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3
3. 연구 방법 4
II. 이론적 배경 6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제 교과목 구성 6
2. 청소년기 핵심 경제역량 구성 7
III. 청소년기 핵심 경제역량별 교과서 5종 분석 11
1. 소비(지출)관리 역량 11
1) 합리적인 소비 11
가. 교과서 단원 구성 13
나. 교과서 내용 특징 14
a. 합리적 소비와 비합리적 소비 개념 소개 14
b. 합리적 선택 방법 소개 15
c. 실생활 연계 사례 및 탐구활동 15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기준 달성 여부 19
2) 구입한 재화와 서비스의 효과적 관리 20
가. 교과서 단원 구성 21
나. 교과서 내용 특징 23
a. 경합성-비경합성, 배재성-비배재성의 개념 소개 23
b. 공유 자원 사례 소개 및 탐구활동 25
c. 공유지의 비극 해결 방안 논의 26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기준 달성여부 27
3) 다양한 지불 수단과 효과적인 체크카드 사용 방법에 대한 이해 29
가. 교과서 단원 구성 30
나. 교과서 내용 특징 31
a. 화폐에 대한 정의 및 지불수단의 역사적 변화 과정 소개 31
b.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관련 설명 및 탐구활동 33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기준 달성 여부 35
4) 전자상거래 시 유의하는 태도 37
가. 교과서 단원 구성 38
나. 교과서 내용 특징 39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기준 달성 여부 40
2. 자산 관리 역량 42
1) 용돈 관리 42
가. 교과서 단원 구성 43
나. 교과서 내용 특징 44
a. 생애 주기에 따른 재무 목표 수립의 중요성 역설 44
b. 재무 계획 수립 방법 소개 46
c. 실생활 연계 탐구활동 및 예시 제공 47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용돈 관리 역량 성취기준 충족여부 49
2)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와 활용 50
가. 교과서 단원 구성 51
나. 교과서 내용 특징 53
a. 금융 기관의 역할 소개 53
b. 다양한 금융 상품의 소개 및 포트폴리오 구성 원칙 설명 55
c. 이자율의 개념 소개 56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기준 달성 여부 56
3) 아르바이트 등을 통해 번 소득의 관리 59
가. 교과서 단원 구성 61
나. 교과서 내용 특징 62
a. 수입의 분류 제시 62
b. 가처분소득, 소비 지출 및 비소비 지출의 개념 제시 62
c. 탐구 활동을 통한 실생활 적용 64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 기준 달성 여부 66
4) 부채와 신용의 관리 67
가. 교과서 단원 구성 68
나. 교과서 내용 특징 69
a. 부채에 대한 언급, 가계 부채에 대한 서술 69
b. 신용의 중요성 70
c. 신용 점수제, 신용 관리 및 신용 거래의 장단점 72
d. 신용회복위원회 및 신용회복지원제도 소개 73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 기준 달성 여부 73
3. 진로 탐색 역량 75
1) 노동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이해 75
가. 교과서 단원 구성 76
나. 교과서 내용 특징 78
a. 가계의 역할 소개 및 국민 경제 순환 모형 제시 78
b. 노동 시장 내 임금의 결정 방식 소개 79
c. 국가 경제 성장과 관련한 인적 자본의 중요성 언급 79
d. 노동의 무형적 가치에 대한 언급 81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 기준 달성 여부 81
2) 건설적인 진로 설계 82
가. 교과서 단원 구성 82
나. 교과서 내용 특징 84
a. 분업, 특화, 비교우위, 생산요소 및 생산성에 대한 언급 84
b. 직업 선택에 있어서의 근로소득과 기타 요소의 언급 85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 기준 달성 여부 86
4. 위기 관리 역량 88
1) 노동권에 대한 이해와 침해 시 대처 능력 88
가. 교과서 단원 구성 89
나. 교과서 내용 특징 89
다. 교과서 학습을 통한 성취기준 충족 여부 92
2) 도박이나 사행성 오락에 대한 주의 92
IV. 결론 및 제언 95
1. 결론 95
2. 제언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