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973 | |
005 | 20230324170135 | |
007 | ta | |
008 | 230324s2022 ulkadk b 001c kor | |
020 | ▼a 9788933708149 ▼g 935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18.190757 ▼2 23 |
085 | ▼a 618.190757 ▼2 DDCK | |
090 | ▼a 618.190757 ▼b 2022 | |
110 | ▼a 대한유방영상의학회 | |
245 | 1 0 | ▼a 유방영상진단학 = ▼x Breast diagnostic imaging / ▼d 대한유방영상의학회 편 |
250 | ▼a 제3판 | |
260 | ▼a 서울 : ▼b 일조각, ▼c 2022 | |
300 | ▼a 446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양식 ; ▼c 31 cm | |
500 | ▼a 부록: 1. 우리나라의 유방촬영술 정도관리, 2. 품질관리원의 유방화질 관리 내용의 실례 | |
500 | ▼a 한글 찾아보기: p. 437-441 | |
500 | ▼a 영문 찾아보기: p. 442-446 | |
504 | ▼a 참고문헌과 한글, 영문 찾아보기 수록 | |
650 | 8 | ▼a 영상 진단[映像診斷] |
650 | 8 | ▼a 유방(젖)[乳房]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안산영상의학 618.190757 2022 | 등록번호 931003990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3판은 기존 9개 장을 14개 장으로 세분하여 구성해 유방영상진단학의 세부 분야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조정하고 각 분야의 내용을 더욱 세밀히 기술하였다. 일부 사진들을 교체하거나 추가하고 2013년 개정된 BI-RADS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추가 검진 등 유방암 검진의 최신 동향, 유방단층촬영술, 조영증강 디지털 유방촬영술, 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핵의학 영상, 인공지능 등 다양한 영상기법에 관한 최신 지견을 추가하였다.
2006년 처음 발간된 이래 유방 질환의 영상진단 분야에서 명실상부한 교과서로서 영상의학과 전공의, 전문의뿐만 아니라 의대생, 타과 전공의 및 임상의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 온 『유방영상진단학』의 제3판.
제3판은 기존 9개 장을 14개 장으로 세분하여 구성해 유방영상진단학의 세부 분야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조정하고 각 분야의 내용을 더욱 세밀히 기술하였다. 일부 사진들을 교체하거나 추가하고 2013년 개정된 BI-RADS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추가 검진 등 유방암 검진의 최신 동향, 유방단층촬영술, 조영증강 디지털 유방촬영술, 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핵의학 영상, 인공지능 등 다양한 영상기법에 관한 최신 지견을 추가하였고, 유방암의 치료 후 영상 중 선행보조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후의 영상과 유방 보형물에 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대한유방영상의학회(엮은이)
간행위원장 차주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간행위 간사 최지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간행위원 김진유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송성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암병원 영상의학과 윤정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이수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정 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대목동병원 영상의학과 채은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최나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건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집필진 강두경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아주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강봉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고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국신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영상의학과 김금원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김미혜 위드심의원 