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1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사점과 한국의 국방혁신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현인택, 저 권태환, 저 김광진, 저 김규철, 저 김진형, 저 박재완, 저 박종일, 저 박주경, 저 방종관, 저 송운수, 저 송승종, 저 박철균, 저 안재봉, 저 양욱, 저 윤원식, 저 이홍석, 저 장태동, 저 장원준, 저 장광호, 저 조현규, 저 유형곤, 저
Title Statement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1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사점과 한국의 국방혁신 / 현인택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로얄컴퍼니,   2023  
Physical Medium
434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97827761
General Note
필진: 권태환, 김광진, 김규철, 김진형, 박재완, 박종일, 박주경, 방종관, 송운수, 송승종, 박철균, 안재봉, 양욱, 윤원식, 이홍석, 장태동, 장원준, 장광호, 조현규, 유형곤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5087
005 20230328160228
007 ta
008 230327s2023 ulkad 000a kor
020 ▼a 9791197827761 ▼g 9339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5.0330519 ▼2 23
085 ▼a 355.033053 ▼2 DDCK
090 ▼a 355.033053 ▼b 2023
245 0 0 ▼a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1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사점과 한국의 국방혁신 / ▼d 현인택 [외]
260 ▼a 서울 : ▼b 로얄컴퍼니, ▼c 2023
300 ▼a 434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필진: 권태환, 김광진, 김규철, 김진형, 박재완, 박종일, 박주경, 방종관, 송운수, 송승종, 박철균, 안재봉, 양욱, 윤원식, 이홍석, 장태동, 장원준, 장광호, 조현규, 유형곤
700 1 ▼a 현인택, ▼e
700 1 ▼a 권태환, ▼e
700 1 ▼a 김광진, ▼e
700 1 ▼a 김규철, ▼e
700 1 ▼a 김진형, ▼e
700 1 ▼a 박재완, ▼e
700 1 ▼a 박종일, ▼e
700 1 ▼a 박주경, ▼e
700 1 ▼a 방종관, ▼e
700 1 ▼a 송운수, ▼e
700 1 ▼a 송승종, ▼e
700 1 ▼a 박철균, ▼e
700 1 ▼a 안재봉, ▼e
700 1 ▼a 양욱, ▼e
700 1 ▼a 윤원식, ▼e
700 1 ▼a 이홍석, ▼e
700 1 ▼a 장태동, ▼e
700 1 ▼a 장원준, ▼e
700 1 ▼a 장광호, ▼e
700 1 ▼a 조현규, ▼e
700 1 ▼a 유형곤, ▼e
945 ▼a ITMT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3053 2023 Accession No. 11187859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033053 2023 Accession No. 15136380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8-1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3053 2023 Accession No. 11187859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033053 2023 Accession No. 15136380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8-1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1년이 지나고 있다.우크라이나 전쟁은 막대한 인명 피해와 참혹한 인권 침해는 물론 코로나 펜데믹에 더해 세계 경제 침체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쟁종결은 물론 예측조차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금지된 화생방 무기와 핵 사용마저 우려되고 있다. 한편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안보 정세 또한 엄중하다.

북한은 핵무장과 함께 탄도미사일 발사 등 무차별적인 군사적 도발로 겁박하고 있으며 중국은 대만 침공 훈련과 군사적 시위를 상시화하는 등 안보 불안을 자극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전략 3문서 개정을 통해 반격 능력 보유와 획기적인 전력증강을 추구하는 등 역내 군비경쟁도 본격화되는 추세이다. 실제 우크라이나 전쟁은 재래식 무기는 물론 우주전, 사이버전, 전자전은 물론 드론, AI 등 최첨단 전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이러한 관점에서 본서는 안보군사 전문가들이 마음을 합하여,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의 국방혁신과 방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금년도는 6.25 정전협정 70주년 이자 한미동맹 7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글로벌 중추국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특정 국가의 힘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을 단호히 반대하면서 가치 연대와 국제공조도 중요하지만, 이를 힘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우리의 실전적인 군사대비태세가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다.

