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수준별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방법개선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수준별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방법개선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고혜선
서명 / 저자사항
수준별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방법개선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 고혜선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ix, 65 p.) : 천연색삽화, 도표
학과코드
0510   6M23   416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인우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수준별 Flipped Learning,,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241
005 20230523151411
006 m d
007 cr
008 230102s2023 ulkad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16
100 1 ▼a 고혜선
245 1 0 ▼a 수준별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방법개선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h [전자자료] / ▼d 고혜선
246 1 1 ▼a The effect of mathematics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satisfaction, and motivation by applying flipped learning by level
246 3 1 ▼a Effect of mathematics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satisfaction, and motivation by applying flipped learning by level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ix, 65 p.) : ▼b 천연색삽화, 도표
500 ▼a 지도교수: 박인우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수준별 Flipped Learning
900 1 0 ▼a Go, Hye-sun, ▼e
900 1 0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900 1 0 ▼a Park, In-woo,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789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수준별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방법개선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자자료] (77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M23 416 등록번호 E13000008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코로나 19로 인해 교육 현장은 많은 어려움과 혼란을 겪었고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력 격차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원격수업을 2년 동안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학력 격차는 같은 교실 안에서도 양극화되었기에 학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강의 중심의 수업 외에 새로운 수업체제의 투입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거꾸로 교실이라 알려진 Flipped Learning 수업을 적용한 Flipped Learning 수업의 장단점에 관한 연구들이 이미 존재하기에 학생들의 성취 수준과 Flipped Learning의 유형에 따른 수학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려고 하였다.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반영하여 상, 중, 하의 수준별로 제작된 수업 영상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영상을 학생이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한 수업을 수준별 Flipped Learning이라 명명하였고, 일반적인 개념의 Flipped Learning 수업 및 Flipped Learning 수업을 신청하지 않았지만, 교사의 권유를 듣고 Flipp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하게 된 학생들을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이라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준 차이가 존재하는 수업 현장에서 수준별 Flipped Learning의 유형에 따른 적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 문제는 학생의 수준과 플립러닝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흥미도, 만족도, 동기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수학 성취 수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 수준별 Flipped Learning, Flipped Learning,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을 각각 적용하여 사전, 사후 지필고사인 중간, 기말고사를 통한 학업성취도의 변화와 사전, 사후 설문지 조사를 통한 흥미도, 만족도(1.2), 수학 동기에 의한 효과를 수업방식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데이터의 집단별 분포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유형별 상하 집단의 분포가 고르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분석하여 흥미도의 경우 .946, 동기의 경우 .937, 만족도 1의 경우 .945로 나타나 검토 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신뢰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집단별 샘플사이즈가 30명 이내이므로 모수통계를 실시하기 위하여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고 각 변수별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왜도와 첨도를 통해 정규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플립러닝 실시 후 집단별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 성취도 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한 후 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6개 집단별 차이에 대해 사전 성취도를 공변인으로 설정한 후 사후 성취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플립러닝을 실시한 후 집단별 성취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 2.506, p<0.05). 같은 방법으로 사전 흥미도, 사전 동기와 6개 집단별 차이에 대해 사전 흥미도, 사전 동기를 공변인으로 설정한 후 흥미도, 동기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플립러닝을 실시한 후 집단별 흥미도, 동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1과 만족도2 척도에 따른 집단별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분석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준과 플립러닝 유형에 따라 성취도의 차이가 있다.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을 실시했을 때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고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상위수준의 학생에게는 효과가 있었지만 권유된 Flipped Learning 수업의 하위수준의 학생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상위 수준학생들의 수준별 Flipped Learning과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의 성취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과 필요에 맞게 수업을 선택하여 공부할 수 있는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유형이 상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의 수준과 플립러닝 유형에 따라 흥미도의 차이가 있다.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 및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과 Flipped Learning 수업 모든 유형에서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 모두 흥미도의 향상이 있었다. 플립러닝 수업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의 수준과 플립러닝 유형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가 있다. 특히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한 상위수준, 하위수준 집단의 만족도가 6개 집단 중 가장 높았으며 만족도2에서는 수준별 Flipped Learning 하위수준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단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하위수준 집단의 만족도는 6개의 집단 중 가장 낮았다.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 태도와 스스로의 의지 및 동기가 성취와 변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학생의 수준과 플립러닝 유형에 따라 동기의 차이가 있다.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의 상위수준과 하위수준 집단의 동기점수가 가장 높았고 Flipped Learning 수업의 하위수준 집단의 동기는 6개의 집단 중 가장 낮았다. 스스로 수업에 참여를 결정했던 수준별 Flipped Learning 집단의 학생들이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동기가 높았으며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자신의 의지로 선택하는 동기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상위수준 학생들은 수업 유형에 관계없이 성취도, 흥미도, 만족도, 동기가 향상되었으며,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의 하위 집단의 성취도 점는 다른 유형 수업의 상위수준 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낮았지만 성취도부분를 제외하면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의 하위수준 집단에서 유의미한 성취가 있어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이 상하 집단에 모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한 하위수준 집단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성취가 낮았지만,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의 하위수준 집단은 학업성취도, 흥미도, 만족도 및 동기 부분에서 유의미한 성취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 태도와 스스로의 의지 및 동기가 성취와 변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상위 수준학생들의 수준별 Flipped Learning과 권유된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의 성취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학생 수준에 맞게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 수업유형이 상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효과적인 Flipped Learning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수준별로 수업자료가 제작되어 학생이 자신의 수준과 필요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여 공부할 수 있을 때 가장 유의미한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학력격차가 더욱 벌어진 상위권 수준 학생들과 하위권 수준 학생 간의 학력 격차를 줄이고 하위수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흥미도, 만족도, 동기를 향상시키 위해서는 수준별 Flipped Learning 수업이 효과적인 수학 수업방법이므로 코로나 19로 인해 벌어진 학력격차를 해소하기위한 방안으로서 수준별 플립러닝 수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목차

