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북치는 소년 : 박동욱의 삶과 음악

북치는 소년 : 박동욱의 삶과 음악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혜자 이민희, 저
서명 / 저자사항
북치는 소년 : 박동욱의 삶과 음악 / 김혜자, 이민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모노폴리,   2022  
형태사항
380 p. : 삽화(일부천연색), 악보 ; 23 cm
ISBN
978899195275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74-379
주제명(개인명)
박동욱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819
005 20230731140133
007 ta
008 230405s2022 ulkag b 000c bkor
020 ▼a 9788991952751 ▼g 93670
035 ▼a (KERIS)BIB000016615808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80.92 ▼2 23
085 ▼a 780.92 ▼2 DDCK
090 ▼a 780.92 ▼b 2022z3
100 1 ▼a 김혜자
245 1 0 ▼a 북치는 소년 : ▼b 박동욱의 삶과 음악 / ▼d 김혜자, ▼e 이민희 지음
260 ▼a 서울 : ▼b 모노폴리, ▼c 2022
300 ▼a 380 p. : ▼b 삽화(일부천연색), 악보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74-379
600 1 8 ▼a 박동욱
700 1 ▼a 이민희,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2 2022z3 등록번호 151363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구의 음악문화를 받아들여 자체적인 전통을 구축한 대한민국 양악계가 이제껏 논의하지 않았던 ‘타악기 연주자’ 박동욱의 삶과 예술세계에 대해 심층적인 조망을 시도한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된다. 그 중 1-2장 및 5-6장은 작곡가 김혜자의 저술로, 박동욱을 중심으로 하는 생애사적 사건들과 타악기 주자, 지휘자, 작곡가 및 교육자로서의 활동 사항을 추적한다.

3-4장은 음악학자 이민희의 저술로, 박동욱이 귀국 후 국내 음악계에 팀파니 연주자로 자리 잡는 모습과 한국 현대음악계와의 상호작용 및 ‘타악기’라는 새로운 유형의 악기를 국내에 공표하는 박동욱의 활약을 심도 깊게 분석한다. 7장은 김혜자와 이민희의 공동 저술로, 서양타악기와 국악타악기를 아우르는 박동욱의 주요 작품들을 3기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의 음악세계를 명쾌하게 조망한다.

우리나라에 서양음악이 수용된 시기는 150여 년 전이고, 서양의 어법을 기반으로 ‘작곡’을 시작한지도 100여 년이 지났다. 본 저서 『북치는 소년: 박동욱의 삶과 음악』은 서구의 음악문화를 받아들여 자체적인 전통을 구축한 대한민국 양악계가 이제껏 논의하지 않았던 ‘타악기 연주자’의 삶과 예술세계에 대해 심층적인 조망을 시도한다.

