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디어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homas, Bronwen 황인성, 역
서명 / 저자사항
미디어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 브론웬 토머스 지음 ; 황인성 옮김
발행사항
서울 :   Culture Look :   컬처룩,   2023  
형태사항
271 p. ; 21 cm
총서사항
컬처룩 미디어 총서 ;030
원표제
Narrative : the basics
ISBN
9791192090160 9791185521060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247-260)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Narration (Rhetoric)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6282
005 20230411104328
007 ta
008 230406s2023 ulk b 001a kor
020 ▼a 9791192090160 ▼g 94300
020 1 ▼a 9791185521060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02.23 ▼a 808 ▼2 23
085 ▼a 302.23 ▼2 DDCK
090 ▼a 302.23 ▼b 2014z16 ▼c 30
100 1 ▼a Thomas, Bronwen
245 1 0 ▼a 미디어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 ▼d 브론웬 토머스 지음 ; ▼e 황인성 옮김
246 1 9 ▼a Narrative : ▼b the basics
260 ▼a 서울 : ▼b Culture Look : ▼b 컬처룩, ▼c 2023
300 ▼a 271 p. ; ▼c 21 cm
490 1 0 ▼a 컬처룩 미디어 총서 ; ▼v 030
504 ▼a 참고문헌(p. 247-260)과 색인수록
650 0 ▼a Narration (Rhetoric)
700 1 ▼a 황인성, ▼e
830 0 ▼a 컬처룩 미디어 총서 ; ▼v 030
900 1 0 ▼a 토머스, 브론웬,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14z16 30 등록번호 11187914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과거 아날로그 문화에서 오늘날 디지털 문화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에 따른 내러티브 문화도 급변하고 있다. 하지만 유사 이래 내려오는 내러티브의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 이 책은 내러티브 이론의 본질에 관하여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최근 정보를 총망라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다양한 현대 내러티브 형식을 예로 들면서 내러티브 연구에서 논의되는 주요 접근 방식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내러티브 또는 스토리텔링을 주제로 하는 책은 이미 많이 소개되었지만 대부분 온전히 내러티브 관련 논의로만 구성되기보다는 저자들의 연구 관심에 따라 특정 주제나 미디어별로 집필되어 있다. 이 책은 서사학에 대한 개괄적 정보를 전달한다. 내러티브 개념을 정의하는 기본 논의에서 출발해 프로프나 토도로프 등 초기 이론가들을 필두로 바르트와 레비스트로스, 주네트 등 굵직한 이론가들의 논의를 펼쳐나가며, 근래의 많은 논의도 소개한다. 특히 트위터 픽션 등과 같은 최근의 뉴 미디어 내러티브 문화에 대해서도 다룬다. 또한 이론적 논의를 적절한 현대 내러티브 사례에 적용하여 살펴보는데 이는 이 책의 탁월한 점이다.

민담에서 뉴 미디어 문화까지
내러티브 개념과 이론

과거 아날로그 문화에서 오늘날 디지털 문화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에 따른 내러티브 문화도 급변하고 있다. 하지만 유사 이래 내려오는 내러티브의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 이 책은 내러티브 이론의 본질에 관하여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최근 정보를 총망라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다양한 현대 내러티브 형식을 예로 들면서 내러티브 연구에서 논의되는 주요 접근 방식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내러티브 또는 스토리텔링을 주제로 하는 책은 이미 많이 소개되었지만 대부분 온전히 내러티브 관련 논의로만 구성되기보다는 저자들의 연구 관심에 따라 특정 주제나 미디어별로 집필되어 있다. 이 책은 서사학에 대한 개괄적 정보를 전달한다. 내러티브 개념을 정의하는 기본 논의에서 출발해 프로프나 토도로프 등 초기 이론가들을 필두로 바르트와 레비스트로스, 주네트 등 굵직한 이론가들의 논의를 펼쳐나가며, 근래의 많은 논의도 소개한다. 특히 트위터 픽션 등과 같은 최근의 뉴 미디어 내러티브 문화에 대해서도 다룬다. 또한 이론적 논의를 적절한 현대 내러티브 사례에 적용하여 살펴보는데 이는 이 책의 탁월한 점이다.

