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578 | |
005 | 20230331102701 | |
007 | ta | |
008 | 230329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69190145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366456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495.7071 ▼a 306.4409519 ▼2 23 |
085 | ▼a 497.071 ▼2 DDCK | |
090 | ▼a 497.071 ▼b 2022z3 | |
245 | 2 0 | ▼a (융합의 시대) 공공 언어, 공적 리터러시 / ▼d 송현주 [외] |
246 | 1 1 | ▼a Literacy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2 | |
300 | ▼a 420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문화와 융합 총서 ; ▼v 02 |
500 | ▼a 공저자: 윤효승, 김이은, 김상훈, 임은영, 이미혜, 김의숙, 윤신원, 김윤경, 박영순, 김윤정, 이민경, 김혜진, 이양금, 문혜영, 정지은, 이효진, 정하길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Korean language ▼x Social aspects |
650 | 0 | ▼a Korean language ▼x Study and teaching |
650 | 0 | ▼a Mass media and education ▼z Korea (South) |
650 | 0 | ▼a Literacy ▼z Korea (South) |
700 | 1 | ▼a 송현주, ▼e 저 |
700 | 1 | ▼a 윤효승, ▼e 저 |
700 | 1 | ▼a 김이은, ▼e 저 |
700 | 1 | ▼a 김상훈, ▼e 저 |
700 | 1 | ▼a 임은영, ▼e 저 |
700 | 1 | ▼a 이미혜, ▼e 저 |
700 | 1 | ▼a 김의숙, ▼e 저 |
700 | 1 | ▼a 윤신원, ▼e 저 |
700 | 1 | ▼a 김윤경, ▼e 저 |
700 | 1 | ▼a 박영순, ▼e 저 |
700 | 1 | ▼a 김윤정, ▼e 저 |
700 | 1 | ▼a 이민경, ▼e 저 |
700 | 1 | ▼a 김혜진, ▼e 저 |
700 | 1 | ▼a 이양금, ▼e 저 |
700 | 1 | ▼a 문혜영, ▼e 저 |
700 | 1 | ▼a 정지은, ▼e 저 |
700 | 1 | ▼a 이효진, ▼e 저 |
700 | 1 | ▼a 정하길, ▼e 저 |
830 | 0 | ▼a 문화와 융합 총서 ; ▼v 0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1 2022z3 | 등록번호 11187886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9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화와 융합> 총서 시리즈는 교육, 문학, 문화, 예술, 행정, 사회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시도한 융합 연구 가운데 우수한 성과물만을 엄선하여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깊이 있는 지식을 전달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책은 그동안 <문화와 융합>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융합 연구의 학술적 담론을 재구성하여 집필되었다. 학문 간의 융합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다각도로 탐색하여 실용적인 논의들을 담고자 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융합 연구의 실체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며, 유용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학문 간의 협력과 상호 소통, 통합과 공존을 이루어 갈 수 있는 융합적 연구 환경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와 융합> 총서 시리즈는 교육, 문학, 문화, 예술, 행정, 사회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시도한 융합 연구 가운데 우수한 성과물만을 엄선하여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깊이 있는 지식을 전달하고자 기획되었다.
최근 융합 연구는 공존과 통합을 추구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혁신적인 과제로서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제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융합적 탐구를 위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학문 간의 융합은 다양한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며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자, 시대의 요구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와 융합> 총서 시리즈는 융합 연구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 실제적인 해답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 책은 그동안 <문화와 융합>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융합 연구의 학술적 담론을 재구성하여 집필되었다. 학문 간의 융합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다각도로 탐색하여 실용적인 논의들을 담고자 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융합 연구의 실체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며, 유용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학문 간의 협력과 상호 소통, 통합과 공존을 이루어 갈 수 있는 융합적 연구 환경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송현주(지은이)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경북대학교 언어정보연구센터 연구원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중일 언어를 통해 본 삼국의 사회와 문화』(2018), 『한국어로 보는 한국문화』(2019) 공저
윤신원(지은이)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문학박사 (응용텍스트학 전공)
박영순(지은이)
중국 푸단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이다. 최근 주로 고대 문인집단, 지식 교류와 수용, 문학의 지리학, 유민문학과 유배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임진숙(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공저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 ≪표준 한국어 1~6≫ 등이 있다. 쓰기 논문 다수와 -한국어 교육에서 부정 의미 ‘말다’ 반복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이유 표현 ‘(으)로 인하여’, ‘(으)로 말미암아’ 연구: 조사?불완전 용언 활용형 결합의 복합 형태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 명사 후치 표현에 대한 연구: 동사적 구성을 중심으로>, -종결기능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형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연구>의 문법 연구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FonF와 PBL의 절충적 문법 수업 사례 연구> 등의 수업 사례 연구 등이 있다.
