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597 | |
005 | 20230403091234 | |
007 | ta | |
008 | 230329s2023 ggkad b 000a kor | |
020 | ▼a 9791165874346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099287 ▼2 23 |
085 | ▼a 897.099287 ▼2 DDCK | |
090 | ▼a 897.099287 ▼b 2023 | |
245 | 0 0 | ▼a 교차하는 페미니즘 : ▼b 한국어문학에 나타난 젠더 (무)의식 / ▼d 권영빈 [외] |
260 | ▼a 파주 : ▼b 보고사, ▼c 2023 | |
300 | ▼a 380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개양어문총서 ; ▼v 1 |
500 | ▼a 공저자: 김지율, 이시성, 최병구, 권복순, 김민정, 김정호, 윤정안, 강민정, 강현주, 박시은 | |
504 | ▼a 참고문헌: p. [365]-380 | |
700 | 1 | ▼a 권영빈, ▼e 저 |
700 | 1 | ▼a 김지율, ▼e 저 |
700 | 1 | ▼a 이시성, ▼e 저 |
700 | 1 | ▼a 최병구, ▼e 저 |
700 | 1 | ▼a 권복순, ▼e 저 |
700 | 1 | ▼a 김민정, ▼e 저 |
700 | 1 | ▼a 김정호, ▼e 저 |
700 | 1 | ▼a 윤정안, ▼e 저 |
700 | 1 | ▼a 강민정, ▼e 저 |
700 | 1 | ▼a 강현주, ▼e 저 |
700 | 1 | ▼a 박시은, ▼e 저 |
830 | 0 | ▼a 개양어문총서 ; ▼v 1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99287 2023 | Accession No. 1118788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1장 ''소수자''의 아카이브 -문학과 사건 [권영빈] 『82년생 김지영」으로 바라본 정동 장치로서의 소설과 문학주체 되기 허수경 시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와 생태적 상상력 [김지율] 죄의식이 구원에 이르기까지 [이시성]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전쟁-여성'' 모티프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횡단하는 사이보그: 여성·노인·동성애자 [최병구] 윤이형 소설을 중심으로 2장 문학으로 재현된 여성의 목소리, 다시 듣기 〈지장본풀이〉의 공간과 의미 층위 [권복순] 〈화산선계록〉에 나타난 조력자로서의 비복(婢僕) [김민정] 비취 · 비운 남매를 중심으로 경남 진주의 여성 한글 제문 연구 [김정호] 진주 지역 창자의 제보 자료를 바탕으로 남성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남성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창선감의록」의 형제 다툼의 양상과 의미 [윤정안] 3장 언어 속의 젠더 권력 핵심어 분석을 통한 성별 발화 특성 연구 [강민정] 남녀 관련 신어의 변화에 대한 고찰 [강현주]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어를 대상으로 여성어의 의미 가치 하락 [박시은] 참고문헌 논문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