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전자자료]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전자자료]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손은경
서명 / 저자사항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전자자료] / 손은경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ix, 94 p.) : 천연색삽화, 도표
학과코드
0510   6M23   420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인우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국제교육개발협력, 원격교육, 질적 연구, 코로나19,,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249
005 20230523152744
006 m d
007 cr
008 221228s2023 ulkad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20
100 1 ▼a 손은경
245 1 0 ▼a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h [전자자료] / ▼d 손은경
246 1 1 ▼a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distance educ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education cooperation due to COVID-19
246 3 1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distance educ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education cooperation due to COVID-19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ix, 94 p.) : ▼b 천연색삽화, 도표
500 ▼a 지도교수: 박인우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국제교육개발협력 ▼a 원격교육 ▼a 질적 연구 ▼a 코로나19
900 1 0 ▼a Sohn, Eun-kyong, ▼e
900 1 0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900 1 0 ▼a Park, Inn-woo,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792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전자자료] (114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M23 420 등록번호 E13000016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교육 현장은 위기에 처했다. 전 세계에서 학교가 일정 기간 폐쇄되면서 교육은 중단되었고, 교육 불평등 문제를 심화시키는 등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대면 교육은 어려워졌으며,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원격교육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었다. 인터넷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은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원격교육을 시도하였다.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 현장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와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원격교육을 대안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 현장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실행․관리 경험이 있는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의 활동가와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는 문서화 한 후 질적 내용 분석 절차에 따라 범주화 작업을 거쳐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상황 감지’, ‘개발도상국 사업 현장의 환경 변화’, ‘개발도상국 교육 현장에서 직면한 어려움’, ‘비대면으로의 변화 및 적응’을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 내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 현장의 변화와 적응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활용 방식은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한 원격교육 전환’, ‘사업 현장의 환경에 적합한 원격교육 도입’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교육으로의 비자발적인 전환이 가장 큰 ‘원격교육의 계기’로 제시되었다. 셋째, ‘원격교육 대응 역량 강화’, ‘원격교육의 효과성 발견’, ‘지속가능한 교육 지원의 가능성 확인’의 측면이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의 효과로 나타났다. 넷째, ‘원격교육 진행 방식에서 발생한 어려움’, ‘원격교육 성과 관리의 어려움’을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에서의 제약으로 인지하였고, ‘준비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의 환경’은 한계로 다가왔다. 다섯째,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을 위해 ‘개발도상국 제반 환경의 이해’, ‘사업에 참여하는 주체의 역량’을 필요요인으로 꼽았으며, ‘원격교육 기반 인프라 마련’에 있어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은 종합적으로 ‘개인 차원’, ‘활동가와 전문가 차원’에서 의미가 나타났으며,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이 연구는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의 활동가와 전문가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을 성찰하고 의미들을 탐색하고 기술하였다는 데에 있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유례없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 현장 또한 예상치 못한 어려움과 변화를 겪으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빠르게 새로운 시도와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코로나19와 유사한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격교육 실행·관리 경험을 통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원격교육의 장점을 활용하여 개발도상국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더 나은 교육 지원을 고민할 수 있다. 새로이 제기된 가능성과 방향성을 바탕으로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 지원 모델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Education was in crisis because of the spread of COVID-19. As schools closed for a particular period around the globe, education was interrupted, and it deepened educational inequality. To respond to its expansion and prevent infection, face-to-face education became difficult, and distance education was activated by online-based in developed countries. But, with poor Internet access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developing countries have attempted to distance education using various media, including online. The field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for developing countries had as well, and in realizing and overcoming it, they perceived changes and attempted distanc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exploring the experience of distance educ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longside COVID-19.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in interviews with 10 activists and experts who experienced implementing and managing it. Af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mpleted, the data got through documentation and then categorized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Firstly, the participants recognized change and adaption in the project site as ‘perception of the incipient stag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roject site’, ‘difficulties faced with education’, and ‘change and adjustment to non-contact’. Secondly, they applied methods with ‘switch to distance education using existing infrastructure’ and ‘attempting to consider the condition of the site’. It presented the involuntary transition caused by COVID-19 as a ‘motivation’. Thirdly, there was a positive approach to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counter’, ‘realizing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for sustainable education support’. Fourthly, they considered ‘difficulties caused by method’ and ‘difficulties in managing outcomes’ as obstacles, and ‘unprepared environment’ to be a limitation. Fifthly, as influential factors,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of developing countries’ and ‘competence of subjects taking part in projects’ are explained, and support for ‘preparing an infrastructure’ is required. Finally, the experience is significant at the ‘individual level’ and ‘activist and expert level’, and extended to the ‘level of the field’ to extract meaningful insight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reflecting on the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after COVID-19 in terms of activists and experts. The project site carried out new challenges and efforts to overcome them because of the unprecedented pandemic.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corresponding strategy for resolving a global threat like COVID-19. In addition, it is to contemplate that support for better educat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status in developing countries by taking advantage of distance education based on know-how from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newfound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sign of an education-supporting model with sustainability for developing countries.

목차

초록   i
Abstract   iii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국제교육개발협력   5
  가. 국제교육개발협력의 개념   5
  나. 국제교육개발협력의 유형   7
  다. 우리나라 국제교육개발협력의 현황   9
 2. 원격교육   11
  가. 원격교육의 개념   11
  나. 원격교육의 특성   13
  다. 원격교육의 형태   15
 3.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의 교육   17
  가.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의 교육 현황   17
  나.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 내 원격교육 현황   18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설계   22
 2. 연구 절차   23
 3. 연구 참여자   24
  가. 연구 참여자 모집·선정   24
  나.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26
 4. 연구 도구   27
 5. 자료 수집 및 분석   29
  가. 자료 수집   29
  나. 자료 분석   30
 6.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31
Ⅳ. 연구 결과   32
 1. 코로나19 이후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 현장의 변화와 적응   35
  가. 코로나19 발생 초기 상황 감지   35
  나. 개발도상국 사업 현장의 환경 변화   36
  다. 개발도상국 교육 현장에서 직면한 어려움   38
  라. 비대면으로의 변화 및 적응   40
 2.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계기와 활용 방식   43
  가. 원격교육의 계기   43
  나.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한 원격교육 전환   45
  다. 사업 현장의 환경에 적합한 원격교육 도입   46
 3.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의 효과   48
  가. 원격교육 대응 역량 강화   48
  나. 원격교육의 효과성 발견   49
  다. 지속가능한 교육 지원의 가능성 확인   51
 4.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에서의 제약과 한계   53
  가. 원격교육 진행 방식에서 발생한 어려움   53
  나. 원격교육 성과 관리의 어려움   56
  다. 준비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의 환경   58
 5.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을 위한 필요요인과 지원   62
  가. 개발도상국 제반 환경의 이해   62
  나. 사업에 참여하는 주체의 역량   63
  다. 원격교육 기반 인프라 마련   65
 6. 코로나19 이후 개발도상국 대상 원격교육 경험의 의미   68
  가. 개인 차원   68
  나. 활동가와 전문가 차원   69
  다.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 차원   71
Ⅴ. 결론 및 제언   75
 1. 요약   75
 2. 논의 및 결론   79
 3. 제언   82
참고문헌   84
부록   92
 A. 연구 참여 안내문   92
 B. 연구 참여 동의서   9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