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회계법인의 감사매출액 비중이 피감사기업의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新외부감사법상 표준감사시간제도가 시행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301개 기업/연도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회계법인의 전체 매출액 중 감사매출액 비중이 높을수록 피감사기업의 자기자본비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계법인의 감사매출액 비중이 높은 경우 회계법인 본연의 업무인 감사업무에 집중하여 관련된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감사기업 재무보고의 질과 신뢰성을 제고시킴으로써, 해당 기업의 자본조달 비용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감사매출액 비중과 자기자본비용 간의 음(-)의 상관관계는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고,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이 낮으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의 지배구조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더욱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열위에 있는 기업일수록 회계법인의 감사매출액 비중과 자기자본비용 간 음(-)의 상관관계가 보다 강화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회계법인 규모를 감사인의 주된 특징으로 고려하고 있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회계법인의 매출액 구조 등 다양한 특성과 피감사기업의 자기자본비용 간 상관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러한 회계법인 특성이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 이후 회계감사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주된 공헌점이 있을 것이다. 나아가, 최근 상장기업들의 감사보수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피감사기업이 회계법인의 명성이나 규모 외에도 매출구조 등의 다양한 재무적 특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감사인을 선택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roportion of audit firms' audit revenue affects
the cost of equity capital of audited firms. Empirical evidence, based on a Korean
sample of 301 observations between the years 2019 and 2020, when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was introduced under the revised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audit revenue to the total
sales of audit firms', the lower the cost of equity capital of the audited firms.
This result suggests that when the proportion of audit sales of an audit firm is
high, the firm's cost of equity capital is reduced by accumulating related
experiences by focusing on audit service, and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audited firm's financial reporting. Specifically, the result is found firms
with higher largest shareholder ownership, lower foreign investor equity, and
lower governance score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n audit firm's proportion
of audit revenue and the cost of equity capital is pronounced for firms with a
weaker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Unlike most of the literature that
considers the size of audit firms as the main characteristic of auditors, this study
has a major contribution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ales structure of audit firms and the cost of
equity capital. Furthermore,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audited firm
should consider the auditor’s finan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ales structure, as
well as the reputation and size of the audit firm in a situation where the audit
fee burden of listed firms is increa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