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602 | |
005 | 20230403102606 | |
007 | ta | |
008 | 230329s2023 ulk b 001a kor | |
020 | ▼a 9788999728488 ▼g 0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1.90973 ▼2 23 |
085 | ▼a 371.90973 ▼2 DDCK | |
090 | ▼a 371.90973 ▼b 2023 | |
100 | 1 | ▼a 신경아 |
245 | 1 0 | ▼a 좌충우돌 미국의 통합교육 이야기 : ▼b 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학생들과의 학교생활 이야기 / ▼d 신경아 저 |
246 | 1 1 | ▼a Survival story of a Korean teacher in American school special ed : ▼b Teaching students wtih ADHD, ASD, SLD, ED, and ODD in LRE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 |
300 | ▼a 213 p. ; ▼c 21 cm | |
504 | ▼a 참고문헌(p. 208-209)과 색인수록 | |
900 | 1 0 | ▼a Shin, Kyoung A,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90973 2023 | 등록번호 1118788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내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10여 년 동안 통합학급의 교사 생활을 하다 늦은 나이에 미국으로 건너가 특수교육을 공부를 하고 미국 공립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로 생활하면서 느낀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담았다.
미국 애리조나주의 공립 초등학교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ADHD, 학습장애, 정서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은 어떤 식으로 학교 시스템에서 진단을 받고 특수교육 대상자로 인정되고 특수교육을 받게 되는지에 대한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된 방법들과 내용들이 한국의 특수교육 관련 가족들에게 생각과 삶의 폭을 넓혀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이들이 공부를 못 하는 것,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은 당신 탓이 아니에요.“
한국에서의 장애인 교육 즉, 특수교육은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에 따라 장애인 교육권을 보장한다는 것이 목표다. 특수교육의 대상자라면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고 상담지원, 가족지원, 치료비 지원, 학습 보조 기기 지원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법률에 명시된 것과 현실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기이할 정도로 학구열에 높은 한국에서 입시 위주 교육 체제가 굳어져 장애인 교육은 소외당하기 십상이고 그들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 개선도 이루어지지 않는 등 기대에 못 미치는 정책이라는 평가가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미국에서의 특수교육은 어떨까? 늦은 나이에 미국에서 공립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가 된 본 도서의 저자 신경아 교사의 글을 보면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장애학생들을 가르치며 그 아이들을 자신의 틀에 맞추어 교육하고 변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생각했으며 그들을 이해하고 맞추어 스스로를 변화시킬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다. 하지만 미국에서 직접 교사로 일하며 점차 생각이 바뀌었다. 특히 미국에서는 장애학생 교육이 부모나 한 가정의 범위를 넘어서서 학교, 지역 사회 그리고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가령 모든 교육 기자재, 특수 유동식까지 장애학생들에게 무상으로 제공되는 미국 교육기관의 압도적인 시설 및 교육 기자재와 풍부한 인적자원은 까무러칠 정도로 놀라운 일이었다고 표현했다.
이처럼 본 저서는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일반적인 통합교육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ADHD, 학습장애, 정서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은 어떤 식으로 학교 시스템에서 진단을 받고, 어떻게 특수교육 대상자로 인정되며 특수교육을 받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학교 선생님, 학부모와 특수교육에 관심 있는 일반인에게 미국 특수교육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책에서의 방법과 내용이 국내 특수교육 종사자와 가족들에게 생각의 스펙트럼을 넓혀주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신경아(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Grand Canyon University에서 Master of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Leads to Initial Teacher Licensure를 졸업하였다. 중앙기독초등학교에서 약 13년간 교사로 근무하면서 통합학급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복합장애를 지닌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1999년 EBS에서 방영한 <학교현장보고-#61 협동사회 수업> 편에 수업 사례가 방영되기도 하였다. 2015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특수교육을 공부하고, 2019년부터 애리조나 피닉스 및 템피 지역에 있는 Kyrene School District에 속한 Waggoner Elementary School과 Mariposa Elementary School에서 특수교육 선생님, 즉 Resource Teacher로 근무하고 있다. 통합학급에서 주로 ADHD, 학습장애, 정서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목차
제1부 미국에서 특수교육 선생님 되기 01 특수교육 선생님 되기 02 나이, 인종, 성별을 뛰어넘는 특수교육 03 특수교육 선생님의 현실 04 아이들에게서 배우는 특수교육 제2부 미국 특수교육의 특징 05 「FAPE」 06 일등을 만드는 교육 vs 꼴등을 없애는 교육 07 특수교육에 관련된 오해 08 자립을 북돋는 말, 비계 제3부 팀으로 일하는 특수교육-모든 것을 함께 결정하기 09 자료실 선생님? 특수교육 선생님! 10 팀으로 일하는 특수교육 11 당당한 학부모, 쿨한 선생님 12 공간을 함께하기, 활동을 같이하기-함께하는 첫걸음 제4부 현장의 이야기 13 특수교육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14 특수교육이 필요하다면-미국에서의 절차 15 IEP 미팅 16 분노왕-정서장애 17 기분왕-정서장애 18 분노왕+기분왕=적대적 반항장애 19 좋아하는 것만 집중이 잘돼요-ADHD 20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으라-난독증 21 뇌전증 22 공부를 못하는 것은 누구 탓일까-학습장애 23 교통사고나 정신적인 충격으로 인지기능이 낮아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