‘Freedom is not free’ 한반도 평화는 거저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순국선열들의 피와 땀, 동맹국인 미국을 비롯한 유엔 참전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숭고한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직시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작은 초석이 되기를 기원한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후 1년이 지난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이 전세계에 시사하는 바는 매우 중요하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미사일,탱크,비행기등의 재래식 무기부터 우주전, 사이버전, 드론 전자전등 최첨단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쟁상황에 러이사와 우크라이나 군인 및 민간인들은 막대한 인명 피해 와 삶의 기본권이 무너지고 처참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국제사회는 전쟁종결을위해 모든 수단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전쟁은 현재도 지속되고 있고 오늘도 수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Freedom is not free.
전쟁은 먼나라 다른세상의 이야기가 아닌 어느국가에서든 일어날 수 있음에 국가는 국방력의 강화와 현대화등을 통해 이를 방어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는 강대국에 둘러쌓여 있는 지정학적 특성으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일본의 지속적인 국방력확장, 중국의 대만침공 가능성등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국방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모든 재래식무기 부터 최첨단무기, 전쟁에 투여된 모든 자원이 어떻게 전쟁에 이용되고 있는지 정확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책은 이를 통해 한국이 준비해야할 국방분야의 개혁점을 정확히 제안하여 엄중한 안보위협에 대처해야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침공 이후 1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사점과 한국의 국방혁신은 대한민국 국방력강화와 혁신을 위해 관련된 모든 분들이 꼭 읽어야할 필독서 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양욱(지은이)

아산정책연구원 외교안보센터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으며, 국방대학교에서 국방전략과 군사전략으로 석·박 사 학위를 취득 후에 현재 아산정책연구원에서 재직 중이다. 군사전략과 무기체계 전 문가로서 방산업계와 민간군사기업 등 주로 민간영역에서 활동해왔으며, 대한민국 1 세대 민간군사기업 중 하나인 인텔엣지주식회사를 창립하여 운용했다. 회사를 떠난 후 TV와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다양한 군사이슈와 국제분쟁 등을 해설해왔으며, 무기체계와 군사사에 관한 다양한 저술활동을 해왔다. 특히 북한의 군사전략과 WMD 무기체계를 분석해왔고,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국방부, 외교부, 합참, 육· 해·공군 등의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해오고 있다. 현재는 육군사관학교와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등에 서 군사혁신론, 현대전쟁연구, 전쟁과 비즈니스 등을 강의하며, 각 군과 정부에 자문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송승종(지은이)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송승종 교수는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겸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의미국 센터장으로 활동 중이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국방대학원(현 국방대)에서석사학위, 미국 미주리 주립대(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의 국제안보 고위정책 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한·미동맹, 미·중관계, 미국 국방·안보정책 및 군사전략, 민군관계 등이다. 국방부 미국정책과장, 유엔대표부 참사관(PKO 담당), 駐바그다드 다국적군사령부(MNF-I) 한국군 협조단장, 駐제네바 대표부 군축담당관 등을 역임하였다. 2014년 전역 이후,SSCI 및 KCI 등재/등재후보 저널에 20편 이상의 논문 게재 및 전쟁과 평화(Peace and ConflictStudies, 공동번역) 출간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 번역서 및 주요 논문 -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이해> (연경문화사, 2006) - <북한의 협상전략(번역)> (Over the Line: North Korea’s Negotiation Strategy, 한울, 1999) - <장진호 전투와 흥남철수작전(번역)> (A Christmas Far from Home, 북코리아, 2015) - “유럽에서의 재래식 군비통제에 관한 연구: 협상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제31집 1호, 1997.6) - “인도파키스탄의 핵실험과 북한의 핵문제” (<북한>, 1998.9) -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한 글로벌 위기” (<국가안보전략>, 2014.11) - “부상하는 ISIS(Islamic State in Syria/Levant) 위협과 미국의 대응전략” (<전략연구>, 2014.12) - “오바마 행정부의 아?태 재균형전략 중간평가” (<국방연구>, 2014.12) - “The Shale Revolution, Its Geopolitical Implications, and a Window of Opportunity for Northeast Asia”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 27, No. 1, March 2015, SSCI급 논문) - “American Exceptionalism at a Crossroad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13, No. 1, April 2015)

송운수(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가안보학 교수 학군 24기로 임관, 1야전군사령부에서 정보처장을 거쳐 777사령관 및 정보학교장 을 역임하고 34년간의 군생활을 마치고 육군 소장으로 전역함. 고려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석사, 단국대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 대학원 외교안보학과에 국가안보학 교수로 재직중임. 저서로는 『사이버 군사전략 개관』(진영사, 2022)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사이버 억지 수단으로서의 사이버전자전 작전수행개념’(한국군사학논집, 2021), ‘발사의 왼 편작전과 한반도 사이버 억지전략 제언’(전략연구, 2021) 등 다수가 있음.

