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편견 없는 뇌 : 유전적 차이를 뛰어넘는 뇌 성장의 비밀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Rippon, Gina 김미선, 1966-, 역
서명 / 저자사항
편견 없는 뇌 : 유전적 차이를 뛰어넘는 뇌 성장의 비밀 / 지나 리폰 지음 ; 김미선 옮김
발행사항
파주 :   다산사이언스 :   다산북스,   2023  
형태사항
534 p. ; 22 cm
원표제
The gendered brain : the new neuroscience that shatters the myth of the female brain
ISBN
979113069633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72-534
일반주제명
Neuropsychology Brain --Psychophysiology --Popular works Sex differences (Psychology) Stereotypes (Social psycholog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6069
005 20230410155926
007 ta
008 230406s2023 ggk b 000c kor
020 ▼a 9791130696331 ▼g 03400
035 ▼a (KERIS)BIB000016660692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2.8 ▼2 23
085 ▼a 612.8 ▼2 DDCK
090 ▼a 612.8 ▼b 2023
100 1 ▼a Rippon, Gina
245 1 0 ▼a 편견 없는 뇌 : ▼b 유전적 차이를 뛰어넘는 뇌 성장의 비밀 / ▼d 지나 리폰 지음 ; ▼e 김미선 옮김
246 1 9 ▼a The gendered brain : ▼b the new neuroscience that shatters the myth of the female brain
246 3 9 ▼a Gendered brain
260 ▼a 파주 : ▼b 다산사이언스 : ▼b 다산북스, ▼c 2023
300 ▼a 534 p. ; ▼c 22 cm
504 ▼a 참고문헌: p. 472-534
650 0 ▼a Neuropsychology
650 0 ▼a Brain ▼x Psychophysiology ▼v Popular works
650 0 ▼a Sex differences (Psychology)
650 0 ▼a Stereotypes (Social psychology)
700 1 ▼a 김미선, ▼d 1966-, ▼e▼0 AUTH(211009)8374
900 1 0 ▼a 리폰, 지나,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 2023 등록번호 1212628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8세기부터 시작된 뇌에 관한 연구는 숨겨진 이치와 원리를 밝히는 다른 과학 분야와 달리 남자가 여자보다 우월하다는 고정관념과 아집을 증명하기 위해서 수행됐다. 이들이 가장 몰두한 작업은 남자와 여자의 뇌가 다르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과학적인 증거 수집이었다.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측정 방법과 관찰 기관을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했으며 결국 그 의도대로 만들어진 결과가 거대한 편견을 낳아 우리 모두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편향된 과학은 우리의 가능성을 강하게 옭아매는 족쇄로서 아직도 작용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짚어내고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뇌의 놀라운 능력을 알려주기 위해 쓰였다. 지나 리폰은 두개학과 호르몬 연구, 심리학, 뇌영상 기술에 이르기까지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낱낱이 파헤쳐 인간의 뇌는 어느 한쪽만 우월하거나 열등하지 않음을 밝혀낸다. 더불어 최근 연구를 통해 드러난 신경가소성이란 능력에 집중해 인간이 가진 놀라운 성장과 발전 가능성을 알기 쉽게 전한다.

“오직 인간에게만 허락된 아름다운 능력”

국제적 명성을 자랑하는 인지신경과학자 지나 리폰의 신작
성별과 재능, 성격까지 선천적인 모든 차이를 극복하는 완전히 새로운 뇌과학을 만나다!

★ 네이처, BBC, 뉴욕타임스 등 전 세계 13개 매체에서 주목을 받은 화제의 뇌과학
★ 출간 즉시 영미권에서 치열한 논쟁을 일으킨 과학계 최고의 문제작
★ TED와 브리티시 사이언스 페스티벌 등 국제 과학 강연에서 필수로 초청받는 저자의 명강의


