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6897 | |
005 | 20230418133458 | |
007 | ta | |
008 | 230417s2023 ulkc 000a kor | |
020 | ▼a 9788977288430 ▼g 931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35.411 ▼2 23 |
085 | ▼a 335.411 ▼2 DDCK | |
090 | ▼a 335.411 ▼b 2023 | |
100 | 1 | ▼a Popitz, Heinrich, ▼d 1925-2002 ▼0 AUTH(211009)5495 |
245 | 1 0 | ▼a 소외된 인간 : ▼b 청년 맑스의 시대적 비판과 역사 철학 / ▼d H. 포피츠 지음 ; ▼e 황태연 옮김 |
246 | 1 | ▼i 판권기표제: ▼a 청년 맑스의 휴머니즘 |
246 | 1 9 | ▼a Der entfremdete Mensch : ▼b Zeitkritik und Geschichtsphilosophie des jungen Marx |
246 | 3 9 | ▼a Entfremdete Mensch |
250 | ▼a 재판 | |
260 | ▼a 서울 : ▼b 중원문화, ▼c 2023 | |
300 | ▼a 293 p. : ▼b 초상화 ; ▼c 23 cm | |
490 | 1 0 | ▼a 중원문화 아카데미신서 ; ▼v 23 |
500 | ▼a 초판 표제는 "청년 마르크스의 휴머니즘"(2009)임 | |
600 | 1 0 | ▼a Marx, Karl, ▼d 1818-1883 |
700 | 1 | ▼a 황태연, ▼e 역 |
740 | 0 | ▼a 청년 마르크스의 휴머니즘 |
830 | 0 | ▼a 중원문화 아카데미신서 ; ▼v 23 |
900 | 1 0 | ▼a 포피츠, H.,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11 2023 | 등록번호 1118794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많은 사람들이 지치고 소외감을 느낀다. 그들은 마치 잘못된 곳에 있는 것처럼 느낀다. 이 이해하기 어려운 상태의 경우, 오랫동안 알려진 소외라는 용어가 유행해 왔다. 칼 맑스는 사람들이 단지 작은 톱니바퀴일 뿐인 작품을 묘사하기 위해 그것을 사용했다.
청년 맑스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맑스 해석서인 이 책은 논술의 압축, 독창성에 기인한 난해성과, 두 세 군데의 맑스 비판이 헤겔 쪽에 치우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하지만 문제점은 해석의 독창성과 간결한 문장 속 깊은 내용, 이해의 심원성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어 청년 맑스에 대하여 깊게 탐구할 수 있는 보기드문 책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인리히 포피츠(지은이)
일반 사회학 이론을 연구한 독일의 사회철학자이다. 헬무트 셸스키(Helmut Schelsky), 한스 폴 바흐트(Hans Paul Bahrdt), 디터 클라센스(Dieter Claessens) 등과 같은 사상가들과 함께 그는 철학과 인류학의 통찰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을 확립하여 당시 지배적인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을 만든 전후 독일의 사회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베를린에서 자랐으며 프로이센 재무장관이자 레지스탕스 투사인 요하네스 포피츠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어렸을 때 돌아가셨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19세 때 처형당했다. 포피츠는 하이델베르크, 괴팅겐, 옥스퍼드에서 철학, 역사, 경제학을 공부했다. 1949년 칼 야스퍼스(Karl Jaspers)와 함께 박사 학위를 마친 후 도르트문트의「뮌스터 대학교」사회 연구 센터에서 근무했다. 1959년 스위스「바젤대학」의 사회학 교수가 되었으며 1964년에 그는「프리부르크 대학교」에 새로 설립된 사회학 연구소의 창립 이사가 되어 2002년 사망할 때까지 일하였다. 1970/71년에 포피츠는 뉴욕 의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1년을 보냈으며 그곳에서 Theodor Heuss Chair에서 가르쳤다.