김민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김선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김수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김승자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원 영상의학과 김은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김학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문우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박영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영상의학과 박영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박정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한양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서보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영상의학과 손은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신정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신희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오기근前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아주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육지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윤가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윤정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이수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이 안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이원철前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재희 휴먼영상의학센터 유방클리닉 이지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영상의학과 임효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장정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정수영前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영상의학과 조규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암병원 영상의학과 조나리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조영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핵의학과 차은숙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대목동병원 영상의학과 차주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최선형 퀸스유의원 최혜영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가천길의료원 영상의학과 하수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한부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목차
제3판 머리말
제2판 머리말
초 판 머리말
제1장 정상 유방
Ⅰ. 유방의 해부학
1. 발생 및 분화┃2. 기본 해부학┃3. 유방의 생리적 변화 및 영상검사와의 관계┃4. 비정상적인 발달
Ⅱ. 유방촬영술 해부학
Ⅲ. 유방초음파 해부학
1. 피부 및 피하지방층┃2. 유선조직층┃3. 유선후지방층 및 그 외의 구조물들
제2장 유방촬영술
Ⅰ. 유방촬영술의 기본
1. 장치와 물리┃2. 표준촬영과 보조촬영┃3. 임상영상평가┃4. 화질관리┃5. 방사선 보호
Ⅱ. 디지털 유방촬영술
1. 필름-스크린 유방촬영술과 디지털 유방촬영술의 특성 비교┃2. 디지털 유방촬영술의 구성 및 기본원리┃3. 디지털 유방촬영술의 발전
Ⅲ. 유방촬영술의 판독
1. 판독의 일반적 측면┃2. BI-RADS 유방촬영술┃3. 유방촬영술의 컴퓨터 보조진단┃4. 의학적 감사
제3장 유방초음파
Ⅰ. 유방초음파의 기본
1. 장치 및 기법┃2. 적응증┃3. 기타 초음파 기법
Ⅱ. 유방초음파의 판독: BI-RADS 유방초음파
1. 용어┃2. 판독 체계
제4장 자기공명영상
Ⅰ. 자기공명영상의 기본
1. 장치 및 기법┃2. 적응증┃3. 제한점과 전망
Ⅱ. 자기공명영상의 판독
1. BI-RADS 자기공명영상┃2. 유방자기공명영상의 컴퓨터 보조진단┃3. 확산강조영상
제5장 기타 유방영상
Ⅰ. 컴퓨터단층촬영술
1. 컴퓨터단층촬영술의 방사선 선량┃2. 다중절편 컴퓨터단층촬영술의 검사방법┃3. 컴퓨터단층촬영술의 적용┃4. 컴퓨터단층촬영술의 장점 및 단점
Ⅱ. 핵의학 검사
1. 유방신티그래피┃2. 림프신티그래피┃3. FDG 양전자방출단층촬영┃4. FDG 이외의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제6장 유방영상에서의 인공지능
Ⅰ. 의료 영상에서의 인공지능의 개요
Ⅱ. 인공지능을 이용한 유방촬영술의 판독