윤효승(지은이)
서울대학교 문학석사(노어노문학 전공) 부산대학교 박사과정(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김이은(지은이)
건국대학교 박사(문화콘텐츠 전공) 한양대학교 동양문화학과 교수
김상훈(지은이)
상명대학교 교육학 박사수료(한국어교육 전공) 상명대학교 기획조정처 전략평가팀 과장
임은영(지은이)
동신대학교 문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동신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교수
이미혜(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국어국문학 전공)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김의숙(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국제한국어교육 전공)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김윤경(지은이)
동국대학교 문학박사(국어국문학 전공)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
김윤정(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박사(국어교육 전공)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교양대학 교수
이민경(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김혜진(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이양금(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초빙교수
문혜영(지은이)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정지은(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박사(한국어교육 전공) 한동대학교 글로벌한국학 교수
이효진(지은이)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정하길(지은이)
연세대학교 석사과정(한국어교육 전공)

목차
축사 발간사 서문 1부 공공 언어의 지형도 확장 01장 2019-2020년 ‘사람’ 신어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특성 1. 신어에 대한 다양한 관심 2. 사람 관련 신어에 대한 유형 분류 3. 분야별 신어의 사회문화적 특성 4. 신어가 보여주는 한국 사회의 모습 02장 옥스퍼드 사전에 등재된 한국어 어휘의 분석 1. ‘파이팅’과 OED 2. 옥스퍼드 영어사전 소개 3. 옥스퍼드 영어사전 등재 한국어 어휘의 형태 분석 4. 옥스퍼드 영어사전 등재 한국어 어휘의 의미 분석 5. 한국어 어휘 교육 03장 이날치 밴드의 「수궁가」를 통해 본 한국 문화코드로서의 동물상징 확산 현상 연구 1. 「수궁가」의 신선한 신드롬 2. 신수(神獸)로서 대상화 3. 도상과 이야기에 나타난 동물상징의 문화코드 4. 복제되는 동물상징을 통한 전통문화의 확산 5. 동물상징으로 연결되는 시공(時空)의 문화정체성 04장 지자체 홈페이지에 나타난 칭찬의 언어 1. 일상이 된 비대면 소통 시대의 비대면 칭찬 2. 칭찬의 대상과 전략적인 칭찬의 중요성 3. 칭찬의 기본이 되는 전략 4. 칭찬의 효과를 높이는 전략 5. 정서 충족을 위한 칭찬 05장 리메이크 영화와 드라마 속 한·미 남녀 발화의 비교문화적 화행 연구 1. 한국어 의문문의 지시화행 2. 리메이크 작품과 비교문화연구 3. 한·미 대조 분석 4. 상이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한 한·미 남녀의 발화 2부 공적 리터러시의 진화 06장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문화 다양성 반영 사례 연구 1. 한국어 교재와 문화 다양성 2. 교재 특성과 교재 개발 과정 3. 문화 다양성의 개념과 요소 4. 문화 다양성 반영 사례 5. 문화 다양성 반영에 대한 반성과 제언 07장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경조사 어휘장 구축에 관한 연구 1. 원활한 소통, 그 방안을 모색하다 2. 경조사 연구의 범위 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경조사 어휘 목록 분석 4. 의례문화별 경조사 어휘장 구축 5. 경조사 어휘장의 구축에 대해서 08장 유튜브 방송과 독서의 융합 방안 1.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 독서 2. 미디어와 독서의 융합에 관한 다양한 시도와 담론들 3.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현황 4.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특성 5. 유튜브 방송과 아동 독서의 융합 방안 09장 1950년대 ‘글 쓰는 여성’의 문화적 의미 연구 1. 여성작가(The Women Writer)와 글 쓰는 여성(Writing Women) 2. 여성지의 성장과 글 쓰는 여성의 증가 3. 소설쓰기를 통한 자기정체성의 구성 4. 아마추어 작가의 글쓰기 5. ‘글 쓰는 여성’의 의미 10장 제도의 문체와 지식인의 글쓰기 1. 관리선발제도와 제도의 문체 2. 과거제도와 팔고취사제 3. 팔고문의 사례 분석 4. 제도와 문풍의 상관성 5. 제도와 지식인의 상관성 6. 비판과 소멸 3부 공적 리터러시와 융합적 실천 11장 성숙한 민주시민으로서의 변혁적 역량 신장을 위한 사이버 의사소통 교육 방안 모색 1. 성숙한 민주시민의 자질로서 변혁적 역량의 개념 2. 사이버 의사소통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3. 공론화된 논의에 관한 사이버 의사소통 양상 4. 사이버 의사소통 교육 방안 12장 웹드라마 〈오피스워치 시즌1〉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1. 한류와 뉴미디어 시대, 교육 자료로서의 웹드라마 2. 한국어교육에서의 웹드라마 활용에 대한 고찰 3. 〈오피스워치 시즌1〉에서 도출할 수 있는 문화 및 화용 요소 4. 〈오피스워치 시즌1〉을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5. 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제언 13장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과 설화 교육 실행 1. 설화를 활용한 문화적 문식력 교육의 의의 2. 실행 연구의 개념과 특징 3. 실행 연구의 대상과 방법 4. 설화 교육 실행 연구 과정과 결과 5.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육 실행 연구의 결과 14장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하브루타 기반 언어문화 교육 1.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언어문화 교육 2.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속담과 관용어 3. 하브루타 기반 언어문화 교육방안 4. 하브루타 기반 언어문화 교육방안의 의의 15장 하이브리드 러닝과 해외 학습자 대상 비대면 「한국어교육실습」 1. 비대면 시대, 「한국어교육실습」의 기회 2. 하이브리드 러닝 「한국어교육실습」 설계 3. 비대면 해외 강의실습 운영 사례 4. 비대면 해외 강의실습 운영 결과 5. 정리하기: 「한국어교육실습」과 비대면 교육의 미래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