황태연(옮긴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同대학원 외교학과에서 「헤겔에 있어서의 전쟁의 개념」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1991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Goethe-Universitat)에서 <지배와 노동(Herrschaft und Arbeit)>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1994년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초빙되어 30년 동안 동서양 정치철학과 정치사상을 연구하며 가르쳤고, 2022년 3월부로 명예교수가 되었다. 그는 지금도 동국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강의를 계속하며 여전히 집필에 매진하고 있다. 그는 45년 동안 동서고금의 정치철학을 폭넓게 탐구하면서 공자철학과 한국·중국근대사에 관한 광범하고 철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자철학의 서천西遷을 통한 서구 계몽주의의 흥기와 서양 근대국가 및 근대화에 관한 연구에 헌신해 왔다. 동서정치철학 연구서 또는 공자철학 저서로는 <실증주역(상‧하)>(2008), <공자와 세계(1-5)>(2011),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1-2)>(2014·2015), <패치워크문명의 이론>(2016), <공자의 인식론과 역학>(2018), <공자철학과 서구 계몽주의의 기원(1-2)>(2019), <근대 영국의 공자숭배와 모럴리스트들(상·하)>(2020·2023), <근대 프랑스의 공자열광과 계몽철학>(2020·2023), <근대 독일과 스위스의 유교적 계몽주의>(2020·2023), <공자와 미국의 건국(상·하)>(2020·2023), <유교적 근대의 일반이론(상·하)>(2021·2023) 등이 있다. 그리고 <공자의 자유·평등철학과 사상초유의 민주공화국>(2021)에 이어 <공자의 충격과 서구 자유·평등사회의 탄생(1-3)>(2022)와 <극동의 격몽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2022), <유교제국의 충격과 서구 근대국가의 탄생(1-3)>(2022) 등이 연달아 공간되었다. 공자관련 저서는 15부작 전29권이다. 이 가운데 해외로 번역된 책으로는 중국 인민일보 출판사가 <공자와 세계> 제2권의 대중판 <공자, 잠든 유럽을 깨우다> (2015)를 중역中譯·출판한 <孔夫子與歐洲思想啟蒙>(2020)이 있다. 한국정치철학 및 한국정치사·한국정치사상사 분야로는 <지역패권의 나라>(1997), <사상체질과 리더십>(2003), <중도개혁주의 정치철학>(2008), <조선시대 공공성의 구조변동>(공저, 2016), <갑오왜란과 아관망명>(2017), <백성의 나라 대한제국>(2017), <갑진왜란과 국민전쟁>(2017), <한국 근대화의 정치사상>(2018), <일제종족주의>(공저, 2019·2023), <중도적 진보, 행복국가로 가는 길>(2021·2023), <사상체질, 사람과 세계가 보인다>(2021·2023) 등 여러 저서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한국 금속활자의 실크로드>(2022)와 <책의 나라 조선의 출판혁명(상·하)>(2023)을 공간했다. 서양정치 분야에서는 Herrschaft und Arbeit im neueren technischen Wandel(최근 기술변동 속에서의 지배와 노동,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1992), <환경정치학>(1992), <포스트사회론과 비판이론>(공저, 1992), <지배와 이성>(1994), <분권형 대통령제 연구>(공저, 2003), <계몽의 기획>(2004), <서양 근대정치사상사> (공저, 2007) 등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2023년에는 <놀이하는 인간>에 이어 <예술과 자연의 미학>이 출판된다. 그는 지금까지 총 65권의 저서를 공간했다. 현재 저자는 방대한 저작 <도덕의 일반이론>과 <국가변동의 일반이론>의 집필에 매진하고 있다. 유튜브 “황태연아카데미아”를 통해 2018년부터 위 저서들과 관련된 대학원 강의를 시청할 수 있다.

목차
□ 청년기 저작의 구분 ㆍ 5 제1장 시대 의식의 문제들 ㆍ 13 1. 청년 헤겔주의자들의 신기원적 의식 ㆍ 16 2. 시대 의식과 역사철학 : 헤르더, 실러, 노발리스, 피히테 ㆍ 28 3. 시대 비판과 해방 : 실러 ㆍ 54 4. 시대 비판과 시대 의식 : 헤겔 ㆍ 67 5. 청년 맑스의 신시대적 의식 ㆍ 85 6. 독일 관념론의 에필로그 ㆍ 106 제2장 1844년까지의 청년 맑스 ㆍ 117 1. 최초의 헤겔 비판 ㆍ 122 a. 포이에르바흐와 맑스의 사변 비판 ㆍ 122 b. 국가이론 비판 ㆍ 131 c. 방법적 입장 ㆍ 139 2. 사회 비판의 출발점 ㆍ 146 a. 근대사회의 발생과 구조 ㆍ 146 b. ‘소외’의 현상 ㆍ 152 3. 보편적 혁명의 이념 ㆍ 159 a. 해방 사상 ㆍ 162 b. 비판과 대중 ㆍ 172 c. 이데올로기와 아이러니 ㆍ 181 제3장 소외된 인간 ㆍ 189 1. 문제 설정 ㆍ 196 2. 노동의 철학 ㆍ 204 a. 헤겔 : 외화와 동화로서의 노동 ㆍ 204 b. 맑스 : ‘실현(현실화)’으로서의 노동 ㆍ 219 3. 소외의 제현상 ㆍ 226 a. 맑스 : 프롤레타리아의 외화 ㆍ 227 b. 헤겔과 맑스 : 지배와 예속의 문제 ㆍ 236 c. 맑스 : 사유재산제의 원리 ㆍ 246 4. 소외의 변증법과 그 역사철학적 정초(定礎) ㆍ 255 a. 헤겔과 맑스 : 노동과 욕망 ㆍ 255 b. 맑스 : ‘소외된’ 욕망 ㆍ 263 c. 인류 역사의 ‘전사’(前史) ㆍ 267 5. 종합과 전망 ㆍ 274 a. 소외의 체계 ㆍ 274 b. 소외 이론과 변증법적 유물론 ㆍ 284 □ 청년기 저작의 해석서들 ㆍ 292 ■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