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담배가격 인상이 중장년층의 흡연에 미친 영향 [전자자료]

담배가격 인상이 중장년층의 흡연에 미친 영향 [전자자료]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최민정
Title Statement
담배가격 인상이 중장년층의 흡연에 미친 영향 [전자자료] / 최민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v, 27 p.) : 도표
학과코드
0510   6F2   1506  
General Note
지도교수: 김범수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흡연 행태, 고령화 패널, KLoSA, 회귀분석, 담배소비세 인상,,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402
005 20230524105246
006 m d
007 cr
008 221222s2023 ulkd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F2 ▼c 1506
100 1 ▼a 최민정
245 1 0 ▼a 담배가격 인상이 중장년층의 흡연에 미친 영향 ▼h [전자자료] / ▼d 최민정
246 1 1 ▼a The effect of increasing tobacco prices on smoking in middle-aged people
246 3 1 ▼a Effect of increasing tobacco prices on smoking in middle-aged peopl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 27 p.) : ▼b 도표
500 ▼a 지도교수: 김범수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제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흡연 행태 ▼a 고령화 패널 ▼a KLoSA ▼a 회귀분석 ▼a 담배소비세 인상
900 1 0 ▼a Choi, Minjeong, ▼e
900 1 0 ▼a 김범수, ▼g 金範洙, ▼d 1971-, ▼e 지도교수 ▼0 AUTH(211009)59586
900 1 0 ▼a Kim, Beomsoo,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55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담배가격 인상이 중장년층의 흡연에 미친 영향 [전자자료] (49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F2 1506 Accession No. E13000167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인상폭을 보인 2015년 담배가격 인상 정책이 중고령자의 흡연 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한다. 중고령자의 흡연 행태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나라 사회가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이들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과 담배가 중독성이 있는 점을 고려하여 흡연 기간이 긴 사람의 행태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연패널조사(KLoSA) 3차년도부터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정책 시행 이전부터 진행된 흡연율 감소 추세를 고려하기 위해 6년간의 정책 시행 이전 시기를 포함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추세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간 추세를 고려하지 않으면 흡연율은 0.5%p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간 추세를 고려한다면, 유의한 흡연율 감소 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흡연량 역시, 담배소비세 인상 정책으로 인한 유의한 감소 효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2015 tobacco price increase policy, which showed the largest increase in Korean history, on the smoking behavior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e smoking behavior of middle and old people is important for two reasons: the proportion of middle and old people is increasing as Korea enters an aging society, and the smoking behavior of people with a long smoking period may be different due to the addictive nature of cigarette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3rd year to the 6th year of the Korea Aging Panel Survey (KLoSA). In order to consider the trend of the decrease in smoking rates that occurred before the policy was implemente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the period of 6 years before the policy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moking rate decreased by 0.5%p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trend. However, considering the time trend, no significant smoking rate reduction effect was found.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due to the tobacco consumption tax increase policy.

Table of Contents

초록	i
Abstract	ii
목차	iii
표 목차	iv
그림 목차	v
1. 서론	1
2. 본론	6
  2.1 연구 설계	6
     2.1.1 사용 자료	6
     2.1.2 변수 설정 및 분석 방법	7
     2.1.3 실증 모델	12
  2.2 분석 결과	13
     2.2.1 기초통계분석	13
     2.2.2 추정 결과	16
         1) 전체 표본 집단에서의 흡연 행태 변화	16
         2) 교육 수준에 따른 집단별 흡연 행태 변화	21
결론	23
참고문헌	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