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Affiliation to the offended [전자자료] : using apology vs. apologia to attenuate negative effects following a moral brand transgression

Affiliation to the offended [전자자료] : using apology vs. apologia to attenuate negative effects following a moral brand transgression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Tsatsomeros, Katerina M.
서명 / 저자사항
Affiliation to the offended [전자자료] : using apology vs. apologia to attenuate negative effects following a moral brand transgression / Katerina M. Tsatsomeros
발행사항
Seoul :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vi, 100 p.) : 천연색삽화, 도표
학과코드
0510   6B2   2358  
일반주기
지도교수: Garrett, Tony C.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apologia, brand transgression, self relevance, emotional proximity, similarity to victim, brand trust, purchase intention, apology,,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379
005 20230616174351
006 m d
007 cr
008 221227s2023 ulkad obmAC 000c eng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eng ▼b kor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B2 ▼c 2358
100 1 ▼a Tsatsomeros, Katerina M.
245 1 0 ▼a Affiliation to the offended ▼h [전자자료] : ▼b using apology vs. apologia to attenuate negative effects following a moral brand transgression / ▼d Katerina M. Tsatsomeros
246 1 1 ▼a 기분이 상한 소비자에 대한 어필리에이션 : ▼b 도덕적 브랜드 위반 후 부정적 영향을 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사과 대 아폴로지아
260 ▼a Seoul : ▼b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 100 p.) : ▼b 천연색삽화, 도표
500 ▼a 지도교수: Garrett, Tony C.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apologia ▼a brand transgression ▼a self relevance ▼a emotional proximity ▼a similarity to victim ▼a brand trust ▼a purchase intention ▼a apology
900 1 0 ▼a Garrett, Tony C.,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37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Affiliation to the offended [전자자료] : using apology vs. apologia to attenuate negative effects following a moral brand transgression (5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B2 2358 등록번호 E13000144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본고는 사회적 문제 기반의 도덕적 브랜드 위반 이후 기분이 상한 소비자 집단에 대한 어필리에이션(affiliation)의 사용을 조사하며 위반 발생 때 브랜드가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인 탐색적 석사 논문이다. 어필리에션 측정인 자기 관련성(self relevance), 정서적 근접성(emotional proximity) 및 피해자와의 유사성(similarity to victim)은 도덕적 브랜드 위반이 다양한 수준의 인지된 심각성(perceived severity)과 브랜드에 대한 비난(blame)을 어떻게 초래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위기 관리 마케팅 및 심리학 문헌에서 결합되었다. 또한 (사과나 아폴로지아(apologia) 같은) 브랜드 대응은 브랜드 대응 및 관련 변수인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위반 후의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 관련성, 정서적 근접성과 피해자와의 유사성을 검토하는 데 조절 변수로 사용된다. 연구 결과는 브랜드 위반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리고 위기에 대응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관리자를 위해, 기분이 상한 당사자들에 대한 어필리에션을 단순히 인구 통계학적 집단 멤버십을 넘어 고려해야 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다. 어필리에이션 측정인 자기 관련성, 정서적 근접성 및 피해자와의 유사성은 위반 후의 심각성과 비난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이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어떤 경우에는 브랜드 대응(사과 또는 아폴로지아)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및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문헌의 검토, 적절한 변수 간의 가설적인 관계, 연구 방법론, 결과, 결론,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이 제시된다.

This research is an exploratory master’s thesis that investigates the use of affiliation to a social-issue-based moral brand transgression, with special attention paid to how a brand may respond in the wake of the transgression. Affiliation includes three measures, including self relevance, emotional proximity, and similarity to victim. These are constructs derived from the crisis management, marketing, and psychology literature to help explain how consumers react following a moral brand transgression, and are hypothesized to be predictors of varying levels of perceived severity and blame towards the brand in the first model. Moreover, in the second and main model, apology (in which the brand admits wrongdoing and apologizes) and apologia (in which the brand denies wrongdoing and does not apologize) brand responses are used to examine affiliation measures as moder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response and the pertinent variables,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Results brought to light the pertinence of considering affiliation to offensive issues beyond mere demographic group membership for use in brand transgression research and for managers considering how to respond in a crisis. Affiliation measu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verity and blame following a transgression, and also found in some cases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response (apology or apologia) and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appropriate variables, methodology, results, conclu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목차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초록                                                                                                          iii
1.	Introduction                                                                                       1
2.	Literature Review                                                                              8
2.1	Moral Brand Transgressions and Offensive Marketing as a Crisis	9
2.2	Consumer Perception of Severity and Blame	12
2.3	The Trio of Affiliation: Self Relevance, Emotional Proximity, and Similarity to Victim	15
2.4	Brand Response: Apology and Apologia	26
3.	Methodology                                                                                    34
3.1	Pretests	34
3.1.1	Pretest Findings	37
3.2	Main Experiment	38
3.2.1	Design and Subjects	39
3.2.2	Procedure	40
3.2.3	Measures	44
3.3	Results	48
3.3.1	Manipulation Checks	49
3.3.2	Affiliation Effects on Perceptions of Severity and Blame	50
3.3.3	Analysis of Affiliation Variables as Moderators	52
3.3.4	Discussion	62
4.	Conclusion                                                                                        66
4.1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68
4.2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69
References73
Appendix A: Pretest 1 Survey Contents                                                  83
Appendix B: Pretest 1 Survey Open-Ended Response from One Male Participant  88
Appendix C: Main Experiment Survey Contents                                     8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