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디지털 국어 교과서 탐색

디지털 국어 교과서 탐색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병규, 李炳圭, 1969-, 저 김지영, 저 곽준현, 저 안효원, 저
서명 / 저자사항
디지털 국어 교과서 탐색 / 이병규 [외]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22  
형태사항
x, 278 p. : 천연색삽화 ; 26 cm
ISBN
9788930319416
일반주기
공저자: 김지영, 곽준현, 안효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75-278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189
005 20230329105424
007 ta
008 230327s2022 ulka b 000a kor
020 ▼a 9788930319416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071 ▼2 23
085 ▼a 497.071 ▼2 DDCK
090 ▼a 497.071 ▼b 2022z2
245 0 0 ▼a 디지털 국어 교과서 탐색 / ▼d 이병규 [외]
260 ▼a 서울 : ▼b 집문당, ▼c 2022
300 ▼a x, 278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500 ▼a 공저자: 김지영, 곽준현, 안효원
504 ▼a 참고문헌: p. 275-278
536 ▼a 이 연구는 2021년도 천재교육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700 1 ▼a 이병규, ▼g 李炳圭, ▼d 1969-, ▼e▼0 AUTH(211009)119813
700 1 ▼a 김지영, ▼e
700 1 ▼a 곽준현, ▼e
700 1 ▼a 안효원, ▼e
900 1 0 ▼a Lee, Byoung-gyu, ▼e
900 1 0 ▼a Kim, Ji-yeong, ▼e
900 1 0 ▼a Gwag, Jun-hyun, ▼e
900 1 0 ▼a An, Hyo-won,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71 2022z2 등록번호 11187869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코로나19 이후 도래한 ‘새 일상(new normal)’ 시대를 맞아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원리를 탐색하고 그 모형을 구체화한 결과물이다. 이 책의 내용은 미래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본 1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의 현황과 요구를 분석한 2부, 개발의 실제를 제시한 3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특히 이 책은 국어 교과의 특성에 기반하여 디지털 국어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기능과 자료를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어 단기적, 중·장기적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은 코로나19 이후 도래한 ‘새 일상(new normal)’ 시대를 맞아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원리를 탐색하고 그 모형을 구체화한 결과물이다. 이 책의 내용은 미래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본 1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의 현황과 요구를 분석한 2부, 개발의 실제를 제시한 3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특히 이 책은 국어 교과의 특성에 기반하여 디지털 국어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기능과 자료를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어 단기적, 중·장기적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책은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을 연구하는 연구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자료의 구현에 관심이 있는 개발자,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관심이 많은 교사와 예비 교사에게 이론적, 실제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병규(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대표 논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2005, 공저)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2009) 『개념 있는 국어 문법』(2013/2018 개정판, 공저) 「담화의 개념과 그 단위」(2104), 「담화의 기능과 그 체계」(2015) 『초등 국어 교육의 이해』(2018, 공저) 『국어 문법 교육론』(2019) 『또바기와 모도리의 야무진 한글 1~4』(2019) 『디지털 국어 교과서 탐색』(2022, 공저)

곽준현(지은이)

서울거원초등학교 교사

김지영(지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안효원(지은이)

서울오봉초등학교 교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미래 교육과 국어 교과서
1. 미래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
1.1. 미래 사회 교육 환경의 변화
1.2. 스마트교육과 디지털 기반 교육
1.3. 미래형 교육의 해외 실행 사례
1.3.1. 영국의 ‘미래교육 프로젝트’
1.3.2. 미국의 전망 및 사례
1.3.3. 캐나다의 전망 및 사례
2.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2.1.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
2.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
2.2.1.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의 장단점
2.2.2. 서책형 교과서에서 디지털 교과서로의 이행
2.2.3. 디지털 교과서의 기능
3. 디지털 국어 교과서
3.1.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모형
3.2.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발전 방향
3.2.1.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장단점
3.2.2.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
3.2.3. 디지털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평가 개선 방안

제2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현황과 요구
1. 국내 디지털 교과서의 현황
1.1. 국내 디지털 교과서 개발 현황
1.2. 국내 디지털 교과서 분석
1.2.1. 초등 디지털 교과서 자료 분석
1.2.2. 중등 국어과 전자저작물 자료 분석
1.2.3. 초등 디지털 교과서 기능 분석
1.2.4. 중등 국어과 전자저작물 기능 분석
2. 국외 디지털 교과서의 현황
2.1. 국외 디지털 교과서 개발 현황
2.2. 국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사례 분석
2.2.1. 싱가포르 활용 사례
2.2.2. 말레이시아 활용 사례
2.2.3. 일본 활용 사례
2.2.4. 기타 활용 사례
3. 디지털 국어 교과서 관련 요구 분석
3.1. 디지털 교과서 전반에 관한 요구
3.1.1. 구동 환경의 최적화
3.1.2. 개발 단계별 구현 내용 체계화
3.1.3. 온ㆍ오프라인 수업의 연계
3.1.4. 교사용ㆍ학생용의 분리
3.1.5. 서책형 교과서와의 연계
3.2. 디지털 국어 교과서 관련 요구
3.2.1. 디지털 국어 교과서 ‘자료’ 관련 요구
3.2.2. 디지털 국어 교과서 ‘기능’ 관련 요구

제3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의 실제
1. 디지털 교과서의 설계 원리
1.1.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1.2. 행동유도성(affordance)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1.3. 그 외 디지털 교과서의 설계 원리
1.4.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 및 활용의 원리
1.4.1.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원리
1.4.2.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활용 원리
2. 디지털 국어 교과서 모형
2.1. 모형 개발 방향
2.1.1. 디지털 국어 교과서 자료 개발 방향
2.1.2. 디지털 국어 교과서 기능 개발 방향
2.2. 모형 구성
2.2.1. 교사 전용 자료
2.2.2. 교사 전용 기능
2.2.3. 차시 활용 자료 및 기능
2.2.4. 교수ㆍ학습 도움 기능
2.2.5. 본문 내 기능
2.3. 학습창 구성
2.3.1. 홈(메인 화면)
2.3.2. 내 학습 모음
2.3.3. 더 공부하기
3. 디지털 국어 교과서 모형 적용
3.1. 디지털 교과서 단원 사례(1)
3.1.1. 단원의 개관
3.1.1. 단원의 차시별 자료 및 기능 구조
3.1.2. 차시별 디지털 교과서 구현
3.2. 디지털 교과서 단원 사례(2)
3.2.1. 단원의 개관
3.2.2. 단원의 차시별 자료 및 기능 구조
3.2.3. 차시별 디지털 교과서 구현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