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264 | |
005 | 20230523154320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30103s2023 ulka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6 ▼c 1656 | |
100 | 1 | ▼a 송보람 |
245 | 1 0 | ▼a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와 스트레스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h [전자자료] : ▼b A중학교를 중심으로 / ▼d 송보람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71 p.) : ▼b 천연색삽화 | |
500 | ▼a 지도교수: 신현석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d 2023. 2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3 | ▼a 코로나19 ▼a 교사소진 ▼a 비대면 | |
900 | 1 0 | ▼a 신현석, ▼g 申鉉奭, ▼d 1960-, ▼e 지도교수 ▼0 AUTH(211009)88842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803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와 스트레스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 A중학교를 중심으로 (48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 Call Number CT 0510 6M6 1656 | Accession No. E13000029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와 스트레스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A중학교 교사 37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그중 대표성을 지닌 교사 8명을 대상으로 2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을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 스트레스, 교사소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된 면담 문항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에 대해 교사들은 ‘원격수업의 한계’, ‘생활지도의 확장’을 경험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물리적으로 한정된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직무를 처리하고 있다고 느꼈다. 특히 원격수업 준비과정에서 플랫폼 활용 및 원격 수업 기기 사용의 미숙으로 인한 수업 준비 소요시간의 증가와 함께 등교 수업시 일과 전, 일과 중, 일과 후에 새롭게 요구되는 방역지도, 출결관리에 대해 업무 부담을 안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학교생활의 스트레스에 대해 교사들은 ‘개인적 시간의 증가’와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경험했다. 비대면 학교생활의 스트레스 원인에 대해 스트레스 관련 주체들은 상이하나 공통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스트레스가 비대면 학교생활로 인한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 학교 관리자와의 의사소통 기회 축소 및 관계 형성의 어려움에서 기인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와 스트레스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사들은 ‘교사로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경험했다. 스트레스 상황은 교사들로 하여금 교사라는 직업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게 했고, 학교생활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게 하였다. 하지만 비대면 학교생활의 부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시간의 증가로 자기계발을 하거나 새로운 적성을 찾으며 소진 상태를 극복하고 이를 성장의 기회로 삼는 교사들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와 스트레스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비대면 학교생활에서 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 4 2. 비대면 학교생활의 스트레스 5 가. 교과운영 6 나. 생활지도 8 다. 의사소통 10 3. 비대면 학교생활의 교사소진 11 4.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 스트레스, 교사소진의 관계 13 Ⅲ. 연구방법 14 1. 혼합방법연구 14 2. 연구대상 15 가. 양적연구 대상자 15 나. 질적연구 참여자 17 3. 조사도구 18 가. 설문조사 18 1)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 18 2)비대면 학교생활의 스트레스 19 3)비대면 학교생활의 교사소진 19 나. 심층면담 20 4. 자료분석 22 가. 설문 자료 분석 22 나. 면담 자료 분석 23 Ⅳ. 연구 결과 25 1.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 25 2. 비대면 학교생활의 스트레스 27 3. 비대면 학교생활의 교사소진 33 4 비대면 학교생활의 직무요구, 스트레스, 교사소진의 관계 35 가. 직무요구, 스트레스, 교사소진 간 상관관계 35 나. 면담결과 분석 36 1)원격수업의 한계 37 2)생활지도의 확장 41 3)개인적인 시간의 증가 44 4)관계형성의 어려움 46 5)교사로서 정체성에 대한 고민 49 5. 종합논의 52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54 1. 요약 54 2. 결론 55 3. 제언 59 참고문헌 60 부록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