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실태 및 영향요인 [전자자료] :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실태 및 영향요인 [전자자료] :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백민정
Title Statement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실태 및 영향요인 [전자자료] :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백민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iv, 106 p.)
학과코드
0510   6M6   1660  
General Note
지도교수: 신현석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코로나19, 원격수업, 사례연구, 교사 전문성 개발,,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274
005 20230523160507
006 m d
007 cr
008 230102s2023 ulk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6 ▼c 1660
100 1 ▼a 백민정
245 1 0 ▼a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실태 및 영향요인 ▼h [전자자료] : ▼b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d 백민정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iv, 106 p.)
500 ▼a 지도교수: 신현석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코로나19 ▼a 원격수업 ▼a 사례연구 ▼a 교사 전문성 개발
900 1 0 ▼a 신현석, ▼g 申鉉奭, ▼d 1960-, ▼e 지도교수 ▼0 AUTH(211009)88842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801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실태 및 영향요인 [전자자료] :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74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M6 1660 Accession No. E13000039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및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이 새롭게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전문성은 무엇이 있는지, 또한, 필요를 느낀 전문성을 어떻게 개발하고 있는지 실태를 살펴보고,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을 촉진 및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용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대상은 수도권인 경기도 남양주 소재 일반 공립초등학교이자 혁신학교 9년차인 A초등학교로 선정하였다. 주된 연구 자료는 면담자료이고, 10명의 A초등학교 교사를 선정하여 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노시타(2013/2017)의 수정판 근거이론 접근법(M-GTA: Modified-Grounded Theory Approach)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A초등학교를 분석단위로, 수도권 혁신학교 초등교사를 분석초점자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전문성 요소는 온라인수업 도구 활용 전문성인 미디어리터러시와 효과적인 쌍방향 수업구성 역량, 학생의 정서적 지원역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이와 같이 필요로 느낀 전문성을 개발하는 방법은 공식적 경로와 비공식적 경로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공식적 경로에는 학교 자체 연수와 교육청 혹은 교육부 주관의 연수가 있었다. 비공식적 경로에는 동학년 교사 간 수업연구와 교외 교사학습공동체, 개인적인 학습 방법이 있었는데 이 중 동학년 교사와 함께 수업을 협의하는 방법이 가장 많은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교외교사학습공동체에는 크게 다양한 주제로 모인 교사연구회 활동과 온라인 초등교사커뮤니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개인적인 학습으로는 유튜브나 포털사이트, 도서 등을 활용한 개발을 하였다. 
  셋째, A초등학교 교사가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촉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촉진요인은 조직적 요인과 개인 및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조직적 요인에는 리더십과 학교문화가 영향을 끼쳤다. 전문성 개발에 허용적이며 허례허식이 없는 업무를 추진하는 리더십의 영향으로 A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전문성 개발에 매진할 수 있었다. 또한, A초등학교에는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문턱이 낮고 적극적으로 연구하는 분위기와 함께 자신이 먼저 개발한 수업 자료와 방법 등에 대해 아낌없이 공유하고 서로에게 도움을 주려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걸맞게 다양한 교사학습공동체 역시 활성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리더십과 학교문화는 A초등학교 교사들이 전문성 개발을 더욱 열심히 하는 가장 큰 촉진요인이 되었다. 이 외에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유능하고 열정적인 교사라는 특징이 있었고, 환경적 요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학교행사가 축소되고 비대면 연수가 확대되면서 생긴 시간적 여유가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반면 전문성 개발에 방해가 된 요인은 크게 환경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적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환경적 요인으로는 전문성 개발을 위해 필요한 재정적 지원이 적었다. 고성능의 온라인수업 기자재 및 온라인수업 관련 소프트웨어 등을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에 비해 예산이 적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온라인 학습지원을 번거롭게 여기는 학부모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온라인수업 도구를 처음 활용할 때 느끼는 진입장벽이 높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개발하고 싶은 분야를 배울 곳이 없다거나 온라인수업 도구 및 플랫폼을 학교에 처음 세팅할 때 드는 수고가 많다는 점, 새로운 소프트웨어 및 도구가 급속하게 등장하는 점이 방해요인이었다. 개인 및 조직적 요인으로는 육아 등 교사 개인적 문제로 전문성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에 한계를 느끼는 점이 있었고 조직적인 측면에서는 새로운 전문성 개발시도를 꺼려하는 동료교사문화가 있었다.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	 5
  가. 초등교사 전문성의 개념	 5
  나. 초등교사 전문성 개발 실태	 8
  다.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요인	 20

 2.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초등교사 전문성	 23
  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초등교사 역할 및 전문성	 23
  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초등교사 전문성 관련 선행연구 	 29

Ⅲ. 연구방법	 33
 1. 사례연구	 33
 2. 연구대상	 34
 3. 자료수집	 36
 4. 분석방법	 42

Ⅳ. 분석 결과	 47
 1.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전문성의 요소	 47

 2.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가 전문성을 개발하는 방법	 51
  가. 공식적 경로	51
  나. 비공식적 경로	53

 3.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6
  가. 촉진요인	56
  나. 방해요인	65

 4. 종합 논의	 72

Ⅴ. 결론 및 제언	 75
 1. 요약	 75
 2. 결론	 77
 3. 제언	 79

참고문헌	 82
부록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