방종관(지은이)

국방과학연구소(ADD) 겸임연구원방종관 연구원은 서울대학교 미래혁신연구원 산학협력교수, 한국국방연구원(KIDA) 객원연구원 등으로 전쟁사 · 무기체계 · 국방혁신을 연구하고 있다.1988년 육군사관학교 졸업과 동시에 포병 소위로 임관하여 2021년 육군 소장으로 전역했다. 이라크 파병을 포함하여, 각급 제대 지휘관과 국방부 군사보좌관,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과장, 전력기획 1처장, 전략기획차장, 육본 기획관리참모부장 등 국방부· 합참 · 육본에서 정책 · 전략 · 전력기획 업무를 수행했다. 미국 합동참모대학을 수료했으며,「히틀러의 비밀무기 V-2」를 번역하였다.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생존전략」(유용원 저)의 대담자로 참여하였으며, 중앙일보 안보·국방 분야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YTN ‘뉴스멘터리전쟁과 사람’ 프로그램에 무기체계 및 전쟁사 전문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안재봉(지은이)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 부원장공군제2사관학교를 졸업 후 제11전투비행단에서 F-4D 팬텀 전투기 후방석 조종사로서 비행생활을 했으며, 이후 공군전투발전단 전략기획담당, 공군본부 장기전략/교리담당, 합동참모본부 군사전략과 공중전략담당, 공군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정책보좌관, 공군본부 비서실 지휘관리과장, 공군본부 국방개혁TF장을 역임했으며, 현 공군항공우주전투발전단장 직을 끝으로 2013년 12월 공군준장으로 전역했다. 군 복무 중에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사, 국방대학원 안전보장학 석사를 취득했으며,전역 후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전역 후에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전문위원, 공군사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 부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새로운 패러다임의 군사교리』(충남대 출판문화원, 2019)가 있으며, 논문으로 ‘한국군의 군사기본교리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장원준(지은이)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연구위원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 공군대학원(AFIT)에서 군수관리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기술정책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마치고 현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경력으로 산업연구원 방위산업연구부장,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 1기 국방전문위원, 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Visiting Fellow 등을 거쳐 현재 한국혁신학회 부회장, 한국방위산업학회 이사, 그리고 국방부, 방위사업청, 산업자원부, 중소기업벤처부 및 창원, 대전, 충남, 논산 등에서 방위산업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2021Defense Acquisition Trends, CSIS(2021),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방위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2017)’, ‘주요국 방위산업 관련 클러스터 육성제도 분석과 시사점(2018)’, ‘방위산업절충교역의 최근 이슈와 향후 과제(2018)’, ‘2018~22 방위산업 육성 기본계획 연구(방위사업청)(2017)’, ‘국방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국방과학연구소)(2020)’, ‘2021~25 충남 국방산업 육성계획 수립연구(충남도청)(2021)’ 등 수십편의 논문과 보고서가 있으며, 방송, 기고, 강연 등을 통해 방위산업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김규철(지은이)

전 주러 육군무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한국국방외교협회 러시아센터장, 육 군사관학교 노어과 졸업, 러시아 총참모대 안보과정 졸업, 국방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박사, 전 주러시아 한국대사관 육군무관, 전 국방정 보본부 러시아 분석관 등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러시아의 군사전략: 위협인식과 군사력 건설 동향”(2020), 『러시아의 사이버안보』(공저, 2021),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의 작전 분 석”(2022), 『미중러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공저, 2022) 등이 있다.

