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글로벌 경영학 기초

글로벌 경영학 기초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제홍, 李濟烘, 1962- 김미정, 저
Title Statement
글로벌 경영학 기초 / 이제홍, 김미정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인천 :   책연,   2023  
Physical Medium
557 p. ; 26 cm
ISBN
979119267202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45-548)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194
005 20230328175140
007 ta
008 230327s2023 ick b 001a kor
020 ▼a 9791192672021 ▼g 9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58.18 ▼2 23
085 ▼a 658.18 ▼2 DDCK
090 ▼a 658.18 ▼b 2023
100 1 ▼a 이제홍, ▼g 李濟烘, ▼d 1962- ▼0 AUTH(211009)119507
245 1 0 ▼a 글로벌 경영학 기초 / ▼d 이제홍, ▼e 김미정 저
260 ▼a 인천 : ▼b 책연, ▼c 2023
300 ▼a 557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45-548)과 색인수록
700 1 ▼a 김미정,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8.18 2023 Accession No. 1118786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본 교재는 국경이 사라진 글로벌 환경하에서 국가와 기업의 생존전략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면서 효율적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당면과제이다. 이에 본 교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요 이슈는 크게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글로벌 경영의 본질이 무엇인가
둘째, 기업의 글로벌화 과정 및 다국적기업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되는가
셋째, 현재 변화하는 글로벌 경영환경은 어떠한 변화추세인가
넷째, 그러면 글로벌 경영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다섯째, 글로벌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여섯째, 디지털 환경시대에 글로벌 e-비즈니스로의 적용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교재는 학생들이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하였으며, 글로벌 경영 지식을 가장 빠르게 습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쉽게 저술하였다.

머리말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은 다변화・다양화로 인해, 국가와 기업은 경쟁생산의 틈바구니에서 생존을 위한 번영과 이윤을 추구하며 변화에 적응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기업은 다국시장에서 생산, 판매 전략을 수립, 실행 그리고 성과를 얻으려는 글로벌 경영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신냉전 또는 패권주의로 인한 글로벌 경제 가치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글로벌 경영전략을 표준화로 수립할 것인가 또는 현지화 전략을 수립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강요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이 경제전쟁으로 그리고 동맹국간의 줄 세우기로 인해 공급망 시스템이 붕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글로벌 개방을 가속화하는 추세의 확산과 폐쇄적 속성을 지닌 지역경제통합의 심화로 인해 경제네트워크가 흐트러지는 과정에서 국가와 기업은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가가 주요한 관심 사항이 되고 있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정보지식산업과 융복합 산업이 디지털이라는 기술에 편승하여 이질적이고 동태적인 환경변화와 혼재되면서 기업은 다변화된 경쟁질서 속에서 어떻게 존속할 것인지가 주요한 과제이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서 글로벌경영 범주를 정의하면, 기업이 국경을 넘어 발생되는 모든 거래의 형태를 말하며 또한 국경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공적・사적 상업활동으로 정의된다. 즉 재화, 서비스, 기술, 자본, 노하우, 인력, 정보 등 국제적 거래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수행함을 의미한다. 2022년 들어 글로벌 환경질서를 주도하는 요인으로는 글로벌화, 탄소중립 그리고 우주시대, 4차산업, 융복합 등 지식과 기술로 기업의 글로벌 전략이 통합되고 보다 큰 시장으로 확대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즉 글로벌화의 가장 핵심적인 요인을 다음과 같이 정의내릴 수 있다.
첫째, 세계화를 촉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빠른 기술진보에 의한 지식산업화이다.
둘째, 기술혁신과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한 우주시대로의 전환이다.
셋째, 디지털 환경에 의한 4차산업의 융복합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전 세계적 공급망의 확대로 생산과 판매가 글로벌화 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넷째, 지구환경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확산으로 탄소중립 경제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다섯째, 이와 같은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미국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로 이어지는 패권전쟁을 무역전쟁과 공급망 손상에 따른 세계경제의 왜곡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면 세계 대공황의 시대를 맞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국적을 초월한 글로벌 기업들은 국가 사이의 각종 장벽을 무너뜨리고, 세계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경영 활동으로 세계 소비자들의 효용을 제고시키고 평화로운 시장체제를 확대하여 글로벌 공존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교재는 국경이 사라진 글로벌 환경하에서 국가와 기업의 생존전략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면서 효율적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당면과제이다. 이에 본 교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요 이슈는 크게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글로벌 경영의 본질이 무엇인가
둘째, 기업의 글로벌화 과정 및 다국적기업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되는가
셋째, 현재 변화하는 글로벌 경영환경은 어떠한 변화추세인가
넷째, 그러면 글로벌 경영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다섯째, 글로벌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여섯째, 디지털 환경시대에 글로벌 e-비즈니스로의 적용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교재는 학생들이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하였으며, 글로벌 경영 지식을 가장 빠르게 습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쉽게 저술하였다.
아울러 본 교재를 저술하는데 조언을 아끼지 않고, 도움을 주신 많은 선배, 후배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본서를 기꺼이 출간하여 주신 정태욱 사장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3. 2
저자 이제홍, 김미정 드림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국제경영의 본질
제1장 국제경영의 이해 9
제1절 국제경영학의 역사적 의의 9
제2절 국제경영의 의의 11
제3절 국제경영의 이해 13
제4절 국제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1
제5절 국제경영학의 학문체계 24
제2장 글로벌 경영의 진행단계 29
제1절 해외시장 진출단계 29
제2절 현지시장 확장단계 31
제3절 글로벌 합리화 단계 33

