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6093 | |
005 | 20230411132157 | |
007 | ta | |
008 | 230406s2023 ulkad b AC 001c kor | |
020 | ▼a 9791169560139 ▼g 93400 | |
035 | ▼a (KERIS)BIB000016686459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02.3/5 ▼2 23 |
085 | ▼a 302.35 ▼2 DDCK | |
090 | ▼a 302.35 ▼b 2023 | |
245 | 0 0 | ▼a 회복력 원칙 : ▼b 사생계에서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 / ▼e 레넷 빅스, ▼e 마야 슐뤼터, ▼e 마이클 L. 스쿤 엮음 ; ▼e 김정규, ▼e 전진형, ▼e 김민 옮김 |
246 | 1 9 | ▼a Principles for building resilience : ▼b sustaining ecosystem services in social-ecological systems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3 | |
300 | ▼a 35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ustainable development |
650 | 0 | ▼a Organizational resilience |
650 | 0 | ▼a Social change |
700 | 1 | ▼a Biggs, Reinette, ▼d 1979-, ▼e 편 |
700 | 1 | ▼a Schlüter, Maja, ▼e 편 |
700 | 1 | ▼a Schoon, Michael L., ▼e 편 |
700 | 1 | ▼a 김정규, ▼g 金貞圭, ▼d 1958-, ▼e 역 |
700 | 1 | ▼a 전진형, ▼e 역 |
700 | 1 | ▼a 김민, ▼e 역 |
900 | 1 0 | ▼a 빅스, 레넷, ▼e 편 |
900 | 1 0 | ▼a 슐뤼터, 마야, ▼e 편 |
900 | 1 0 | ▼a 스쿤, 마이클 L., ▼e 편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35 2023 | Accession No. 1118808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35 2023 | Accession No. 12126289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2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3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KUPress)/ | Call Number 출판부 302.35 2023 | Accession No. 111880861 | Availability Proce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35 2023 | Accession No. 1118808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35 2023 | Accession No. 12126289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2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KUPress)/ | Call Number 출판부 302.35 2023 | Accession No. 111880861 | Availability Proce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류가 겪었고, 겪고 있으며, 겪어갈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그 모습이 인류가 진화해 온 터전에서 풍요로운 삶을 지속하게 할 수 있을까? 지속할 수 없다면, 인류의 미래를 어떤 모습으로 바꾸어 놓을까? 우리의 생존은 물론이고 풍요의 기반인 지구생태계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걸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사생계( SESs, Social Ecological Systems)는 인류사회와 자연생태계가 한 몸이라는 생각을 담아낸 말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사생계에서 인간사회가 자연생태계와 관계를 맺으며 얻는 혜택인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의 공급에 관해 축적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서, 지속가능한 사생계와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resilience)을 확보하는 일곱 가지 원칙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원칙들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열쇠이다.
인류가 겪었고, 겪고 있으며, 겪어갈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그 모습이 인류가 진화해 온 터전에서 풍요로운 삶을 지속하게 할 수 있을까? 지속할 수 없다면, 인류의 미래를 어떤 모습으로 바꾸어 놓을까? 우리의 생존은 물론이고 풍요의 기반인 지구생태계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걸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런 의문들에 답을 구하고 대응하기 위한 세계관의 하나가 우리의 터전 (생태계)과 삶 (사회계)은 분리할 수 없는 한 몸의 복잡적응계이며, 그 안에 깃들어 있는 유기체 모두와 그를 둘러싼 환경의 상호 작용이 미래를 그려낼 것이라는 생각이다.
사생계( SESs, Social Ecological Systems)는 인류사회와 자연생태계가 한 몸이라는 생각을 담아낸 말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사생계에서 인간사회가 자연생태계와 관계를 맺으며 얻는 혜택인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의 공급에 관해 축적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서, 지속가능한 사생계와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resilience)을 확보하는 일곱 가지 원칙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원칙들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열쇠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레넷 빅스(지은이)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스톡홀름 리질리언스 센터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텔렌보쉬 대학교, 복잡성 연구 센터
마야 슐뤼터(지은이)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 스톡홀름 리질리언스 센터
마이클 L. 스쿤(지은이)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지속가능성학과
김정규(옮긴이)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식물환경학) (현) BK21 자연생태계 복원을 위한 환경생태공학연구팀 팀장 (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겸임연구관 (현) 제18대 국회 국회의원연구단체 평가위원회 위원 (환경·에너지)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연구부 연구관, 환경생물과 연구사 한국화학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수질관리공학 공동연구원 싱가폴국립대학 동물학과 컴퓨터 이용 생물통계처리 연수 미국 퍼듀대학교 환경연구센터 교환교수 국제법정계량기구 국내심의위원 (환경오염계측 분야)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비상근전문위원 UNEP 한국위원회 지구환경포럼 전문위원 (생물다양성) 식품의약품안전청 중금속기준 설정위원회 위원 산업자원부 광해방지심의위원회 위원 저서 및 논문 대기오염 식물피해 사진집(1988) 농업환경(2001) 토양과 환경(2005) 토양학(2006) D e g r a d a t i o n o f P h e n a n t h r e n e a n d P y r e n e i n Rhizosphere of Grasses and Legumes 등 논문 91편 식물을 이용한 휴·폐광산 토양의 중금속 제거방법(특허 제0465451호) 등 특허 6건 쑥과 토양개량제를 활용한 카드뮴 오염 표층 토양의 식물이용 정화기술(환경부 환경신기술 제187호)