윤원식(지은이)

육군사관학교 졸업, 육군 대령 전역 신문방송학 석사, 국제정치학 박사 재향군인회 홍보실장 겸 대변인 북극성안보연구소 미디어전략센터장 육군사관학교 42기로 졸업(국제관계 전공), 연세대(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외교안보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방부와 합참을 비롯한 정책부서와 전후방의 각 제대별 야전 부대에서 언론 홍보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참모로 33년 복무하고 육군 대령으로 전역하였다. 2010년도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 당시 국방부 대변인실 공보과장 겸 부대변인으로 군과 언론의 갈등 현장에서의 경험을 계기로 군과 언론 최초로‘국가안보 위기 시 군 취재보도 기준’을 제정하였다.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언론집중교육 프로그램 기획 설계(2013-2014년), 태극연습·UFG 연습 등 주요 훈련 연습시 모의전황 브리핑 연습 체계를 한국군에 처음도입 시행하였다(2001년). 군 전역 후 미디어메이커스협동조합 대표, Y미디어 대표, 육사동창회 부설 북극성안보연구소 미디어전략센터장, 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원, 재향군인회 홍보실장 겸 대변인, 뉴스투데이 안보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주경(지은이)

前 육군 군수사령관육군사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군사전략과 석사 학위 후 현재 KIDA전력투자분석센터 자문위원과 국방자원연구센터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있다. 미국 안보지원센터 FMS 과정,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 국제안보 고위정책(SMG) 과정 그리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경력으로 초대 백신 수송지원본부장, 육군 참모차장, 육군 군수사령관, 국방부 군수관리관, 제11기계화보병 사단장, 육군 군수사령부 계획운영처장, 합참 군수부장, 제7기동군단 참모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관리과장, 제26기계화보병사단 참모장과 여단장, 2군단 군수참모, 제30기계화보병사단 군수참모와 대대장, 육군본부 시험평가단 보병화기시험장교, 육군대학 교무처 교육통제장교 / 군수교관 등을 역임하였다. 주로 기계화부대와 군수분야에 근무하였으며, 야전과 국방부, 합참, 육군본부, 군수사령부 등 군수분야 모든 정책부서를 경험한 군수전문가로 평가되고 있다.

박종일(지은이)

(주)하렉스인포텍 CTA박종일 박사는 (주)하렉스인포텍 CTA로 플랫폼기업의 사이버보안과 글로벌 진출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뉴욕주립대(SUNY at Buffalo)에서 전자공학 석사학위, 조지아공대(Georgia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 교수, 정보사령부 지휘관/참모, 사이버사령부 지휘관/참모및 연구소장을 역임하면서 사이버안보 정책, 연구개발, 작전 등 다양한실무 경험을 쌓고 2018년 육군준장으로 전역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이버안보, 정보이론, 통신공학 및 인공지능 등이며 전역 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로서 사이버보안컨설팅과 국가과제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장태동(지은이)

국방대학교 예비전력연구센터장육사 44기로 임관하여 현역 때는 국방부 개혁실 예비전력 개혁담당과 육군본부 동원과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특히 국방개혁의 핵심인 동원전력사령부 창설과 국가 예비전력연구소 설립 기획 책임자로서 성과를 달성하였고, 전역 후에는 국방대학교 예비전력연구센터장으로서 예비전력 분야 정책과제 개발과 미래 예비전력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분야 연구에 매진하고 있음. 향후 현재의 예비전력연구센터를 국가급 예비전력연구소로 확대 개편하고, 국방대에 예비전력분야 석·박사 과정 신설 등 연구와 교육의 핵심 메카로 거듭날 수 있는 역량을 쌓아가고 있는 중이다.

이흥석(지은이)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겸임교수이흥석 교수는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겸임교수 겸 글로벌국방연구포럼(GDRF)의 사무총장, 육사 총동창회 산하 북극성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으로 활동 중이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전북대학교에서 석사학위, 국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북한체제, 한·미동맹, 미·중관계, 국방정책 및 군사전략, 국가정보 등이다.연합사 정보생산처장, 연합사 작전효과평가처장, 국방정보본부 계획운영실장, 합참 전비검열실 검열관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맞춤형 억제 신뢰성 제고”, “중국의 강군몽 추진동향과 전략”,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비핵화 동인에 관한 연구”,“북한 군사전략과 군사력건설에 관한 연구” 등이며, 주요 언론기고는 “김일성-김정일-김정은, 그들은 왜 미사일에 집착할까”, “우크라이나전에서 본 억제와 동맹” 등으로 심도 깊은 연구와 활발한 학술 활동으로 실사구시의 전략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권태환(지은이)