18세기부터 시작된 뇌에 관한 연구는 숨겨진 이치와 원리를 밝히는 다른 과학 분야와 달리 남자가 여자보다 우월하다는 고정관념과 아집을 증명하기 위해서 수행됐다. 이들이 가장 몰두한 작업은 남자와 여자의 뇌가 다르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과학적인 증거 수집이었다.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측정 방법과 관찰 기관을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했으며 결국 그 의도대로 만들어진 결과가 거대한 편견을 낳아 우리 모두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편향된 과학은 우리의 가능성을 강하게 옭아매는 족쇄로서 아직도 작용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짚어내고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뇌의 놀라운 능력을 알려주기 위해 쓰였다. 지나 리폰은 두개학과 호르몬 연구, 심리학, 뇌영상 기술에 이르기까지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낱낱이 파헤쳐 인간의 뇌는 어느 한쪽만 우월하거나 열등하지 않음을 밝혀낸다. 더불어 최근 연구를 통해 드러난 신경가소성이란 능력에 집중해 인간이 가진 놀라운 성장과 발전 가능성을 알기 쉽게 전한다.

뇌과학이 편견을 가질 때 나타나는 운명론의 세상
수많은 자기계발서가 얘기하듯 우리는 자유의지에 따라 삶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같은 환경에 있었다고 해서 반드시 동일한 삶을 살지 않는 것처럼 현재의 내 모습이 되기까지 외적 요소보다도 나의 내적 선택(결정)이 가장 크게 작용했을 거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사회는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이 빈번하게 쓰일 정도로, 주변 환경과 상관없이 자신의 의지에 대해 강조한다. 그런데 이 생각이 과학적으로 볼 때 왜곡으로 덮여 있던 거라면, 우리의 노력과 상관없이 사회가 제시한 틀을 강제로 강요받고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면 어떨까. 이 책의 저자, 지나 리폰은 당연하게 생각하는 이 ‘선택’에 관해 최신 과학으로 문제를 제기하며, 우리의 자유의지를 성차(性差)라는 것에 오염시키고 고정관념대로 특정한 삶을 따르게 만든 원흉이 다름 아닌 편견에 빠진 뇌과학이라고 폭로한다.
지나 리폰은 18세기에 태동한 뇌과학이 ‘남자는 남자답게 여자는 여자답게’를 목표로 두고 인간의 삶을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는 작업에 박차를 가했으며, 타고나는 선천성에 집중하고 후천적인 성장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얘기한다. 이로 인해서 우리는 뇌에 자리한 가소성(쓰면 쓸수록 성장하는 뇌의 특성)이라는 놀라운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채 마치 운명처럼 태어날 때부터 역할이 정해진 사회 속에서 살아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두개학부터 시작해서 최신 뇌영상 기술에 이르기까지 지나 리폰은 기존 뇌과학의 연구 과정을 살피며 어떤 왜곡과 문제가 있는지 밝히고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인간의 뇌에 자리한 가능성의 힘을 보여준다. 이 책은 결과적으로 운명을 인간에게 가져오기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강제로 구별된 뇌에 관한 가장 권위 있는 폭로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는 너무나 익숙한 표현으로 자리 잡아 아무도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나 리폰은 이 구별의 초기 모습이 우수한 두뇌(남성의 뇌)와 열등한 뇌(여성의 뇌)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라 얘기한다. 그녀는 초기 뇌과학이 성별에 따른 우열을 부여하기 위해서 선천성, 이른바 생물학적인 요소에 집중했다고 말한다. 편견을 가진 뇌과학자들은 이를 위한 수단으로 두개학과 호르몬 연구, 뇌영상 기술 등을 활용했다. 두개학은 뇌의 크기를 다루는 학문으로 뇌가 크면 클수록 지능적으로 더 우수할 거라 생각한 학문이었고 호르몬 연구는 어떤 성 호르몬에 노출되는가에 따라 성격이나 행동양식이 정해진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인 뇌영상 기술은 성별에 따라 특정 뇌의 활성화가 다르다는 주장이다. 지나 리폰은 겉으로 보기엔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 이 연구의 허점을 맹렬하게 폭로하는데, 뇌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뛰어나다는 이론엔 어째서 고래가 사람보다 뛰어나지 않은 건지, 몸집과 두뇌의 비로 봤을 때 모든 개 중에서 치와와가 가장 똑똑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점을 말한다. 호르몬 연구는 모든 가정이 간접적인 동물 실험에서 비롯되어 있어 인간을 대변하기 어려운 점. 뇌영상 역시도 성별에 상관없이 각자의 성향에 따라 뇌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통해서 모든 주장을 논파한다.
지나 리폰은 뇌를 구분하는 게 성이 되어선 안 된다고 말한다. 성이라고 하는 차이는 후천적인 성장에 의해서 극복할 수 있으며 어떤 환경에 놓여 있는지가 그 사람이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성으로 나누는 구분이 인간이 가진 가능성이란 놀라운 능력을 저해하는 것이다. 이어서 리폰은 차이에만 집중한 나머지 놓치고 있는 뇌의 관한 특별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가진 가장 값진 능력
이제 지나 리폰은 뇌의 차이에서 벗어나 갓 태어나서 자신의 목도 가누지 못하는 영유아기 아이를 통해 보다 근본적인 인간의 특성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주변의 도움 없인 아무것도 못할 것 같지만, 아기는 그 작은 뇌로도 맹렬하게 주변 정보를 흡수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무한한 스펀지 같은 이 끊임없는 흡수력은 누가 자기에게 호감을 갖고 있는지까지 판단할 정도로 뛰어나다. 그녀는 이 모습에서 보이는 후천적인 학습(성장 가능성)이야말로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며 인간은 바로 이 능력 덕분에 생존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금의 문명을 세울 수 있었다고 말한다.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 힘은 오직 인간에게만 주어진 특별한 능력이다. 남자는 기계를 잘 다루고 여자는 공감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식의 남녀의 틀을 깨부수고 더 이상 편견에 쌓인 차별과 차이에 집중하지 않을 때, 뇌는 우리를 그동안 전혀 볼 수 없었던 특별한 성장의 세계로 인도해 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지나 리폰(지은이)

