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294 | |
005 | 20230523164202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21227s2023 ulkad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2 ▼c 1046 | |
100 | 1 | ▼a 허윤선 |
245 | 1 0 | ▼a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자신문 읽기·쓰기 활동의 효과 ▼h [전자자료] / ▼d 허윤선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iv, 74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
500 | ▼a 지도교수: 최석무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3. 2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3 | ▼a 영자신문 ▼a 영어교육 ▼a 크리티컬 리터러시 | |
900 | 1 0 | ▼a 최석무, ▼g 崔錫戊, ▼d 1968-,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0372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829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 청구기호 CT 0510 6M2 1046 | 등록번호 E13000059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자신문 읽기와 쓰기 수업을 진행하여, 영자신문 속에 내재된 가치편향적 요소를 학생들이 발견하고 이를 가치중립적으로 고쳐쓸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크리티컬 리터러시는 텍스트 안에 숨겨진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역량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무비판적으로 신문 기사의 내용을 수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가치중립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크리티컬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기존에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연구들은 아동문학 작품 속에서 내재되어 있던 가치편향적 요소를 발견하는 과제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영자신문 텍스트를 소재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텍스트에서 가치편향적인 요소를 찾아 가치중립적으로 바꾸는 쓰기 활동은 논의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자신문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고, 영자신문 텍스트 쓰기에서의 가치중립성 유지를 과업으로 짜여진 수업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크리티컬 리터러시가 향상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수업의 교재로는 국내외 영자신문사의 사이트에서 기사문을 찾아 발췌하였고, 학생들 개인마다 다른 수준을 고려하여 영어사전의 사용을 자유롭게 하였다. 수업의 매 차시마다 학생들에게 비판적 읽기 전략을 교수하고, 문제 제기식 질문을 통한 토론 활동을 진행하여 가치 편향적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가치중립적으로 고쳐쓰는 활동으로 수업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수업에서 학생들의 토론 내용과 고쳐 쓰기 결과물, 그리고 학습 일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 중 대다수는 학습 후 크리티컬 리터러시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신문기사를 비판적으로 읽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가치중립적 쓰기 활동을 통하여 인지적 역량의 발달이 확인되었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컨텐츠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수정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목차 ⅰ 표목차 ⅲ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필요성 4 3. 연구의 목적 6 4. 논문의 구성 7 Ⅱ. 이론적 배경 8 1. 크리티컬 리터러시 8 2. 미디어 리터러시 10 3. 문제 제기식 질문 11 4.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의의 13 5. 선행연구 17 1)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통한 비판적 사고 함양에 대한 선행연구 17 2) 언론 매체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과 절대적 신뢰를 다룬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및 절차 22 1) 크리티컬 리터러시 수업 모형 22 2) 수업교재 25 3) 사전·사후 설문지 25 4) 수업기록 26 5) 수업절차 26 3. 결과 분석 방법 28 1) 비판적 읽기 전략 사용 빈도 및 비판적 읽기 역량 발전 정도 분석 28 2) 가치중립적 기사문 쓰기를 통한 재구조화 여부 분석 31 3) 정의적 영역 변화 분석 31 Ⅳ. 연구결과 33 1. 비판적 읽기 전략의 종류와 비판적 읽기 능력의 향상 정도 33 1) 비판적 읽기 전략의 종류 33 2) 비판적 읽기 능력의 향상 정도 43 2. 가치중립적 기사문 쓰기 활동을 통한 재구조화 역량의 발전 정도 45 1) 수업 차시 경과에 따른 발달 단계 45 2) 학습자 개인의 발달 단계 차이 53 3.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적용이 영자신문 학습에 가져오는 정의적 영역 분석 57 Ⅴ. 결론 및 제언 64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64 2. 교육적 함의 66 3. 연구의 제한점 68 [참고문헌]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