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2017년 이후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 원인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2017년 이후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 원인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김주호
Title Statement
2017년 이후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 원인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김주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vii, 41 p.) : 천연색삽화, 도표
학과코드
0510   6B2   2347  
General Note
지도교수: 김동원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노동조합 조직률, 정치사회 분위기, 정책, 조직개편, 노동조합,,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365
005 20230704134119
006 m d
007 cr
008 230101s2023 ulkad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B2 ▼c 2347
100 1 ▼a 김주호
245 1 0 ▼a 2017년 이후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 원인에 대한 연구 ▼h [전자자료] / ▼d 김주호
246 1 1 ▼a The causes of the increase in Korean labor union denstiy rate since 2017
246 3 1 ▼a Causes of the increase in Korean labor union denstiy rate since 2017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i, 41 p.) : ▼b 천연색삽화, 도표
500 ▼a 지도교수: 김동원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노동조합 조직률 ▼a 정치사회 분위기 ▼a 정책 ▼a 조직개편 ▼a 노동조합
900 1 0 ▼a Kim, Jooho, ▼e
900 1 0 ▼a 김동원, ▼g 金東元, ▼d 1960-, ▼e 지도교수 ▼0 AUTH(211009)49056
900 1 0 ▼a Kim, Dongone,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925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2017년 이후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 원인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45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B2 2347 Accession No. E13000130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2017년 이후 국내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정치사회적 분위기와 정책, 그리고 노조 내부의 변화 등을 ‘정치사회적인 요인’과 ‘내부조직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노동조합연맹 및 노동조합을 방문하여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각 요인들과 노동조합 조직률 증가라는 변수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정치사회적인 요인은 정치사회적 분위기 변화와 정책 변화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내부조직적인 요인은 노동조합총연맹 수준과 노동조합연맹 수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내부조직적인 요인의 경우 정치사회적인 요인에 비해 변화 정도가 적고 영향력이 제한되기에 조직률에 한정된 영향만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 수록된 사례들은 정권 변화에 따른 노·사·정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개별적 노사관계와 집단적 노사관계의 관계, 그리고 비정규직의 노조 결성 관련 연구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crease in Korean labor union density rate since 2017,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policies, political and social atmosphere, and union activities, by dividing them into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e lecture used literature studies and interviews to analyze the topic. In this study, officials of labor union federation and labor unions were interview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the increase in the labor union density rate. In conclusion, the change and influence of organizational factors were limited compared to those of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Also, the cases included in this study provided a basis for predicting behaviors of the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followed by regime change.

Table of Contents

목차

초록	i
Abstract	ii
목차	iii
표 목차	v
그림 목차	vi
1. 서론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6
2. 이론적 배경	7
  2.1 환경요인 이론 – 경제적인 요인	7
  2.2 환경요인 이론 – 정치사회적인 요인	8
  2.3 내부조직적인 요인	8
 3. 연구방법 	9
   3.1 문헌연구	9
   3.2 사례연구	10
  4. 2017년 이후 국내 노동조합 현황	11
   4.1 국내 노동조합연맹 조합원 수 변화	11
   4.2 상급단체 조합원 수 변화	13
   4.3 부문별 노동조합 조직률 변화	14
   4.4 기업 규모별 노동조합 조합원 수 변화	15
   4.5 초기업 노동조합의 조합원 수 변화	16
  5. 분석	17
   5.1 정치사회적인 요인	17
   5.2 내부조직적인 요인	26
  6. 결론	32
   6.1 요약	32
   6.2 시사점	33
   6.3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언	36
참고문헌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