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 결정요인 [전자자료]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 결정요인 [전자자료]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Yan, Peng
Title Statement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 결정요인 [전자자료] = Determinants of Korean manufacturing FDI in China / Yan Peng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vi, 60 p.) : 도표
학과코드
0510   6F2   1503  
General Note
지도교수: 이종화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중국, 제조업, FDI, 시장수요, 한국,,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399
005 20230627150342
006 m d
007 cr
008 221224s2023 ulkd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F2 ▼c 1503
100 1 ▼a Yan, Peng
245 1 0 ▼a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 결정요인 ▼h [전자자료] = ▼x Determinants of Korean manufacturing FDI in China / ▼d Yan Peng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 60 p.) : ▼b 도표
500 ▼a 지도교수: 이종화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제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중국 ▼a 제조업 ▼a FDI ▼a 시장수요 ▼a 한국
900 1 0 ▼a 이종화, ▼g 李鍾和, ▼d 1960-, ▼e 지도교수 ▼0 AUTH(211009)26650
900 1 0 ▼a Lee, Jong-Wha,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58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 결정요인 [전자자료] (30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F2 1503 Accession No. E13000164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대외 개방이 심화되며,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는 1988년 처음 시작돼 1992년 한•중이 외교관계를 정면으로 수립한 후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를 늘렸다. 2022년까지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직접투자가 전체 직접투자의 거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연구를 참고하여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시장 수요로 중심으로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와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2004~2020년 한국이 중국에 직접 투자한 21개 제조업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시장 규모와 시장 규모 성장률, 숙련노동 수준이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제조업 기업 평균 규모와 원/위안 환율, 국유 제조업 비중이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노동비용과 수출경쟁력은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FD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China has been continuously opening up to the outside world, providing global multinational enterprises with opportunitie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South Korea made its first direct investment in China in 1988, and increased direct investment after the two countries formally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In addition, Korean direct investment in China's manufacturing sector will account for 80 percent of the country's total direct investment until 2022. Based on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of existing literatures,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demand and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The panel data of 21 manufacturing industries of Korea's direct investment in China during 2004-2020 are used to determine the determinants of Korean Manufacturing FDI in China. The results show that market demand, market demand growth rate and labor skill level have a positive impact on Korean Manufacturing FDI in China, while the average size of manufacturing enterprises, the exchange rate of Korean won to RMB, and the propor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have a negative impact on Korean Manufacturing FDI in China. Moreover, labor cost and export competitiveness are not factors affecting Korean Manufacturing FDI in China.

Table of Contents

1장. 서론	1
2장. 기존 문헌 연구	5
2.1 고전적 FDI 결정이론	6
2.2 FDI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0
2.3 한국의 대중국 FDI에 관한 연구	18
3장. 이론 모형의 설정	20
3.1 소비자 행위	22
3.2 기업 행위	29
4장. 실증분석	32
4.1 제조업의 개요 및 분류	33
4.2 추정 모형	36
4.3 변수 선택 	37
4.4 자료 출처 및 기초 통계량	43
4.5 패널 분석 결과	45
5장. 결론	50
참고문헌	5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