전진형(옮긴이)
2006년부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에 재직 중이며, 현재 생태조경융합전공 주임교수와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부원장을 맡고 있다. 회복력 있는 생태공간 조성을 위해 도시-농촌-해안 지역에서 인간과 이를 둘러싼 생태-사회-경제적 환경 간의 동태적 관계를 바탕으로 리질리언스 디자인 기법에 대한 다차원적인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민(옮긴이)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에서 환경계획 및 조경학 박사를 취득한 후, 동대학 오정리리질리언스연구원에서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시 지역의 잉여자원인 유휴공간과 빈집을 활용하여 기후회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태복원 및 식재설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1 사생계의 생태계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회복력 원칙 소개 레넷 빅스Reinette Biggs, 마야 슐뤼터Maja Schlüter, 마이클 L. 스쿤Michael L. Schoon 1.1 급변하는 세상에 맞선 도전 1.2 회복력을 바탕으로 접근하라 1.3 사생계의 주요한 특성인 생태계 서비스 1.4 회복력이 향상되는 원칙 알아보기 1.5 책의 목적과 구성 2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과 정책 마이클 L. 스쿤Michael L. Schoon, 마틴 D. 로버즈Martin D. Robards, 카트리나 브라운Katrina Brown, 네이선 엥글Nathan Engle, 찬다 L. 믹Chanda L. Meek, 레넷 빅스Reinette Biggs 2.1 개요 2.2 생태계 서비스 간의 맞거래 선택 2.3 분배의 어려움 2.4 긴박한 비대칭성에 반응하기 2.5 확대 심의의 이로움 2.6 결론 3 원칙 1 - 다양성과 중복성을 유지하자 캐런 코츠치Karen Kotschy, 레넷 빅스Reinette Biggs, 팀 도Tim Daw, 칼 폴케Carl Folke, 폴 웨스트Paul West 3.1 개요 3.2 다양성과 중복성은 무엇을 뜻하나 3.3 다양성과 중복성은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3.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훼손될까? 3.5 다양성과 중복성을 유지하는 원칙은 어떻게 운영, 적용될 수 있나? 3.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4 원칙 2 - 연결성을 관리하자 바실리스 다코스Vasilis Dakos, 앨리슨 퀸런Allyson Quinlan, 야코포 A. 바조Jacopo A. Baggio, 엘레나 베넷Elena Bennett, 외리안 보딘Örjan Bodin, 쇼나 번실버Shauna BurnSilver 4.1 개요 4.2 연결성이란? 4.3 연결성은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까? 4.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감소될 수 있을까? 4.5 연결성을 관리하는 원칙은 어떻게 작동되고 어디에 적용하나? 4.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5 원칙 3 - 느린 변수와 피드백을 관리하자 레넷 빅스Reinette Biggs, 라인 고든Line Gordon, 시아라 로드셉-헌Ciara Raudsepp-Hearne, 마야 슐뤼터Maja Schlüter, 브라이언 워커Brian Walker 5.1 개요 5.2 느린 변수와 피드백이란? 5.3 느린 변수와 피드백은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5.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감소될 수 있을까? 5.5 느린 변수와 피드백을 관리하는 원칙은 어떻게 작동되고 어디에 적용될 수 있을까? 5.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6 원칙 4 - 복잡적응계 사고를 계발하자 에린 L. 보헨스키Erin L. Bohensky, 루이자 S. 에번스Louisa S. Evans, 존 M. 앤데리스John M. Anderies, 두앤 빅스Duan Biggs, 크리스토 파브리시우스Christo Fabricius 6.1 개요 6.2 복잡적응계 사고란? 6.3 복잡적응계 사고는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6.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감소될 수 있을까? 6.5 복잡적응계 사고 계발 원칙은 어떻게 작동되고 어디에 적용될 수 있을까? 6.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7 원칙 5 - 학습을 장려하자 조지나 쿤딜Georgina Cundill, 앤 M. 리치Anne M. Leitch, 리전 슐츠Lisen Schultz, 데릭 아미티지Derek Armitage, 개리 피터슨Garry Peterson 7.1 개요 7.2 학습이란? 7.3 학습은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까? 7.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나? 7.5 학습 원칙은 어떻게 운영되고 적용될 수 있을까? 7.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8 원칙 6 - 참여를 확대하자 앤 M. 리치Anne M. Leitch, 조지나 쿤딜Georgina Cundill, 리전 슐츠Lisen Schultz, 찬다 L. 믹Chanda L. Meek 8.1 개요 8.2 참여란? 8.3 참여는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8.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감소될 수 있을까? 8.5 참여를 확대하는 원칙은 어떻게 작동되고 어디에 적용될 수 있을까? 8.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9 원칙 7 - 다핵성 거버넌스 시스템을 촉진하자 마이클 L. 스쿤Michael L. Schoon, 마틴 D. 로버즈Martin D. Robards, 찬다 L. 믹Chanda L. Meek, 빅터 갈라즈Victor Galaz 9.1 개요 9.2 다핵성 거버넌스 시스템이란? 9.3 다핵성 거버넌스 시스템은 어떻게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9.4 어떤 조건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회복력이 감소될 수 있을까? 9.5 다핵성 거버넌스 시스템을 촉진하는 원칙은 어떻게 작동되고 어디에 적용될 수 있을까? 2 9.6 필요한 주요 연구와 적용 10 회복력 향상에 대한 고찰 - 7가지 원칙들 간의 관계와 거버넌스에 대한 함의 마야 슐뤼터Maja Schlüter, 레넷 빅스Reinette Biggs, 마이클 L. 스쿤Michael L. Schoon, 마틴 D. 로버즈Martin D. Robards, 존 M. 앤데리스John M. Anderies 10.1 개요 10.2 각 원칙의 중요한 통찰력 10.3 원칙들 간의 상호작용 10.4 다른 원칙들의 발견 10.5 사생계의 거버넌스와 관리를 위한 함의 10.6 필요한 향후 연구 10.7 결론 용어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