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Sense of power and state trust propensity [전자자료] :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Sense of power and state trust propensity [전자자료] :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유예진
서명 / 저자사항
Sense of power and state trust propensity [전자자료] :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 Christine Yejin Yoo
발행사항
Seoul :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viii, 57 p.) : 도표
학과코드
0510   6B2   2350  
일반주기
지도교수: 장진욱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state authenticity, state trust propensity, consensus bias, approach/inhibition theory, Sense of power,,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368
005 20230524095227
006 m d
007 cr
008 221230s2023 ulkd obmAC 000c eng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eng ▼b kor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B2 ▼c 2350
100 1 ▼a 유예진
245 1 0 ▼a Sense of power and state trust propensity ▼h [전자자료] : ▼b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 ▼d Christine Yejin Yoo
246 1 1 ▼a 지각된 권력과 신뢰성향에 관한 연구 : ▼b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60 ▼a Seoul : ▼b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ii, 57 p.) : ▼b 도표
500 ▼a 지도교수: 장진욱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state authenticity ▼a state trust propensity ▼a consensus bias ▼a approach/inhibition theory ▼a Sense of power
900 1 0 ▼a Yoo, Christine Yejin, ▼e
900 1 0 ▼a 장진욱, ▼e 지도교수
900 1 0 ▼a Chang, Jin Wook,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27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Sense of power and state trust propensity [전자자료] :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24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B2 2350 등록번호 E13000133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권력과 신뢰 간의 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개인의 지각된 권력이 동료들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혼재된 결과를 보여왔다. 본 연구는 지각된 권력이 직장 동료들의 신뢰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직원들의 지각된 권력이 진정성에 미치는 효과와 본인의 진정성이 동료들의 행동과 의도에 대한 신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신뢰의 대상과의 상호작용 빈도가 본인의 진정성과 타인에 대한 신뢰성향 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250명의 설문 응답자를 모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설과 같이 진정성이 권력과 대인 신뢰 간의 정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스로 진정성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도 그러할 것이라는 기대에 기반하여 동료들을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료와의 상호작용의 빈도가 본인의 진정성과 동료에 대한 신뢰 간의 관계를 강화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각된 권력이 개인을 더욱 진정성 있게 행동할 수 있도록 만들고, 진정성 있게 행동하는 사람들은 본인의 진정성을 타인에게도 투영하여 다른 사람들을 대체로 진정성 있고 따라서 신뢰할 만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들에 대해서 상세히 다루었다.


Previous research has offered mixed findings regarding the effect that employees’ sense of their own power has on the degree to which they trust their coworkers. This study provides a new explanation for how a sense of personal power might positively predict trust in coworker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employees’ sense of power on their state authenticity and the subsequent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on their trust in their coworkers’ behavior and intentions. Furthermore, this study t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 frequ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uthenticity and state trust propensity. Results from an online survey study of 250 employees indicate that authenticity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trust and that employees’ consensus bias leads them to project their authenticity onto others, so that those who behave in an authentic manner in the workplace are more likely to expect others to do so as well. Thus, employees with a sense of power tend to be more authentic, and employees who are authentic tend to perceive others to be more authentic and trustworthy as well. The study further tested whether frequent interaction further promotes this attribution error,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action frequency amplifies the positive effect of state authenticity on state trust propensity when the target of interaction was peers, rather than superiors or subordinat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s well as recommendations on how future studies should expand on the current study.

목차

ABSTRACT	i
국문 초록	iii
TABLE OF CONTENTS	v
LIST OF TABLES	vii
LIST OF FIGURES	viii
CHAPTER 1. INTRODUCTION	1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ES	4
2.1 Sense of Power	4
2.2 State Trust Propensity	5
2.3 Sense of Power and State Trust Propensity	6
2.4 State Authenticity	8
2.5 State Authenticity and State Trust Propensity	9
2.6 Sense of Power and State Authenticity	10
2.7 Moderation of Interaction Frequency	13
CHAPTER 3. METHOD	16
3.1 Participants and Procedures	16
3.2 Measures	16
3.2.1 Sense of power	16
3.2.2 State Authenticity	16
3.2.3 Interaction Frequency	17
3.2.4 State Trust Propensity	17
3.2.5 Control Variables	18
3.3 Analytical Strategy	20
CHAPTER 4. RESULTS	21
CHAPTER 5. DISCUSSION	24
5.1 Theoretical Implications	24
5.2 Practical Implications	26
5.3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27
CHAPTER 6. SUPPLEMENTARY ANALYSES	31
6.1 Cross-cutting interaction analyses	31
6.2 Authentic self-efficacy	32
6.3 CFA analyses with control variables	33
6.4 Reverse causality	34
6.5 Perceived inauthenticity	36
CHAPTER 7. CONCLUSION	39
REFERENCES	41
APPENDIX	5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