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6983 | |
005 | 20230419094438 | |
007 | ta | |
008 | 230417s2023 ggka b 000a kor | |
020 | ▼a 9791167971043 ▼g 9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3z3 | |
100 | 1 | ▼a 박환, ▼g 朴桓, ▼d 1958- ▼0 AUTH(211009)13201 |
245 | 1 0 | ▼a 한국독립운동사의 반성과 과제 / ▼d 박환 |
260 | ▼a 고양 : ▼b 국학자료원 : ▼b 새미, ▼c 2023 | |
300 | ▼a 462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457-462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3z3 | 등록번호 1118795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환(지은이)
경북 청도 출생 휘문고등학교 졸업 서강대학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수원대학교 사학과 교수(1986~)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회장 역임 고려학술문화재단 이사장 hp2101@hanmail.net ■ 주요 저서 『한국독립운동사의 반성과 과제』, 국학자료원, 2023 『신흥무관학교』, 선인, 2021. 『만주독립전쟁』, 선인, 2021. 『독립군과 무기』, 선인, 2020. 『독립운동과 대한적십자』, 민속원, 2020. 『한국전쟁과 국민방위군사건』, 민속원, 2020. 『블라디보스토크·하바롭스크』, 선인, 2019. 『사진으로 보는 3·1운동 현장과 혁명의 기억과 공간』, 민속원, 2019. 『페치카 최재형』, 선인, 2018. 『근대 해양인, 최봉준』, 민속원, 2017. 『간도의 기억』, 민속원, 2017. 『잊혀진 민족운동가의 새로운 부활』, 선인, 2016. 『사진으로 보는 만주지역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 민속원, 2016. 『만주벌의 항일영웅 김좌진』, 선인, 2016. 『만주지역 한인민족운동의 재발견』, 국학자료원, 2014. 『박환교수와 함께 걷다, 블라디보스토크』, 아라, 2014. 『잊혀진 혁명가 정이형』, 국학자료원, 2013. 『사진으로 보는 러시아지역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 민속원, 2013. 『민족의 영웅, 시대의 빛 안중근』, 선인, 2013. 『김좌진 평전』, 선인, 2010. 『강우규 의사 평전』, 선인, 2010. 『박환교수의 만주지역 한인 유적답사기』, 국학자료원, 2009. 『러시아지역 한인언론과 민족운동』, 경인문화사, 2008. 『박환교수의 러시아 한인 유적답사기』, 국학자료원, 2008. 『시베리아 한인 민족운동의 대부 최재형』, 역사공간, 2008. 『경기지역 3·1독립운동사 연구』, 선인, 2007. 『식민지시대 한인아나키즘운동사』, 선인, 2005. 『대륙으로 간 혁명가들』, 국학자료원, 2003. 『재소한인민족운동사』, 국학자료원, 1998. 『러시아 한인 민족운동사』, 탐구당, 1995. 『만주한인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1991.

목차
책을 내며 … 4 1장 역사통일의 최전선: 북측학자들과의 교류 1 항일력사문제 제3차 국제학술토론회 참가기(북만주, 2003.9.16.~21) 13 2 조선인민의 반일투쟁과 민족문화 전통고수에 관한 백두산-평양 국제 학술토론회 참가기(2005.7.20.~7.27) 31 3 남북역사용어 공동연구 제1차 학술회의 참가기(개성, 2008.4.24.~25) 61 4 남북한기록관리 정보화사업(평양, 2008.10.13.~18) 87 2장 역사의 현장: 기억과 기념 1 서울 남산일대 답사 111 2 청일 ㆍ 러일전쟁에 대한 동아시아의 기억과 재현: 여순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153 3장 세계속의 한국: 인도주의 1 인도주의 활동과 연구과제: 대한적십자의 독립운동 197 2 조선적십자회의 성립과 활동: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231 4장 신화화한 기억을 넘어 1 신화화한 기억을 넘어: 김좌진과 독립전쟁 279 2 사료의 발굴과 탐구: 「독립신문」 5개호 319 3 다양한 유형의 발견: 사회사업의 선구자 김주용 353 4 지워진 해방 직후 역사학도의 열정과 노력: 「史海」와 「歷史學硏究」 385 5장 한국독립운동사의 반성과 과제 1 박영석의 독립운동사연구 403 2 독립운동사연구의 미래지향적 방향 447 참고문헌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