박동욱(1935-)은 국내 음악계에 ‘클래식 타악기 음악’을 뿌리내린 인물이다. 그의 음악 활동은 1954년 해군 군악대에서 시작되어, 1964년 정부의 문화사절인 아리랑민속예술단의 단원으로 참여한 세계 순회공연을 거쳐, 우리나라의 첫 클래식 타악기 전공자로 미국 뉴욕에서 유학과 연주 활동을 활발하게 하던 1970년대부터 큰 의미를 가진다. 박동욱은 1973년 국립교향악단 수석 팀파니스트로 귀국하여 현재까지 타악기 연주자이자 교육자, 지휘자 그리고 작곡가로 60여 년 동안 한국 근현대음악사 발전에 기여하였다. 그는 오케스트라 타악기 주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립교향악단의 실내악연주회를 주관하고 지휘하며 새로운 타악기 레퍼토리의 국내 도입과 초연에 앞장서는 것은 물론, 1982년 국내 첫 타악기 독주회를 통해 독주악기로서의 타악기의 위치를 정립하였다. 박동욱 귀국 이후로 각 대학에 타악기 전공이 신설되었으며, 그는 1973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국내 주요 대학에서 타악기 전공자 및 국악타악기 전공자들을 지도하였다. 더 나아가 1981년 한국타악인회를 발족하며 한국 타악기 음악의 교육 및 발전에 공헌하였으며, 1984년부터 국제기구인 타악예술협회(P.A.S.) 이사로 활동하며 우리나라 전통 타악기와 장단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작곡가들의 작품 연주를 통해 의미 있는 국제교류를 이끌었다. 또한, 타악기가 중심이 되는 작품들을 발표하고 연주함으로써 한국 현대음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가 활동시기 전반에 걸쳐 작곡한 68곡의 작품들은 모두 타악기를 포함하는 실내악, 관현악, 국악관현악, 국악실내악 및 합창곡으로, 그는 작품 속에서 동·서양타악기를 경계 없이 다루는 동시에, 국악타악기의 현대 주법을 계발하여 젊은 국악타악기연주자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982년 올해의 음악가상, 1993년 국민음악상, 2005년 타악예술협회가 수여한 평생교육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발자취는 2018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294, 박동욱』(백영은)을 통해 기록되어 아르코예술기록원에 영구보존 되었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된다. 그 중 1-2장 및 5-6장은 작곡가 김혜자의 저술로, 박동욱을 중심으로 하는 생애사적 사건들과 타악기 주자, 지휘자, 작곡가 및 교육자로서의 활동 사항을 추적한다. 3-4장은 음악학자 이민희의 저술로, 박동욱이 귀국 후 국내 음악계에 팀파니 연주자로 자리 잡는 모습과 한국 현대음악계와의 상호작용 및 ‘타악기’라는 새로운 유형의 악기를 국내에 공표하는 박동욱의 활약을 심도 깊게 분석한다. 7장은 김혜자와 이민희의 공동 저술로, 서양타악기와 국악타악기를 아우르는 박동욱의 주요 작품들을 3기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의 음악세계를 명쾌하게 조망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혜자(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고 일본 엘리자베스 음악대학교에서 종교음악학사 학위(B.S.M.)를 받았으며 오사카 프로무지카 인스티튜트에서 중세와 르네상스 음악을 연구했다. 가곡, 실내악, 합창음악, 국악기를 포함한 음악, 연극음악 등을 작곡했으며 주요작품으로는 <국악관현악을 위한 ‘영산지심’>(2017), <가야금과 장고를 위한 ‘어느 날 밤, 악사에게’>(2014), <타악기 독주를 위한 ‘깊고 투명한 블루’>(2006), <6인의 주자에 의한 ‘꼴라쥬’>(2004), <오르간을 위한 ‘두 개의 부속가에 따른 영상’>(1999), <칸타타 ‘내일은 환한 아침’>(1999), <소프라노와 타악기를 위한 ‘스타바트 마테르’>(1993), <혼성합창과 현악앙상블을 위한 ‘미사’>(1970) 등이 있다.

이민희(지은이)

추계예술대학교 작곡과 및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음악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디지털 미니멀 음악(Digital Minimal Music)의 양상과 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20세기 음악, 음악극, 한국의 현대음악이며 “독립된 음악창작 카테고리로서의 ‘소극장오페라’에 대한 고찰”(2021), “미니멀리즘 음악의 수렴하고 발산하는 정의들에 관한 고찰”(2017)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추계예대·충남대 강사, 월간리뷰·(사)화음의 음악평론가 및 비평웹진 ‘멜로스’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장. 소년, 해군 군악대와 만나다
2장. 하와이, 프랑크푸르트를 거져 마침내 뉴욕으로
3장. 귀국, 타악기의 새로움과 그 역할을 공표함
4장. 개인 연주자로서의 도약
5장. 다시 새로운 꿈을 꾸다
6장. 더 많은 이들과 타악기를 즐기고자 하는 노력들
7장. 박동욱의 음악세계
연보 및 작품목록
참고문헌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