한국국방외교협회 회장, 예비역 육군준장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서강대 정책대학원에서 북한 및 통일정책 석사, 일본 다쿠쇼쿠대학에서 안전보장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방부 정책실에서 대외정책 총괄을 담상했고, 일본 자위대에서 지휘참모대와 국방대학원과정을 연수하고, 오카자키 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 주일본 한국대사관에서국방무관과 육군무관 등을 역임했다. 전역 후 세종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국방대학교 초빙교수 등을 통해 국내외 외교안보 경험을 토대로 2018년 한국국방외교협회를 설립하였다. 현재 한국군사학회 부회장, 한일군사문화학회 부회장, 북극성연구소부소장, 합참 및 육군 정책자문위원으로 국방외교 발전과 후진양성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새로운 안보환경과 한국의 생존전략’, ‘통일한국의 비전과 군의 역할’, ‘한일 새로운 미래, 어떻게만들것인가?’와 번역서로 ‘근대일본의 군대’ 이외 ‘일본의 군사전략’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주간국게안보군사정세’를 2019년 이후 발행하고 있으며, 국제안보정세와 일본의 안보군사, 한일 및 한미일 안보협력 등 국방외교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조현규(지은이)

한국국방외교협회 중국센터장, 중국 復旦大 객좌교수, 국제정치학박사.육군사관학교 41기로 졸업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어를 전공하였고,中國人民大學 國際關係學院 국제정치학 석사 및 박사(수료) 과정을 수학했으며,단국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방정보본부에서 중국분석총괄장교, 아시아과장, 중동아과장을 역임했다. 주중한국대사관 무관, 주대만한국대표부 연락관으로 근무함으로써 양안(兩岸)에서 모두 무관생활을 한 기록을 세웠다. 전역 후에는 국방일보 ‘최근 세계 군사동향’ 칼럼의 중국분야 고정 집필진으로 활약했고, 현재 한국국방외교협회 중국센터장, 신한대학교 특임교수 겸 평생교육원 부원장, 중국 복단대(復旦大) 객좌교수, 대륙전략연구소 이사, 한중안보평화포럼 자문위원, 국군군사안보지원사령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중국 문제(군사·정치·대외관계), 한중관계, 북중관계, 미중전략경쟁, 동아시아 및 아태지역 안보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육군본부·국방대학교·합참대학·군사안보지원사령부·정보사령부·국방어학원·육군정보학교, 그리고 사단급 이상 사령부 등에서도 국제 정세 및 중국 정치ㆍ군사 분야 강연을하고 있다.

박철균(지은이)

전 국방정책실 국제정책차장 전 국방부 정책실 국제차장은 1986년 육군사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미국 원싱턴 D.C.에 있는 조지타운 대학에서 국가안전 보장학(National Securities Studies) 석사학위를 수료했고 2017년에는 대한민국 경남대학에서 북한핵 문제 해결 을 위한 6자회담 참여국 국의 협의 방식을 연구 주제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수료했다. 국바어 정책실 재직 시에는 한미일 안보협력, 미사일 사거리 연장 협상, 한미 방위비 협상, 전작권 전환 협의, 억제전략 위원회 등 한미간의 긴요한 안보 현안들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장 재직 시에는 북한의 다양한 핵 위협에 대한 위협감소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와 과학적 정책 대안을 개발했다.