제2부 국제경영환경
제3장 기업의 글로벌화 37
제1절 글로벌화의 목적 37
제2절 글로벌화의 개념 39
제3절 글로벌화 과정 43
제4절 글로벌화 행동양식과 발전과정 45
제5절 글로벌과 경영전략 49
제6절 글로벌 통합 52
제4장 정치적 환경 56
제1절 정치적 위험의 개요 56
제2절 정치적 위험의 측정과 분석방법 67
제3절 정치적 위험의 관리 73
제5장 문화적 환경 90
제1절 이질적 문화환경과 국제경영 90
제2절 문화적 환경의 분석방법 99
제3절 문화의 종합적 평가 모형 101
제4절 문화적 환경의 관리 114
제5절 문화와 국제경영관리 117
제6장 국제경제환경 124
제1절 국제규범 환경과 GATT와 WTO 124
제2절 Post UR:신 라운드의 대두 130
제3절 경제통합과 세계경제의 블록화 136

제3부 기업의 국제화과정 및 다국적 기업
제7장 해외시장선택과 진입전략 147
제1절 해외시장선택 147
제2절 해외시장 진입 환경구성요인 158
제3절 소유권과 통제수준 결정 168
제4절 해외시장 진입전략 수립 170
제8장 기업의 국제화 과정 179
제1절 기업의 국제화 개념 179
제2절 기업의 국제화 진출과정 186
제3절 다국적기업 191
제9장 해외시장 진출유형 197
제1절 진출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97
제2절 해외진입형태 200
제3절 국제경영관리계약 224
제4절 기술의 국제적 이전 229
제10장 해외직접투자 236
제1절 해외직접투자의 동기와 유형 236
제2절 해외직접투자의 결정과정 241
제3절 해외진출형태 및 경로의 선택 247
제4절 해외직접투자가 투자국과 피투자국에 미치는 영향 258
제5절 해외직접투자 철수 262
제6절 해외직접투자의 협상 265

제4부 국제경영관리
제11장 국제인사관리 273
제1절 국제인사관리의 전략대안 274
제2절 국제경영자의 선발 276
제3절 글로벌 인사관리 283
제4절 국제경영자의 교육 286
제5절 보상관리 291
제6절 해외파견인의 귀국관리 295
제12장 글로벌 마케팅관리 299
제1절 글로벌 마케팅 개념과 발전단계 299
제2절 해외시장세분화 305
제3절 글로벌 표적시장 선정과 포지셔닝 전략 311
제4절 글로벌 제품전략 323
제5절 가격전략 330
제6절 촉진전략 343
제7절 글로벌 유통전략 355
제13장 국제재무관리 364
제1절 환위험관리 364
제2절 국제투자관리 372
제3절 국제자금조달 376
제4절 국제운전자본관리 381
제14장 국제조직관리 385
제1절 조직의 개관 385
제2절 조직의 결정요인 및 조직의 형태 390
제15장 국제생산관리 397
제1절 국제생산의 의의 397
제2절 국제생산입지의 선정 399
제3절 글로벌 소싱(Global Sourcing) 406
제4절 국제로지스틱스 412
제5절 글로벌 공급사슬관리 415

제5부 국제경쟁협상전략
제16장 글로벌 전략 423
제1절 글로벌 전략의 개념 423
제2절 글로벌 전략의 모형 430
제3절 글로벌 전략의 분석절차 435
제17장 국제경쟁전략 441
제1절 경쟁전략의 의의 441
제2절 국제경영전략에 대한 이해 449
제3절 범세계적인 수준의 경쟁행동 460
제4절 국제경쟁전략의 수행 462
제18장 국제협상전략 468
제1절 국제협상 일반론 468
제2절 국제기업협상 481
제3절 주요 국가의 협상사례 489

제6부 e-비즈니스와 4차 산업혁명
제19장 e-비즈니스 환경변화 495
제1절 인터넷시대 국제경영의 환경변화 495
제2절 국제적 인터넷환경요인의 분석 496
제3절 디지털 신경영 이론 501
제4절 글로벌화와 인터넷경영 503
제5절 우리나라 인터넷기업의 해외진출 508
제20장 4차 산업혁명과 인터넷마케팅 510
제1절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개념 510
제2절 인터넷마케팅환경 524
제3절 인터넷마케팅전략 530
제4절 데이터 마케팅 535

참고문헌 545
색인(Index) 54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Jacobs, F. Rober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