1.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상 소견의 발견 및 진단┃2.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술에서의 인공지능┃3. 유방촬영술에서 AI-CAD의 다양한 활용
Ⅲ. 유방초음파에서의 인공지능
Ⅳ.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의 인공지능
Ⅴ. 유방영상 인공지능의 향후 과제
제7장 유방암의 역학 및 검진
Ⅰ. 우리나라 유방암의 역학
1. 서론┃2. 발생률┃3. 사망률 및 생존율┃4. 위험요인
Ⅱ. 선별 유방촬영술을 이용한 유방암 검진
1. 서론┃2. 외국의 유방암 검진┃3. 한국의 유방암 검진┃4. 선별 유방촬영술을 이용한 검진에 관한 쟁점
Ⅲ. 추가적인 유방암 검진
1. 유방암의 위험도 및 유방밀도에 따른 검진┃2. 유방초음파┃3.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술┃4. 유방자기공명영상
제8장 유방의 질환
Ⅰ. 흔한 양성 질환
1. 염증성 질환┃2. 섬유선종┃3. 섬유낭종성 변화┃4. 지방괴사┃5. 기타 외상성 유방질환┃6. 유낭종┃7. 과오종┃8. 유관확장증┃9. 기타 양성 질환
Ⅱ. 경계성 병변
1. 방사상 반흔┃2. 유두상 병변┃3. 엽상종양┃4. 원주세포 병변┃5. 점액류 유사 병변┃6. 경화성 선증
Ⅲ. 고위험 질환
1. 비정형 관상피증식증┃2. 비정형 소엽증식증과 소엽상피내암
제9장 유방의 악성 질환
Ⅰ. 비침윤성 암: 관상피내암
1. 병리학적 분류┃2. 유방촬영술┃3. 유방초음파┃4. 자기공명영상
Ⅱ. 침윤성 암
1. 유방암의 병기 판정┃2. 침윤성 유방암의 임상 소견┃3. 침윤성 유방암의 영상 소견┃4. 침윤성 유방암의 조직학적 분류┃5. 특별하게 발현하는 유방암┃6. 간격암┃7. 남성 유방암┃8. 유방암의 면역조직화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
Ⅲ. 기타 악성 질환
1. 조혈 또는 림프 증식으로 인한 유방의 악성 질환┃2. 유방 보형물 연관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3. 전이성 암종┃4. 기타
제10장 유방의 중재적 시술
Ⅰ. 유선조영술
1. 유선조영술의 적응증┃2. 유선조영술의 시술 준비 및 방법┃3. 유선조영술의 결과 해석과 추적┃4. 유선조영술의 합병증
Ⅱ. 침위치결정술
1. 유방촬영술 침위치결정술┃2. 초음파 침위치결정술┃3. 기타 위치결정술┃4. 표본촬영술
Ⅲ. 세침흡인술
1. 세침흡인술의 적응증┃2. 세침흡인술의 시술 준비 및 방법┃3. 세침흡인술의 결과 해석과 추적┃4. 세침흡인술의 합병증
Ⅳ. 초음파 유도하 생검술
1. 초음파 유도하 코어침생검┃2. 초음파 유도하 진공보조흡인생검
Ⅴ. 입체정위생검술
1. 입체정위생검술의 원리와 장비┃2. 입체정위생검술의 적응증┃3. 입체정위생검술의 시술 준비 및 방법┃4. 입체정위생검술에서 문제가 되는 증례┃5. 입체정위생검술의 합병증
Ⅵ.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
1.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의 적응증┃2.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의 시술 준비 및 방법┃3.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의 결과 해석과 추적┃4.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의 합병증 및 제한점
제11장 액와부 및 흉벽 질환
Ⅰ. 림프절과 관련된 질환
1. 정상 림프절의 해부┃2. 반응성 림프절 종대┃3. 결핵성 림프절염┃4. 기쿠치병┃5. 피부병 림프절염┃6. 림프종┃7. 전이성 림프절 종대
Ⅱ. 액와부 부유방에서 기원한 질환
1. 부유방┃2. 섬유선종┃3. 부유방 유방암
Ⅲ. 연부조직과 피부에서 기원한 질환
1. 신경집종┃2. 혈관종┃3. 지방종┃4. 표피봉입낭종
제12장 증상에 따른 유방 질환의 영상의학적 접근
Ⅰ. 유방통
1. 유방통의 임상적 평가┃2. 유방통의 영상의학적 접근┃3. 유방통의 치료
Ⅱ. 만져지는 종괴
1. 만져지는 종괴의 임상적 평가┃2. 만져지는 종괴의 영상의학적 접근
Ⅲ. 유방통, 홍반, 발열: 유선염으로 의심되는 증상
1. 유방통, 홍반, 발열의 임상적 평가┃2. 유방통, 홍반, 발열의 영상의학적 접근 및 치료
Ⅳ. 유두분비
1. 유두분비의 임상적 평가┃2. 유두분비의 원인┃3. 유두분비의 영상의학적 접근 및 치료
Ⅴ. 임신, 수유기 유방
1. 임신, 수유기 유방의 임상적 평가┃2. 임신, 수유기 유방의 질환┃3. 임신, 수유기 유방의 영상의학적 접근
Ⅵ. 유두함몰
제13장 유방암 치료 후의 영상
Ⅰ. 유방암의 치료 및 치료 후 영상 가이드라인
Ⅱ. 유방암의 수술
1. 유방의 수술┃2. 액와의 수술┃3. 유방재건술┃4. 유방암 수술 후 영상
Ⅲ. 유방암의 방사선치료
1. 유방의 방사선치료┃2. 유방암 방사선치료 후 영상
Ⅳ. 유방암의 화학요법
1.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2. 선행보조화학요법┃3. 선행보조화학요법 후 영상
제14장 유방성형과 관련된 영상
Ⅰ. 유방 삽입물의 유형
Ⅱ. 유방 삽입물의 합병증
Ⅲ. 유방 삽입물의 영상검사
1. 유방촬영술┃2. 유방초음파┃3. 유방자기공명영상
Ⅳ. 유방실질 내 직접주입성형술의 영상검사
Ⅴ. 유방축소술
부록
부록 1. 우리나라의 유방촬영술 정도관리
부록 2. 품질관리원의 유방화질 관리 내용과 실례
한글 찾아보기
영문 찾아보기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