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재정물가이론(The Fiscal Theory of the Price Level)에 기반하여 2000년 이후 최근까지 한국에서 시행된 통화-재정 정책 조합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소규모 신케인지언 DSGE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테일러 원칙과 리카디안 동등성을 만족하지 않는 소극적 통화-적극적 재정 정책 조합이 해당 기간의 한국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에 차입제약이 있는 단순소비가계가 일정 부분 존재하는 경우 재정물가이론에서 예상하는 바, 긴축적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경제를 분석하는 데 재정물가이론이 유용한 측면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향후 정부부채가 크게 늘어나 거시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책 효과 점검시 통화-재정정책 간 상호 작용을 고려해야 하며 재정 건전성 유지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ased on the Fiscal Theory of the Price Level (FTPL), this paper empirically characterizes the monetary and fiscal policy regimes prevailed in Korea from the year 2000 until recently. To this end, a small-scale New Keynesian DSGE model is employed and estimated using the Bayesian method. The key result is that a passive monetary and active fiscal policy regime that does not satisfy the Taylor principle and Ricardian equivalence best explains the Korean data for the period. In addition, when there is a certain portion of rule-of-thumb or non-Ricardian households with borrowing constraints in the economy, as expected from the FTPL, the extent to which tight monetary policy induces inflation is greater than when only Ricardian households exist. Thes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FTPL is relevant in analyzing the Korean economy. As government debt is likely to increase in Ko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actions between monetary and fiscal policies when examining policy effectivenes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aintain fiscal soun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