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600 | |
005 | 20230417093136 | |
007 | ta | |
008 | 230329s2023 ulk b 000a kor | |
020 | ▼a 9791159057649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2009 ▼2 23 |
085 | ▼a 897.2009 ▼2 DDCK | |
090 | ▼a 897.2009 ▼b 2023 | |
100 | 1 | ▼a 이지아, ▼g 李沚砑 |
245 | 1 0 | ▼a 한국 시극 작품에 나타난 공간성 = ▼x A study on the spatiality shown in Korean poetic drama works / ▼d 이지아 지음 |
246 | 3 1 | ▼a Study on the spatiality shown in Korean poetic drama works |
260 |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23 | |
300 | ▼a 284 p. ; ▼c 23 cm | |
500 | ▼a '이지아'의 본명은 '이현정'임 | |
504 | ▼a 참고문헌: p. 277-284 | |
900 | 1 0 | ▼a Lee Ji-a, ▼e 저 |
900 | 1 0 | ▼a 이현정,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2009 2023 | Accession No. 11187888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극'에 대한 분석을 하면서, 왜 작가들은 시극에 이끌렸는지를 '공간성'으로 풀어낸 책이다. 한국 시극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성의 특징을 역사적 공간과 설화적 공간, 현실적 공간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김명순·박아지·전봉건·신동엽·홍윤숙·장호·최인훈·문정희·김정환·황지우 등 모두 10명의 작가와 17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극은 시와 극의 특징을 통해 어떻게 창조될 수 있을까? 이를테면 시대마다 새로운 시극 작품은 왜 끊임없이 탄생하고, 우리는 늘 그 창조의 울타리에서 얻은 감동을 후세와 전유하고 있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는 과정이 담긴 책이다. 저자는 한국 시극의 형태를 시적인 것과 극적인 것이 통합되어 다양한 ‘공간성’을 보여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한다. ‘공간성’은 다른 장르와 구별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먼저 ‘시극’에 대한 분석을 하면서, 왜 작가들은 시극에 이끌렸는지를 ‘공간성’으로 풀어내고 있다.
한국 시극에 나타난 역사적 공간ㆍ설화적 공간ㆍ현실적 공간
첫째, 역사적 공간은 역사적 사건이나 역사적 인물을 변용하여 시극을 창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특정한 장소와 희생당한 인물을 보여주기도 하며, 실제 무대에서 제한적인 공연 시간의 한계를 넘어 초월적 시간 속으로 넘나들게도 한다. 관객이나 독자가 작품을 수용할 때, 역사적 공간을 통한 작품을 보면서 자신의 상황을 반추하고 새로운 인식을 할 수 있다.
둘째, 설화적 공간에 대한 작품이다. 한국의 시극 작품에서 설화적 공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특징을 이해하고 익숙한 이야기에 상상을 부여하는 작업을 하게 한다. 가령 꿈과 현실의 공간을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분화된 공간에서 인물은 시련을 극복하고 새로운 환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셋째, 현실적 공간이다. 바슐라르는 문학에서 ‘공간’은 “내밀의 공간과 외부공간, 이 두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학적 공간은 사람들의 현실에 반영되며 독자들의 내적 공간을 움직이게 한다. 이 말은 작가와 독자는 현실의 공간이 이상적인 공간으로 변화하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실적 공간은 실제 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 창작된다. 또한 무대가 없는 라디오 시극은 작품을 통해 청각적 효과를 밝힐 수 있다. 청각적 감각을 통해 현실에 없는 공간을 상상하는 일은 다른 현실을 창조하는 길이며, 시극 작품의 의의를 상승시킬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3 들어가며 11 제1부 시극의 역사적 공간-역사적 해석에 따른 창작 제1장 역사적 공간의 형상화 59 황지우의 〈오월의 신부〉 1. 역사적 사건과 〈오월의 신부〉 59 2. 시극의 필연적 특징 분석 71 3. 세대 갈등과 폭력성 -황지우의 〈오월의 신부〉와 박아지의 〈아버지와 딸〉 80 제2장 전쟁 상황의 특수 공간 87 신동엽의 〈그 입술에 파인 그늘〉 1. 이념과 극적 갈등 분석-제도를 벗어난 인간의 자리 90 2. 시극의 필연적 특징 분석 100 3. 시간의 중첩 공간-김정환의 〈열려라, 미래의 나라〉 108 4. 미시사의 공간화-최인훈의 〈한스와 그레텔〉 119 제2부 시극의 설화적 공간-설화 수용 제1장 설화 시극의 의미와 가치 141 제2장 최인훈의 희곡을 시극으로 보는 이유 145 제3장 최인훈 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 154 1. 꿈과 현실의 공간-〈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54 2. 우화적 민담을 통한 플롯-〈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 165 3. 욕망과 억압의 장소-〈둥둥 낙랑낙랑樂浪둥〉 173 4.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182 제4장 문정희 작품 내용과 시극적 특징 195 1. 삶의 고통을 극복하는 배경-〈나비의 탄생〉 199 2. 권력과 사랑을 통한 갈등-〈도미〉 202 3. 여성 인물의 능동적 행동 -문정희의 〈나비의 탄생〉과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비교 209 4. 인물의 시련과 ‘건축’ 작업의 공간 의미 -문정희의 〈도미〉와 전봉건의 〈무영탑〉 비교 214 제3부 시극의 현실적 공간 제1장 현실적 갈등을 통한 시극 전개 221 1. 현실과 환상의 가치-김명순의 〈조로朝露의 화몽花夢〉 223 2. 현실 인식의 공간화-홍윤숙의 〈에덴, 그 후後의 도시都市〉 235 제2장 라디오 시극의 공간과 효과 253 1. 플롯의 단순화 공간-전봉건의 〈꽃소라〉 253 2. 청각적 감각의 공간-장호의 〈사냥꾼의 일기〉 263 마치며 271 참고문헌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