목  차

논문개요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Flipped Learning	6
    1) Flipped Learning의 정의	6
    2) Flipped Learning 수업 설계 시 유의할 점	7
    3) Flipped Learning 수업에서 학습자에 대해 유의할 점	8
  2. Flipped Learning의 한계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수준별 Flipped Learning	      	9
    1) 수학 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9
    2) 수준별 Flipped Learning 개념과 모형	10
    3) 학습자의 자율선택에 의한 수업참여의 성취도 및 수업적용 관련 선행연구	        	11

Ⅲ. 연구방법	12
  1. 연구대상 및 기간	13
    1) 연구대상	12
    2) 연구기간	13
  2. 연구도구	13
    1) 학업성취도 검사	13
    2) 흥미도 검사	14
    3) 만족도 검사(1•2)	14
    4) 수학 동기 검사	14

  3. 연구절차	15
    1) 실험 설계	15
    2) 실험 절차	16
  4. 수준별 Flipped Learning 활용 수업 적용의 실제	17
    1) 교과서 내용 분석 및 차시 추출	17
    2) 프로그램의 설계 및 수업 모형	17
    3)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18
  
Ⅳ. 연구결과	20
  1. 집단별 분포	20
  2. 교차분석	21
  3. 신뢰도분석	22
  4. 정규성 검증	23
    1) 수준별 플립러닝 상 집단의 정규성 검증	27
    2) 수준별 플립러닝 하 집단의 정규성 검증	28
    3) 플립러닝 상 집단의 정규성 검증	29
    4) 플립러닝 하 집단의 정규성 검증	30
    5) 권유된 플립러닝 상 집단의 정규성 검증	31
    6) 권유된 플립러닝 하 집단의 정규성 검증	32
  5. 사전 동질성 검증(일원배치분산분석)	33
  6. 공분산분석	35
    1) 플립러닝 실시 후 집단별 성취도 차이 분석	35
    2) 플립러닝 실시 후 집단별 흥미도 차이 분석	37
    3) 플립러닝 실시 후 집단별 동기 차이 분석	39
  7. 만족도 차이 검증(일원배치분산분석)	41
	
Ⅴ. 논의 및 결론	44
    참고문헌	51
    부록	60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 구성인원	12
[표 2] 실험 설계	15
[표 3] 실험 진행 절차	16
[표 4] 수업 설계 및 수업 유형	17
[표 5] 집단별 분포	20
[표 6 ] 각 집단별 분포의 차이검증	21
[표 7] 신뢰도분석	23
[표 8] 전체 정규성 검증	23
[표 9] 수준별 플립러닝 상 집단 기술통계	27
[표 10] 수준별 플립러닝 하 집단 기술통계	28
[표 11] 플립러닝 상 집단 기술통계	29
[표 12] 플립러닝 하 집단 기술통계	30
[표 13] 권유된 플립러닝 상 집단 기술통계	31
[표 14] 권유된 플립러닝 하 집단 기술통계	32
[표 15] 집단별 사전 동질성 검증 	33
[표 16] 각 집단별 성취도 차이	35
[표 17] 각 집단별 성취도 차이 모형	36
[표 18] 각 집단별 흥미도 차이	37
[표 19] 각 집단별 흥미도 차이 모형	38
[표 20] 각 집단별 동기 차이	39
[표 19] 각 집단별 동기 차이 모형	40
[표 20] 각 집단별 만족도 차이 검증	41

그 림 목 차
[그림 1] 각 집단별 성취도, 흥미도, 만족도 차이	25
[그림 2] 각 집단별 동기 차이	26
[그림 3] 각 집단별 성취도 차이	36
[그림 4] 각 집단별 흥미도 차이	38
[그림 5] 각 집단별 동기 차이	40
[그림 6] 각 집단별 만족도 차이	43

부 록 목 차
[부록 1] 사전 사후 흥미도 검사 설문지	61
[부록 2] 사전 사후 만족도1 검사 설문지	62
[부록 3] 사전 사후 만족도2 검사 설문지	63
[부록 4] 사전 사후 동기 검사 설문지	6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