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521 | |
005 | 20230330171152 | |
007 | ta | |
008 | 230329s2023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98555221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6680669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700.681 ▼2 23 |
085 | ▼a 700.681 ▼2 DDCK | |
090 | ▼a 700.681 ▼b 2023 | |
100 | 1 | ▼a 김성규, ▼g 金成圭 |
245 | 1 0 | ▼a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 ▼x Art & culture organization fundraising / ▼d 김성규 지음 |
246 | 3 1 | ▼a Art and culture organization fundraising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이음스토리, ▼c 2023 | |
300 | ▼a 482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482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681 2023 | Accession No. 11187880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화예술단체들이 어디서 어떻게 재원을 조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타는 갈증을 느껴 온 관계자들에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책이다. 2015년 초판을 발행했으나, 이 후 보조금 정산과 관련하여 e나라도움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세법을 비롯하여 기부금 관련 법률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기업에서는 ESG 경영에 대한 화두가 몇 년째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도 문화예술 기부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으며, 많은 사례들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오래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제1장에서는 기존의 내용을 압축하는 대신 조직별 특성과 펀드레이저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공지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보완하였고, 지원기관(공공, 민간)과 공공재원에 대하여 새롭게 정리하였다. 제3장은 기부금 모금과 기부사례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다. 제4장은 ESG경영에 대한 내용이 새롭게 삽입되었다.
문화예술단체, 어디서 재원을 마련해야 할까?
문화예술단체들이 어디서 어떻게 재원을 조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타는 갈증을 느껴 온 관계자들에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책
8년전 초판을 발행했으나, 이 후 보조금 정산과 관련하여 e나라도움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세법을 비롯하여 기부금 관련 법률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기업에서는 ESG 경영에 대한 화두가 몇 년째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도 문화예술 기부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으며, 많은 사례들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오래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제1장에서는 기존의 내용을 압축하는 대신 조직별 특성과 펀드레이저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공지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보완하였고, 지원기관(공공, 민간)과 공공재원에 대하여 새롭게 정리하였다. 제3장은 기부금 모금과 기부사례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다. 제4장은 ESG경영에 대한 내용이 새롭게 삽입되었다.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개정된 이 책을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에 재원조성이 잘 정착되고 아트펀드레이저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모습을 보고 싶은 마음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성규(지은이)
1982년 경기고등학교 졸업 1986 서강대 경영학과 졸업 1986년 공인회계사 합격 1998년~2002년 미래회계사무소 대표 2003년~2018년 한미회계법인 대표이사 2018년~2021년 세종문화회관 사장 2021년~현재 한미회계법인 부회장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사단법인 한국모금가협회 이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모금분과실행위원회 위원 예술의전당 기부금운영위원회 위원 연수문화재단 기금심의위원회 위원 한국시각예술저작권협의회 감사 벽산문화재단 감사 아트만자산운용 감사 [저서] 문화예술단체 설립과 관리실무(2002, 문자향) 예술단체의 재원조성과 투자유치(2004, 경인문화사) 예술단체를 위한 회계와 세무(2005, 역사넷) 예술경영조직론(2008, 역사넷)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2015, 이음스토리) [수상] 2005 메세나 대상 - 메세나인상(문화관광부 장관상) 2007 문화관광부 장관 표창 2012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2019 ARKO 예술후원인대상(후원매개 부문) 공인회계사를 천직으로 살아가다 1998년에 우연히 문화예술계를 접한 이후 그동안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문화예술계에서 강의, 컨설팅, 자문 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하다가 세종문화회관 사장으로 현장에까지 뛰어들었다. 임기를 마친 후 다시 한미회계법인으로 돌아가 현재는 문화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2005년 메세나인상을 비롯하여 문화부장관상을 3차례 수상하였고, 2019년에는 ARKO 예술후원인대상(후원매개 부문)을 수상하였다.

Table of Contents
문화예술단체, 어디서 재원을 마련해야 할까? 문화예술단체들이 어디서 어떻게 재원을 조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타는 갈증을 느껴 온 관계자들에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책 8년전 초판을 발행했으나, 이 후 보조금 정산과 관련하여 e나라도움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세법을 비롯하여 기부금 관련 법률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기업에서는 ESG 경영에 대한 화두가 몇 년째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도 문화예술 기부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으며, 많은 사례들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오래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제1장에서는 기존의 내용을 압축하는 대신 조직별 특성과 펀드레이저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공지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보완하였고, 지원기관(공공, 민간)과 공공재원에 대하여 새롭게 정리하였다. 제3장은 기부금 모금과 기부사례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다. 제4장은 ESG경영에 대한 내용이 새롭게 삽입되었다.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개정된 이 책을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에 재원조성이 잘 정착되고 아트펀드레이저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모습을 보고 싶은 마음으로 발간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