●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 내러티브의 ‘보편성’이란 무엇인가?
● 내러티브와 이데올로기는 어떤 관계인가?
● 내러티브에서 독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 디지털 기술 시대가 내러티브 형식에 가져온 근본적 변화는 무엇인가?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브론웬 토머스(지은이)

영국 본머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전공 교수로, 내러티브, 문화 및 커뮤니티 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미디어 및 뉴 미디어 내러티브, 문학과 소셜 미디어, 팬픽션 및 허구적 대화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근 연구는 대부분 디지털 공간에서의 창의성과 스토리텔링 탐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책으로는 《미디어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Narrative: the Basics》, 《문학과 소셜 미디어Literature and Social Media》를 비롯해 공동 편집한 《미디어 문학 안내서Companion to Literary Media》(근간) 등이 있다. 영국연구혁신기구(UKRI: UK Research and Innovation)의 기금으로 디지털 기술로 인한 독서 변화 연구를 수행하는 데 수석 연구원을 역임했다. 2021년 문해력 연구에 이바지한 공로로 세계리터러시상World Literacy Award을 수상했다.

황인성(옮긴이)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커뮤니케이션학부장과 언론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웨인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애인: TV 드라마, 문화 그리고 사회》(공편저), 《텔레비전 문화 연구》(편저),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공저), 《아시아의 텔레비전》(역)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론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서사성 │ 내러티브와 마음 │ 내러티브와 비내러티브의 종말 │ 미디어와 문화를 가로지르는 내러티브 │ 책의 구성

1장 기본으로 돌아가기: 민담과 동화
프로프의 《민담 형태론》 │ 프로프 이론의 적용 │ 프로프에 대한 비판 및 재평가 │ 분석

2장 내러티브 구조
‘고전’ 구조주의 │ 기호와 신화 │ 이항 대립 │ 스토리와 담론 │ 포스트구조주의

3장 내러티브 보이스와 시점
화자 │ 내레이션의 유형 │ 내러티브 프레이밍과 끼워 넣기 │ 초점화 │ 시점과 이데올로기 │ 시각적 내러티브의 초점화 │ 초점화와 몰입 │ 주네트 이론의 변형과 수정 │ 말과 생각 재현하기

4장 내러티브와 이데올로기
마르크스주의적 접근과 내러티브 │ 바르트의 신화론 │ 수사학적 접근 │ 대화주의 │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이데올로기적인 것 │ 분석 │ MH370편 실종

5장 독자의 역할
바르트와 독자의 역할 │ 수용 이론 │ 내포 독자 │ 선호된 독해 │ 능동적이며 상호 작용적인 수용자 │ 분석

6장 ‘젠더 트러블’: 내러티브에 대한 페미니즘 접근
근래의 페미니즘 │ 페미니즘 미디어 연구 │ 본질주의와 반본질주의 │ 텔레비전의 젠더화 │ 내러티브 욕망과 정동 │ 우리만의 웹 │ 분석

7장 내러티브와 장르
왜 장르를 공부하는가 │ 장르에 대한 접근 │ 미디어를 넘나드는 장르 │ 장르의 불확실성 │ 분석: 실화 내러티브

8장 뉴 미디어 내러티브
전자 ‘하이퍼텍스트’ 소설 │ 게임학 대 서사학 │ 위치 기반과 모바일 스토리텔링 │ 참여 내러티브 │ 융합 문화를 위한 내러티브 │ 분산 내러티브와 소셜 미디어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파라텍스트와 내러티브 확장 │ 내러티브 매시업

9장 결론
다음에 계속……

심화 학습
감사의 말
용어 해설

관련분야 신착자료

有山輝雄 (2023)
Gladwell, Malcolm (2023)
Luhmann, Niklas (2023)
변용수 (2023)
샌드박스네트워크. 데이터랩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