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5165 | |
005 | 20230329132911 | |
007 | ta | |
008 | 230327s2023 ulka 000a kor | |
020 | ▼a 9791160409550 ▼g 0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1.09519 ▼2 23 |
085 | ▼a 301.0953 ▼2 DDCK | |
090 | ▼a 301.0953 ▼b 2023 | |
100 | 1 | ▼a 홍세화, ▼g 洪世和, ▼d 1947- ▼0 AUTH(211009)44835 |
245 | 1 0 | ▼a 생각의 좌표 : ▼b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사는 법 / ▼d 홍세화 지음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한겨레출판 : ▼b 한겨레엔, ▼c 2023 | |
300 | ▼a 244 p. : ▼b 삽화 ; ▼c 22 cm | |
500 | ▼a 홍세화 에세이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53 2023 | Accession No. 1118786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홍세화(지은이)
장발장은행의 은행장을 맡고 있다. 회사원, 관광안내원, 택시기사에 이어 신문기자와 소수파 진보정당의 대표를 거쳐, 급기야 은행장의 직함까지 갖게 되었다. 주식도 없고 스톡옵션도 없는, 틀림없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은행장일 것이다. 두 가지 우연이 있었다. 하나는 프랑스 땅에 떨어진 것. 또 하나는 파리에서 빈대떡 장사를 할 자본이 없었다는 것. 아무 카페든지 한 귀퉁이를 빌려서라도 빈대떡 장사를 해보겠노라고 마누라와 꽤나 돌아다녔다. 그때 수중에 돈이 조금 있었다면 지금 열심히 빈대떡을 부치고 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나는 빈대떡을 아주 잘 부친다.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대신 ‘나는 빠리의 빈대떡 장사’? 글쎄, 그건 나도 알 수 없다. 아무튼 두 가지 우연과 몇 가지 필연, 그리고 서울대 출신이란 게 합쳐져서 지금의 내가 있게 되었다. 나는 『양철북』의 소년도 아니면서 나이 먹기를 거부한다. 나이 먹기를 거부한다는 게 주책없는 일임을 안다. 그렇다고 하릴없는 수작이라고까지는 생각지 않는다. 장교는 나이를 먹으면서 진급한다. 사병은 나이를 먹어봤자 사병으로 남는다. 실제 전투는 주로 사병이 하는 것이다. 그런데 거의 모든 사람이 사병으로 남으려 하지 않는다. ‘그래, 그럼 나는 끝까지 사병으로 남겠어.’ 오래전부터 가졌던 생각이다. 따라서 나에겐 나르시시즘이 있다. 내 딴에는 그것을 객관화함으로써 자율 통제하려고 애쓴다. 그러면 전투는 왜 하는가? 살아야 하므로. 척박한 땅에서 사랑하고 참여하고 연대하고 싸워 작은 열매라도 맺게 하는 거름이고자 한다. 거름이고자 하는 데에는 자율 통제가 필요치 않다. 욕망이 춤춘다. 그렇다. 나는 살아서 즐거운 ‘아웃사이더’이고 싶다. 시어질 때까지 수염 풀풀 날리는 척탄병이고 싶다.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1 내 생각의 주인은 누구인가 2 회색의 물신 사회 3 긴장의 항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