’, ‘돌아보기’, ‘돋보기’, ‘더 알아보기’ 등을 통해 보충 설명을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연정(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어 주어 교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10여 년간 한국어와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현재 서원대학교 휴머니티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강의했으며, 외국인의 다양한 문법과 어휘 사용 오류에 관해서도 꾸준히 연구하고 가르쳐왔다. 그 과정에서 쌓은 풍부한 실전 사례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 오류 양상 분석>을 발표했으며,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타고 큰 화제가 되었다. 20대 글쓰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해 보고자 문장 층위의 오류를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였다. 이후 SBS <스브스뉴스>와의 인터뷰로 관련 영상은 유튜브 조회수 200만을 기록 중이다. 한때는 자신도 논문 쓰기를 두려워했던 만큼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의 심정에 공감하며, 어른이 된 후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글쓰기 능력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주어와 주어 교육》,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용 설명서》, 《사고와 표현1, 2(공저)》 등이 있다.
김서형(지은이)
학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소속: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의 경력:‌한국어교육학, 한국어 문법교육론, 한국어 표현교육론 외 다수 논문: 김서형(2020), 외국어 상호작용 분석 도구(FLint)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양상 분석 연구, 청람어문 73, 청람어문교육학회, 99-130쪽. 김서형(2022), 한국어 교육에서의 수업 컨설팅 적용 방안 연구, 어문학 158집, 한국어문학회, 5-43쪽. 그 외 다수
최은지(지은이)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고려대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박사
전형길(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문학박사
김정숙(지은이)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정명숙(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이승연(지은이)
삼육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조교수
이유경(지은이)
경기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정다운(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지용(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이은희(지은이)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손다정(지은이)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종통번역1 러시아어-한국어』, 『세종통번역2 비즈니스 러시아어-한국어』(공저, 2022) 『한국문화의 이해』(공저, 2013)
한하림(지은이)
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조교수
이아름(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

목차
서문 1장. 한국어학의 개념 및 하위 분야 1. 한국어학의 개념 및 범위 2.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2장. 한국어의 단어 1. 단어와 형태소 2. 단어의 형성 3장. 한국어의 품사 1. 품사의 분류 2. 품사의 특성 4장. 한국어의 문장 1. 문장과 문장의 단위 2. 문장성분 5장. 한국어 문장의 종류 1. 문장종결법 2. 문장의 유형 6장. 한국어 문장의 확대 1. 홑문장과 겹문장 2. 이어진문장 3. 안은문장 7장. 한국어의 문법 범주(1) 1. 시간표현 2. 양태표현 8장 한국어의 문법 범주(2) 1. 높임표현 2. 부정표현 3. 피동표현 4. 사동표현 9장 한국어의 소리 1. 자음과 모음 2. 음절 3. 운율 4. 음운변동 10장. 한국어의 의미 1. 의미의 정의와 유형 2. 단어의 의미 3. 문장의 의미 11장. 한국어의 화용 1. 화용론의 개념 2. 직시 3. 화행 12장. 한국어의 문자 1. 한국의 문자 2. 훈민정음 3. 새 문자의 대중화 13장. 한국어의 변천 1. 한국어의 역사와 시대 구분 2. 한국어의 시대별 특징 14장. 한국어의 방언 1. 방언과 표준어 2. 지역방언과 사회방언 찾아보기 정답 및 해설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