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의 평가 양상 비교 [전자자료] : IB 학위과정 평가기준과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를 중심으로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의 평가 양상 비교 [전자자료] : IB 학위과정 평가기준과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를 중심으로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윤지현
Title Statement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의 평가 양상 비교 [전자자료] : IB 학위과정 평가기준과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를 중심으로 / 윤지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vi, 111 p.) : 일부천연색
General Note
지도교수: 정재림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 서논술형평가, 작문평가준거, 평가자 논평, 분석하는 글, 설득하는 글, International Baccalaureate,,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258
005 20230523153748
006 m d
007 cr
008 221229s2023 ulka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1 ▼c 1166
100 1 ▼a 윤지현
245 1 0 ▼a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의 평가 양상 비교 ▼h [전자자료] : ▼b IB 학위과정 평가기준과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를 중심으로 / ▼d 윤지현
246 1 1 ▼a Comparison of evaluation on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Korean A: language and literature’ Paper 1 : ▼b based on IBDP assessment criteria and modified ‘persuasive writing’ rubric
246 3 1 ▼a Comparison of evaluation on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Korean A: language and literature’ Paper 1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 111 p.) : ▼b 일부천연색
500 ▼a 지도교수: 정재림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국어교육전공,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IB 학위과정 ▼a ‘언어와 문학’ 과목 ▼a 작문과제 1 ▼a 서논술형평가 ▼a 작문평가준거 ▼a 평가자 논평 ▼a 분석하는 글 ▼a 설득하는 글 ▼a International Baccalaureate
900 1 0 ▼a Youn, Jihyun, ▼e
900 1 0 ▼a 정재림, ▼g 鄭在琳, ▼d 1973-, ▼e 지도교수 ▼0 AUTH(211009)61446
900 1 0 ▼a Jeong, Jairim,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808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의 평가 양상 비교 [전자자료] : IB 학위과정 평가기준과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를 중심으로 (87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M1 1166 Accession No. E13000023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IB 학위과정 작문과제의 내용과 특성을 밝히고, 학생들이 주어진 텍스트에 대해 자신의 분석적 관점에서 작성한 완결된 한 편의 글을 평가할 때 사용된 작문평가준거표에 따라 평가 결과가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IB 학위과정 교육과정과 ‘언어와 문학’ 교과군을 다루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언어와 문학’ 과목의 특성과 평가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IB 학위과정 교육과정의 본질을 구현하는 핵심과목에서 작문 교육과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으므로, 모국어 과목으로서 ‘언어와 문학’ 과목 내 작문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이 학생들의 유창한 언어표현력과 비판적인 사고력을 배양하는 데 기초가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총합평가의 목적으로 학위취득시험 환경에서 작성된 IB 학위과정 작문과제 1 학생글 네 편을 대상으로 한 평가자 논평을 분석하였다. 넷째, IB 학위과정 작문과제 1 평가기준에서 고려되는 평가 요소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설득하는 글’ 작문평가준거표를 재구성하였다. 다섯째,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작문평가준거표로 IB 학위과정 작문과제 1 학생글 네 편을 평가하였을 때 달라지는 평가 결과의 양상이 어떠한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IB 학위과정 작문과제 1은 내용적으로는 학생의 분석적 관점이 명확히 수립되었는지, 학생이 제시한 분석에 대한 근거가 풍부하고 타당한지를, 조직적으로는 제시한 분석적 관점이 통일성 있게 글 전반에서 자연스러운 단락 구성과 문장 표현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언어적 표현 및 표기의 측면에서는 간결하며 다채로운 언어 표현을 사용하면서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지를 평가함을 밝혔다. 이처럼 IB 학위과정 작문평가기준의 구성 및 채점자 논평의 내용을 자세히 분석하고, 특질을 반영하여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로 IB 학위과정 작문과제 1 학생글 네 편을 분석한 결과는 동일한 학생글에 대해 총체적인 평가와 분석적인 평가를 실시할 때 평가 결과가 어떻게 달리 나타날 수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재구성한 평가준거표를 세 명의 평가자가 활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살펴보면서 같은 준거에 대하여 평가자가 고려한 평가 요소 또는 학생글 부분이 일치하거나 때로는 달리 나타나는 양상을 IB 학위과정 평가자 논평에 견주어 보아, 이로부터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ssessment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focusing exclusively on the Guided Analysis, commonly called the ‘Paper 1’ of Korean A: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arking results are varied depending on the applied writing evaluation criteria. To achieve such objective,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examiner’s comments on four student writings, of which written for the purpose of summative assessment. Second, assessment components of each assessment criterion of Paper 1 was analyzed in order to modify ‘persuasive writing rubric’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daptive to IBDP. Third, evaluation results attained based on the modified persuasive writing rubric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earned by adhering to the IBDP assessment criteria. The study finds out that appraisal on Paper 1 of Korean A: language and literature abide by IBDP assessment criteria focuses on the following qualities of student writings: apparency of devised perspective for analysis, abundance and adequacy of chosen textual evidence, logical and coherent presentation of analysis through concise and accurate manner of language use. In comparison with the evaluation results utilizing the modified ‘persuasive writing’ rubric, valued qualities unique to IBDP assessment were identified, as few components of the same student writing excerpts were taken as justification for different assessment criteria.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문제 	 9


Ⅱ. IB 학위과정 교육과정과 ‘언어와 문학’ 과목	 11
 1. IB 학위과정의 지향과 목적 	 11
  (1) IB 학위과정 학습자상과 ‘언어와 문학’ 교과군 	 11
  (2) IB 학위과정에서 작문 교육 및 평가의 중요성 	 17
 2.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의 구성 및 특성 	 23
  (1) ‘언어와 문학’ 과목의 구성 	 23
  (2) ‘언어와 문학’ 과목 내 평가 활동 	 30

Ⅲ.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과 작문 평가 준거	 35
 1.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 작문평가의 예시 	 35
  (1)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 평가의 내용 	 36
  (2)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 평가의 범주와 논평 	 38
 2. ‘설득하는 글’과 작문 평가 준거 	 55
  (1) ‘설득하는 글’ 평가의 범주와 준거 	 56
  (2)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 1 평가를 위한 ‘설득하는 글’ 평가 준거표 	 58

Ⅳ.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를 활용한 IB 학위과정 작문과제 1 평가 	 63
 1. 평가 참여자 및 절차 	 63
 2. 평가 결과 	 67
  (1) 평가자 별 점수의 비교 	 67
  (2) ‘내용’ 범주의 논평 양상 및 ‘이해와 해석’, ‘분석과 평가’ 범주와의 비교	 70
  (3) ‘조직’ 범주의 논평 양상 및 ‘초점과 조직’ 범주와의 비교	 79
  (4) ‘표현 및 표기’ 범주의 논평 양상 및 ‘언어’ 범주와의 비교	 85


Ⅴ. 결론	 92
 1. 요약  	 92
 2. 한계 및 제언 	 96

참고문헌	 98
부록	 10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