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양상과 문제점 고찰 [전자자료] : 고등학교 2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양상과 문제점 고찰 [전자자료] : 고등학교 2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송수진
서명 / 저자사항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양상과 문제점 고찰 [전자자료] : 고등학교 2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 송수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iv, 86 p.)
학과코드
0510   6M1   1170  
일반주기
지도교수: 고형진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반응 중심 학습법,,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267
005 20230523160547
006 m d
007 cr
008 221221s2023 ulk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1 ▼c 1170
100 1 ▼a 송수진
245 1 0 ▼a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양상과 문제점 고찰 ▼h [전자자료] : ▼b 고등학교 2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 ▼d 송수진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iv, 86 p.)
500 ▼a 지도교수: 고형진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국어교육전공,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반응 중심 학습법
900 1 0 ▼a 고형진, ▼g 高亨鎭, ▼d 1959-, ▼e 지도교수 ▼0 AUTH(211009)18702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805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양상과 문제점 고찰 [전자자료] : 고등학교 2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48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M1 1170 등록번호 E13000032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반응 중심 학습은 제7차 교사용 지도서 수록 이후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꾸준히 등장하여, 현장의 교사들은 탄력적으로 반응 중심 학습법을 활용하여 문학 교실에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반응 양상과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한 결과 반응 중심 학습법이 우리의 문학 교실에 주는 의미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적 성찰의 과정과 현장 중심의 실제적인 연구 결과의 누적은 앞으로 반응 중심 학습법이 나아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지침이 될 것이다.
반응 중심 이론은 문학 교육의 전제와 같이 되었기에 앞으로도 여타의 문제 의식과 공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문제 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반응 중심 이론이 학교 현장에서 보여주는 잠재력을 끌어내 학습 독자가 자신의 역량과 가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할 것이다.

목차

목 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선행연구 검토·······························5
 3. 연구대상 및 방법·························11
Ⅱ. 이론적 배경································21
 1. ‘반응’의 개념································21
 2. 반응 중심 문학교육······················23
Ⅲ.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에서 학습 독자 반응 양상········31
 1. 윤동주의 「쉽게 씌어진 시」········································31
  1) 작품 이해·····························································31
  2) 인지적 측면 반응 양상···········································36
  3) 정의적 측면 반응 양상···········································40
 2. 김수영의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43
  1) 작품 이해······························································43
  2) 인지적 측면 반응 양상············································47
  3) 정의적 측면 반응 양상············································56
 3.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에서 학습 독자 반응 양상의 의미·········59
Ⅳ.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문제점···························61
 1. 무분별한 환기와 주변적 해석 양상·······························61
 2. 선지식의 오용(誤用)과 남용(濫用)·······························65
 3. 반응 명료화 과정 속 비주류 해석의 배제(排除)··············69
 4. 심미적 읽기의 어려움·················································76
Ⅴ. 결론 및 제언················································80
참고 문헌·······································································8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