박재완(지은이)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안보전략 교수 서울대학교 응용화학석사,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 중의 역할과 한국의 군사적 대응전략 연구」로 정치학 박사 취득 후 화생방방재연구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안보전략 교수, 북극성안보연구소 핵 안보연구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다시 뛰자! 대한민국」(공저, 유원 북서, 2021), 「핵전하 작전」, 「핵 및 화생방 작전」, 「대량살상무기 제거작전」 등 핵・ WMD 관련 교범 58권을 집필하였고, 「북한의 전술핵무기 개발과 함의」(2021), 「북 한의 WMD 폐기를 위한 CTR 적용방안」 등 SCI 논문 2편을 포함 80여 편의 논문을 집필하였다. 그리고 「비전통 위협 국방 대응체제 발전연구」(2020, 국방부) 등 20여 건의 정책연구와 「북핵 문제에 대한 대관세찰, 그리고 통찰」 등 다수의 칼럼과 「북핵 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대량살상무기 이해」 등 200회 이상의 강연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2023년 2월 8일 제 56차 중앙통합방위회의에서 핵・WMD 전문 패널로 참가하여 핵・WMD 위협에 대한 국민보호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장광호(지은이)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전 주미국제계약지원단장 미 공군대학원 우주공학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방신 속획득기술연구원에서 재직 중이다. 방위사업청 개청준비단으로 획득 전문조직인 방위사업청 개청에 기여한 후 국제협력총괄, 방산수출 정책 담당, 초대 주이집트 아 중동 방산협력관, 주미 국제계약지원단장 겸 군수무관단장을 역임하는 등 주로 국 제방산협력 분야에서 근무하였으며, 또한 다련장사업파트리더로 개발 총책임자로 천무 체계개발완료, 상륙함사업팀장 시 상륙함, 군수지원함, 소해함, 수상함 구조 함, 잠수함 구조함 등 각종 해군 함정 사업을 이끌었고, 지상C4ISR사업팀장으로 ATCIS 전력화, 국지방공레이다 개발완료, 대대급 B2CS 전력화 등 다수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받은 바 있다.

유형곤(지은이)

(사)한국국방기술학회 정책연구센터장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공학 학·석사 학위를 받고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박사수료 를 하였다. (사)안보경영연구원 방위산업연구실장을 역임하고 현재 (사)한국국방기 술학회 정책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방위산업, 민군기술협력, 국방연구개발 및 절 충교역 등과 관련된 정책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고, 그 동안 국방부/방위사업청, 과기정통부/산업부,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진흥연구소,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등 이 발주한 연구용역을 100건 이상 수행하였다. 현재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KODITS 방산수출 산업협력협의회 위원, 한·미국방상호조달협정 범정부 T/F 위 원, 제1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중장기 투자전략 수립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요약 및 정책 제언 1

제1부 우크라이나 전쟁 대응 관련 주요국의 대응과 향후 전망 47

01. 우크라이나 전쟁 판세와 전망 49김규철 박사(전 주러육군무관)
02.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미국의 대응과 향후 전망 70박철균 박사(국방부 국제정책차장)
03.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유럽・NATO 대응과 전망 87송승종 교수(대전대학교, 전 유엔 참사관)
04.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일본의 대응과 향후 전망 105권태환 KDDA 회장(전 주일 국방무관)
05.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중국의 대응과 중러 협력 전망 120조현규 교수(신한대학교, 전 주중육군무관)
06.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북러 관계와 북한 핵전략의 진화 143이흥석 교수(국민대학교)

제2부 우크라이나 전쟁 양상과 한국의 국방혁신 161

07.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쟁, 전략적 함의 및 정책 제언 163안재봉 부원장(연세대학교 ASTI)
08 우크라이나 전쟁이 주는 위기관리체제 시사점과 우리의 대응 191김진형 박사(전 합참전략기획부장)
09. 우크라이나의 선전과 러시아의 고전이 남긴 교훈 198양 욱 박사(산정책연구원)
10. 우크라이나 전쟁 교훈에 기초한 한국군 전력건설 발전방향 215방종관 장군(전 육본기획관리참모부장)
11. 우크라이나 전쟁 시사점과 한국의 핵방호체계 226박재완 박사(국민대학교 교수)
12.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보는 미래 사이버전 대응방안 246박종일 장군(전 사이버사령부 연구소장)
13.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전이 미래전에 주는 함의 263송승종 교수(대전대학교, 전 유엔 참사관)
14. 우크라이나 전쟁의 다중적 성격과 군사안보 쟁점 292김광진 장군(전 공대총장)
15.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보는 하이브리드-정보전 발전방향 309송운수 장군(전 777사령관)
16. 우크라이나 전쟁 군수지원과 군수 발전방향 323박주경 장군(전 군수사령관)
17.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예비전력 평가와 우리의 대응 354장태동 박사(국방대예비전력 센터장)
18.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본 전쟁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370윤원식 박사(전 국방부 부대변인)

제3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방산 시장 변화와 한국의 방위산업 385

19.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방산시장의 변화와 전망 387장원준 박사(산업연구원)
20.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 방산전략 평가와 전망 403장광호 박사(전 주미군수무관)
21.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 방산 평가와 발전방향 417유형곤 센터장(국방기술학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