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es PM2.5 information disclosure increase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전자자료] : based on data from China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406 | |
005 | 20230524105428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21225s2023 ulkad obmAC 000c eng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eng ▼b kor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F2 ▼c 1509 | |
100 | 1 | ▼a Xi, Xueqing |
245 | 1 0 | ▼a Does PM2.5 information disclosure increase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h [전자자료] : ▼b based on data from China / ▼d Xi Xueqing |
246 | 1 1 | ▼a PM2.5 정보 공개는 예방적 보건 지출을 상승시킬 것인가 : ▼b 중국 데이터 기반 |
260 | ▼a Seoul : ▼b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vi, 30, I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
500 | ▼a 지도교수: 김범수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제학과, ▼d 2023. 2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3 | ▼a air pollution ▼a PM2.5 ▼a household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a difference-in-difference model ▼a information disclosure | |
900 | 1 0 | ▼a 석설청, ▼e 저 |
900 | 1 0 | ▼a 김범수, ▼g 金範洙, ▼d 1971-, ▼e 지도교수 ▼0 AUTH(211009)59586 |
900 | 1 0 | ▼a Kim, Beomsoo,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57 |
전자정보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 청구기호 CT 0510 6F2 1509 | 등록번호 E13000171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식 투명 시대에 오염 정보 공개가 가정 예방 건강 제품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건강 및 은퇴 추적조사(CHARLS)의 미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중 차분 모델(DID)을 사용하여 전국에 공개하게 된 PM2.5 수치로 준 자연 실험한다. 특정 외부 환경에서 오염 정보의 공개 및 명확화는 소비자 의사 결정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관찰했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오염 정보가 공개된 후 같은 오염 수준에서 주민들의 건강 예방을 위한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염 정보 공개 후 예방 건강 제품에 대한 가계 지출이 매년 149.63위안 증가했다. 본 연구에서 오염 정보 공개화는 오염 정분 외에도 의외의 효과가 있다. 이것은 정보공개로 인한 미시적 영향을 노출된 것은 증명하였으며, 새로운 인사이트에서 대기 품질 개선의 전반적인 효과를 발현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ollution information disclosure on household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in the setting of information disclosure, this article employs the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CHARLS) microdata, the consecutive revelation of PM2.5 data across the nation as a quasi-natural experiment, and a difference-in-difference (DID) model. Under specific external circumstance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disclosure and clarity of pollution information cause changes in consumption decisions. It is verified that the cost of residents'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at the same level of pollution increases dramatically when pollution information is disclosed. The findings show that disclosing pollution information raises household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spending by 149.63 CNY (Chinese Yuan) annu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elease of information about pollution has additional effects that are separate from the pollution itself, exposing the micro-effects caused by the release of information and reaffirming the overall benefits of air quality improvement from a fresh angle.
목차
CONTENTS i LIST OF TABLES ii LIST OF FIGURES iii ABSTRACT iv 국문 초록 v CHAPTER 1. INTRODUCTION 1 CHAPTER 2. LITERATURE REVIEW 5 2.1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individual health 5 2.2 Effects of air pollution on human consumption and behavior 5 2.3 Influence of informational signals on a person's behavioral choices. 7 CHAPTER 3. CHINA'S RECORD OF DISCLOSING MONITORING DATA FOR PM2.5 8 CHAPTER 4. IDENTIFICATION STRATEGY AND DATA 10 4.1 Econometric model 10 4.2 A health expenditure for preventive indicator 11 4.3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12 4.4 Control variables 14 CHAPTER 5. DESCRIPTION OF VARIABLES AND REGRESSION RESULTS 15 CHAPTER 6. CONCLUSION 25 REFERENCES 27 APPENDIX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