영국 버밍엄에 있는 애스턴 대학 산하 애스턴 브레인센터에서 인지신경과학을 연구하며 국제적 명성을 얻은 탐구자다. 그녀는 최첨단 뇌 영상화 기법을 활용해 자폐증 같은 발달장애를 조사하는 한편, 영국과학축제(British Science Festival), 뉴 사이언티스트 라이브(New Scientist Live), 스켑틱스 인 더 펍(Sceptics in the Pub) 시리즈 등 대중을 위한 강연에 매년 참석하며 과학을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그녀는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에 영국과학협회의 명예회원으로 선정되었다.

김미선(옮긴이)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했으며 주로 뇌과학과 진화생물학 분야의 책을 옮기고 있다. 옮긴 책으로 『의식의 탐구』, 『꿈꾸는 기계의 진화』, 『기적을 부르는 뇌』, 『생각의 한계』,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뇌과학의 함정』, 『뇌와 삶의 의미』, 『참 괜찮은 죽음』, 『뇌, 인간을 읽다』,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광기와 문명』, 『지구 이야기』, 『걷는 고래』, 『포유류의 번식』 등이 있으며 『진화의 키, 산소 농도』와 『대멸종 연대기』로 제31회와 제38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 번역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추천사
서론

제1부
제1장 · 사냥은 그녀의 자그마한 머리 안에서부터 시작된다
제2장 · 그녀의 날뛰는 호르몬
제3장 · 엉터리 심리학의 부상
제4장 · 뇌 미신, 신경쓰레기와 신경성차별

제2부
제5장 · 21세기의 뇌
제6장 · 사회적 뇌

제3부
제7장 · 아기도 중요하다
제8장 · 아기에게 성원을
제9장 · 우리는 젠더화된 바다에서 헤엄친다

제4부
제10장 · 성과 과학
제11장 · 과학과 뇌
제12장 · 착한 여자아이는 하지 않아
제13장 · 그녀의 앙증맞은 머리 안쪽
제14장 · 화성, 금성 아니면 지구?

결론
감사의 말 / 본문의 주 /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Adee, Sally (2023)
McConell, Glenn (2022)
Hansen, Anders (2022)
Siddhartha, Bikram Panday (2022)
Talu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