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544 | |
005 | 20230331162002 | |
007 | ta | |
008 | 230329s2023 ulk b 000a kor | |
020 | ▼a 9791192647081 ▼g 931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8.723 ▼2 23 |
085 | ▼a 158.723 ▼2 DDCK | |
090 | ▼a 158.723 ▼b 2023z1 | |
245 | 0 0 | ▼a 피로 철학 상담 / ▼d 김선희 [외] |
260 | ▼a 서울 : ▼b 앨피, ▼c 2023 | |
300 | ▼a 203 p. ; ▼c 22 cm | |
490 | 1 0 | ▼a 철학실천총서 ; ▼v 3 |
500 | ▼a 공저자: 박병준, 이기원, 이진오, 홍경자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 BK21(Four) 미래인재 양성 사업의 연구 성과를 엮은 것이며, 한국연구재단 미래인재 양성사업의 사업비를 지원받았음 | |
700 | 1 | ▼a 김선희, ▼g 金善姬, ▼d 1966-, ▼e 저 ▼0 AUTH(211009)74370 |
700 | 1 | ▼a 박병준, ▼e 저 |
700 | 1 | ▼a 이기원, ▼g 李基原, ▼d 1971-, ▼e 저 ▼0 AUTH(211009)20248 |
700 | 1 | ▼a 이진오, ▼g 李珍吾, ▼d 1964-, ▼e 저 ▼0 AUTH(211009)110548 |
700 | 1 | ▼a 홍경자, ▼e 저 |
830 | 0 | ▼a 철학실천총서 ; ▼v 3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8.723 2023z1 | Accession No. 11187882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피로’를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원인 진단과 더불어 대안을 제시하는 국내 철학상담 전문가들의 글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로의 장기화와 만성화의 철학적 원인을 분석하고 해소 피로의 악순환이라는 ‘프로메테우스의 쇠사슬’을 끊을 수 있는 방법으로 니체의 피로회복 담론을 재조명하였다.
노동을 바라보는 세계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자기변형의 중요성 탐색, ‘자율주체’ 회복과 관련하여 돌봄의 의미 분석과 신체적 돌봄 방법 모색, ‘피상적 피로’와 ‘실존적 피로’의 구분을 통한 철학상담의 대상 규명, 행복강박증의 부작용과 역기능을 탐색함으로써 긍정성의 반대인 부정성이 갖는 치유의 힘과 철학상담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과잉긍정, 성과주의, 피로, 과로, 번아웃 …
일상 회복과 치유를 위한 철학상담의 실천적 해법
급변하는 21세기에 우리가 겪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피로의 누적은 더이상 일시적 현상이 아닌 일상의 병리적 현상이 되었다. 피로, 과로, 번아웃burnout 등 일상을 지배하는 병리적 현상에 대한 진단적 성찰과 치유적 실천의 모색은 21세기 철학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이 책은 그러한 시대적 화두로서 ‘피로’를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원인 진단과 더불어 대안을 제시하는 국내 철학상담 전문가들의 글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로의 장기화와 만성화의 철학적 원인을 분석하고 해소 피로의 악순환이라는 ‘프로메테우스의 쇠사슬’을 끊을 수 있는 방법으로 니체의 피로회복 담론 재조명, 노동을 바라보는 세계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자기변형의 중요성 탐색, ‘자율주체’ 회복과 관련하여 돌봄의 의미 분석과 신체적 돌봄 방법 모색, ‘피상적 피로’와 ‘실존적 피로’의 구분을 통한 철학상담의 대상 규명, 행복강박증의 부작용과 역기능을 탐색함으로써 긍정성의 반대인 부정성이 갖는 치유의 힘과 철학상담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진오(지은이)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서울대, 경인교대, 서울시립대, 명지대 등에서 철학과 철학상담을 가르쳤다. 서강대 철학연구소에서 상임연구원으로 일했고, 경희대학교 철학과에서 연구박사를 역임하였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수련감독과 한국인문철학연구원 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철학수업》(2011)과 《실존철학입문》(2021) 등이 있다.
이기원(지은이)
강원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일본 교토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및 철학상담치료 인재양성 프로그램 사업팀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마음: 철학으로 치료한다》(공저), 《철학상담 방법론》(공저), 《동서철학상담 10강》(공저), 《철학의 여러 문제와 철학실천》(공저), 옮긴 책으로는 《시련과 성숙: 자기변용의 철학》 등이 있다.
김선희(지은이)
강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 철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니체학회 회장,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부회장, 철학상담수련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디지털시대, 상실된 감각의 니체적 회복과 감각철학상담>(2022) 등이 있고, 저서로 《니체 & 쇼펜하우어》(2011), 《마음, 철학으로 치료한다》(공저, 2011), 《동서 철학상담 10강》(공저, 2020), 《초연결의 철학》(공저, 2021),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과 위험성》(공저, 2022) 등이 있다.
박병준(지은이)
서울가톨릭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교 신학부에서 철학 석사학위와 교회 학위인 철학 Licentiatum를 취득하였으며, 이탈리아 로마교황청 그레고리아나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신학대학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해석학회장・한국가톨릭철학회장・초대 한국생사학회장・철학연구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회장이자 수련감독으로 있다. 저서로 《Anthropologie und Ontologie》(1999), 《아픈 영혼을 철학으로 치유하기–철학상담을 위한 공감적 대화와 초월 기법》(공저, 2018), 《코로나 블루, 철학의 위안》(공저 2020) 등이 있다.
홍경자(지은이)
양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HK교수이자 생명교육융합대학원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철학연구회 부회장과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부회장이자 교육이사를 겸임하고 있다. 철학상담 수련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저서로 《아픈 영혼을 철학으로 치유하기–철학상담을 위한 공감적 대화와 초월 기법》(공저, 2018), 《코로나 블루, 철학의 위안》(공저 202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피로 회복, 사색적 삶에 예술적 삶을 품다 ┃ 김선희┃ 삶vita, 피로에 빠지다 1 피로의 원형: 호메로스, 신체결박과 귀의 봉인 그리고 음악의 죽음과 사유의 지배 피로의 역설적 현상: 한병철, 사색적 삶과 활동적 삶의 수직관계 피로 회복: 니체, 대지와 신체의 긍정으로서 비타 아르티바 삶의 치유력을 회복하자 피로와 철학상담: ‘성과주체’에서 ‘열매주체’로 ┃ 박병준┃ 들어가는 말 피로사회의 성과주체와 노동 노동사회와 피로 성과주체의 삶에서 열매주체의 삶으로 전환 나가는 말 ‘피로’시대의 돌봄과 주체적 신체성 ┃이기원┃ 머리말 신체로의 시선 자율주체와 신체 심질의 극복을 위한 신체 신체적 수양과 지속성 ‘불안’을 넘어 ‘편안’한 신체로 삶의 지향과 즐김의 신체 내려놓기와 에너지의 응축 맺음말 피상적 피로와 실존적 피로: 철학상담 대상 탐색 ┃ 이진오┃ 철학상담의 대상은 무엇인가? 피로사회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사회와 피상적 피로 실존적 피로 실존적 피로와 허무주의 실존적 피로와 철학상담 피로와 행복 ┃홍경자┃ 들어가는 말 의무가 되어 버린 행복? 피로: 긍정성의 과잉 행복 치유: ‘부정성’이 지닌 긍정의 힘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