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273 | |
005 | 20230523160513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21229s2023 ulk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6 ▼c 1659 | |
100 | 1 | ▼a 서성은 |
245 | 1 0 | ▼a 초등교사의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와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h [전자자료] / ▼d 서성은 |
246 | 1 1 | ▼a Effects of job competency and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on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y grade bands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viii, 137 p.) | |
500 | ▼a 지도교수: 신현석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d 2023. 2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3 | ▼a 교사리더십 ▼a 담임 직무성과 ▼a 담임 직무만족도 ▼a 직무역량 | |
900 | 1 0 | ▼a Seo, Seong Eun, ▼e 저 |
900 | 1 0 | ▼a 신현석, ▼g 申鉉奭, ▼d 1960-, ▼e 지도교수 ▼0 AUTH(211009)88842 |
900 | 1 0 | ▼a Shin, Hyun Seok,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797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초등교사의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와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97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 Call Number CT 0510 6M6 1659 | Accession No. E13000038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학년군별로 교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중요 직무역량 및 교사리더십이 무엇이며 이러한 역량 및 교사리더십이 담임 직무성과 및 담임 직무만족도와 어떠한 관계 및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학년군별로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에서 재직 중인 303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성별'과 ‘경력’에 따라 직무역량, 교사리더십,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 및 담임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직무역량 및 교사리더십과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 및 담임 직무만족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연구변인의 회귀분석 결과 직무역량 및 교사리더십은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 및 담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영향을 미친 하위요인으로는 저학년군에서는 학습지도와 공동체성, 목표지향성이 중학년군에서는 학습지도, 학급․학교경영지원과 공동체성, 과업주도성이 고학년군에서는 학급․학교경영지원, 학습지도와 과업주도성, 공동체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기초로 초등교사교육의 직무역량 및 교사리더십 향상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etency & teacher leadership and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by grade bands, and the appropriate job competency and teacher leadership, fo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countrywide among 30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surve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reefold. First, the t-test and one-way ANOVA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competency & teacher leadership and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by grade bands based on gender and experience. Seco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competency & teacher leadership and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by grade bands. Third, th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job competency and teacher leadership affect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nfluential sub-factors are (1) study guidance, communality, and goal orientation for the 1st and 2nd grades, (2) study guidance, management service, communality, and initiative for the 3rd and 4th grades, and (3) study guidance, management service, initiative, and communality for the 5th and 6th grad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improving the job competency and teacher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문제 4 4. 용어의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8 1. 직무역량 8 2. 교사리더십 16 3. 담임 직무성과 21 4. 담임 직무만족도 25 5. 연구모형 및 가설 29 Ⅲ.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31 2. 조사도구 33 3. 연구절차 46 4. 분석방법 48 Ⅳ. 연구결과 49 1. 기술통계 및 배경변인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검증 결과 49 가. 기술통계 49 나. 배경변인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검증 결과 50 1)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 50 2)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리더십의 차이 52 3) 배경변인에 따른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의 차이 54 4) 배경변인에 따른 학년군별 담임 직무만족도의 차이 60 2.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63 가. 저학년군 63 나. 중학년군 66 다. 고학년군 68 3.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담임 직무성과 및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70 가.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70 1) 직무역량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70 2)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74 3)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77 나.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1 1) 직무역량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1 2)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6 3) 직무역량과 교사리더십이 학년군별 담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9 4. 종합 및 논의 93 Ⅴ. 결론 및 제언 96 1. 요약 96 2. 결론 101 3. 제언 106 참고문헌 111 부록(설문지) 117 Abstract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