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고건
서명 / 저자사항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고건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ix, 62 p.) : 천연색삽화
일반주기
지도교수: 손승현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
메타버스 학습자와 교수자, 인식, 경험, 초등학생연구, 근거이론, 교육적 활용 방안, 미술 감상 교육,,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239
005 20230710085126
006 m d
007 cr
008 221219s2023 ulka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15
100 1 ▼a 고건
245 1 0 ▼a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h [전자자료] / ▼d 고건
246 1 1 ▼a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metaverse
246 3 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metavers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ix, 62 p.) : ▼b 천연색삽화
500 ▼a 지도교수: 손승현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3. 2
504 ▼a 참고문헌 수록
653 ▼a 메타버스 학습자와 교수자 ▼a 인식 ▼a 경험 ▼a 초등학생연구 ▼a 근거이론 ▼a 교육적 활용 방안 ▼a 미술 감상 교육
900 1 0 ▼a Ko, Kun, ▼e
900 1 0 ▼a 손승현, ▼g 孫丞賢, ▼d 1971-, ▼e 지도교수 ▼0 AUTH(211009)1338
900 1 0 ▼a Son, Seung-hyun,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793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128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M23 415 등록번호 E13000006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통하여 가상의 공간에서 미술 작품들을 감상하고 이를 근거로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미술 감상 수업에 경험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을 통해 중심현상 및 경험 간의 틀을 구성하였다. 질문지는 초등학교 교사 6인에게 검토를 의뢰
하였고, 최종적으로 10개의 문항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인터뷰 시간은 회차 당 50분 내외로 2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응답자의 답변에 따라 추가적인 탐색 질문을 통해 연구주제에 관한 생각과 경험, 의견을 구체적으로 끌어내고자 하였다. 인터뷰의 결과를 Strauss와 Corbin(2015)이 제시한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전사한 자료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133개의 개념, 23개의 하위 범주, 12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미술 감상 교육이 메타버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자들은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을 촉진시키는 수업 활동에 대한 교사의 부담과 답답한 환경 시설에도 불구하고 메타버스가 제공하는 몰입, 실재감 등의 특성이 전통적 미술 감상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됨에 따라 교사의 기대감이 컸으나 인프라 환경이 부족하다. 교사의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미술 감상 교육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그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갖추어 구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개선 방안으로 메타버스 학습을 촉진시키는 모든 활동에서 생태계의 현재 상황을 점검·보완하기 위하여 교실의 메타버스 기반 환경 실태조사 연구와 효율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규명된 중재적 조건과 전략 등의 요인을 고려한 미술 감상 교육에 특화된 메타버스 기기와 플랫폼,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appreciate art works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metaverse and investigate th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verify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metaverse. To this end, a framework between central phenomena and experiences was constructed through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The questionnaire was requested to be reviewed by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inall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0 ques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nd students. The interview time was conducted twice for about 50 minutes per session, an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answers, additional search questions were used to specifically derive thoughts, experiences, and opinions on the research topic.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with the basis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201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nscribed dat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instructors and learners, 133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12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In terms of the impac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on metaverse, instructors had high expectations for teachers as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on and reality provided by metaverse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education, but the infrastructure environment was insufficient. Based on the analysis of whether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has experienced art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the instructor's metaverse,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a systematic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ly. To check and supplemen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cosystem in all activities promoting metaverse learning, a study was presented to develop metaverse devices, platforms, and curricula specialized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considering the mediating conditions and strategies identified i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5
  1. 메타버스   5
  2. 미술 감상 교육   9
  3. 미술 감상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선행연구)   11
  4. 교사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   14
Ⅲ. 연구방법   16
  1. 연구 참여자 선정   16
  2. 자료 수집 및 분석   18
  3. 연구의 타당성   20
Ⅳ. 연구 결과   23
  1. 메타버스 활용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범주   23
  2. 메타버스 활용 미술 감상 교육을 둘러싼 상황 모형 및 적용   44
Ⅴ. 결론 및 제언   49
  1. 결론   49
  2. 제언   51
참고문헌   53
부록   5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