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김현정
Title Statement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 김현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viii, 71 p.) : 도표
학과코드
0510   6YB2   608  
General Note
지도교수: 유승원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직급별 감사시간, 감사인규모, 산업전문성,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389
005 20230524101346
006 m d
007 cr
008 230103s2023 ulkd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YB2 ▼c 608
100 1 ▼a 김현정
245 1 0 ▼a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h [전자자료] / ▼d 김현정
246 1 1 ▼a The effect of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on audit hours by auditors' title
246 3 1 ▼a Effect of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on audit hours by auditors' titl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ii, 71 p.) : ▼b 도표
500 ▼a 지도교수: 유승원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2 1 ▼a 학위논문(박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직급별 감사시간 ▼a 감사인규모 ▼a 산업전문성 ▼a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
900 1 0 ▼a Kim, Hyeonjung, ▼e
900 1 0 ▼a 유승원, ▼e 지도교수
900 1 0 ▼a Yoo, Seung Weon,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02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46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YB2 608 Accession No. E13000154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직급별 감사시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최근 선행연구에 따르면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의 시행 이후 주기적 지정감사인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모두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한 주기적 감사인 지정의 감사품질 개선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최근 증가한 감사시간이 어떤 직급의 감사시간 증가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정책적 시사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직급별 감사시간의 변화를 검증하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의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2020년 주기적 감사인 지정기업과 비지정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기적 감사인 지정 이후 지정기업에 대한 업무수행이사 및 등록공인회계사의 감사시간 증가가 비지정기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아진 독립성을 바탕으로 지정감사인은 높은 품질의 감사노력을 투입하고 그에 따라 높은 감사보수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둘째, 대형회계법인과 중소형회계법인 모두 등록공인회계사의 감사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한편, 업무수행이사와 수습공인회계사의 감사시간 증가는 주로 중소형회계법인에서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감사인의 산업전문성 유무에 따라 직급별 감사시간은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전문 감사인과 비산업전문 감사인 모두 지정기업에 대한 업무수행이사 및 등록공인회계사의 감사시간은 비지정기업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사품질 개선 효과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지정감사인은 고품질의 감사노력을 투입하고 있다는 실증증거를 제시하여 해당 제도에 대한 실효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가 직급별 감사시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의 지속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2. 제도적 배경,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7
 2.1 제도적 배경 및 관련 선행연구 7
  2.1.1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 7
  2.1.2 감사인 지정제도 관련 선행연구 10
  2.1.3 계속감사기간 관련 선행연구  16
  2.1.4 직급별 감사시간 관련 선행연구 18
 2.2 가설설정 22
3. 연구설계 30
 3.1 연구표본 30
  3.1.1 연구표본 선정 30
  3.1.2 주기적 감사인 지정기업 선정 32
 3.2 연구모형 33
  3.2.1 직급별 감사시간의 측정 33
  3.2.2 회귀분석 모형 34
4. 실증분석 결과 39
 4.1 기술통계량 39
 4.2 상관관계분석 41
 4.3 다중회귀분석 결과 44
  4.3.1 주기적 감사인 지정기업의 직급별 감사시간 변화 44
  4.3.2 대형회계법인 여부 46
  4.3.3 산업전문성 유무 49
5. 추가분석 52
 5.1 직급별 감사시간 수준 52
 5.2 직급별 감사시간 비중 54
 5.3 직급별 검토시간 56
 5.4 초도감사 효과 통제 58
 5.5 지정기업에 대한 감사수행 경험  59
6. 결론 62
참고문헌 6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