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669 | |
005 | 20230322173033 | |
007 | ta | |
008 | 230321s2023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6646471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6683883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004.071 ▼2 23 |
085 | ▼a 004.071 ▼2 DDCK | |
090 | ▼a 004.071 ▼b 2023 | |
100 | 1 | ▼a 최현종, ▼g 崔峴種, ▼d 1970- ▼0 AUTH(211009)135781 |
245 | 1 0 | ▼a 정보교과교육론 = ▼x Informatics education : ▼b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정보 교육 / ▼d 최현종, ▼e 전용주 지음 |
250 | ▼a 3판 | |
260 | ▼a 서울 : ▼b 한빛아카데미, ▼c 2023 | |
300 | ▼a 488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1. 2015 정보과 교육과정, 2. 2022 정보과 교육과정 | |
500 | ▼a 2022 개정 교육과정 반영 | |
504 | ▼a 참고문헌: p. 483-488 | |
700 | 1 | ▼a 전용주,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071 2023 | Accession No. 1118783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과교육론의 핵심이 되는 학습 목표, 학습 내용, 교재,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포함하여 컴퓨팅 사고력 교육과 최신 교육과정, 교과교육의 다양한 이론까지 빠짐 없이 다루는 책입니다. 특히, 3판에서는 인공지능 교육 내용과 UMC 프레임워크 등의 교수 방법론을 추가하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였습니다.
컴퓨팅 사고력을 갖춘 디지털 인재 양성 지침서
초·중·고등학교에서 정보 교과를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정보·컴퓨터 전공자가 제대로 된 교과교육론을 배워야 합니다. 그 첫걸음은 바로 이 책에 담겨 있는 '정보교과교육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교과교육론의 핵심이 되는 학습 목표, 학습 내용, 교재,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비롯해 컴퓨팅 사고력 교육과 최신 교육과정, 교과교육의 다양한 이론들까지 빠짐 없이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정보·컴퓨터 전공자는 교과교육이 무엇인지를 알고, 체계적인 정보교과교육을 통해 미래의 정보·컴퓨터 교사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3판에서 달라진 점
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였습니다.
② 인공지능 교육 내용과 UMC 프레임워크 등의 교수 방법론을 추가하였습니다.
③ '2015 정보과 교육과정'과 '2022 정보과 교육과정'을 온라인 부록으로 제공합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최현종(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으로 국내 컴퓨터 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엔트리, 피지컬 컴퓨팅을 만나다』(한빛미디어, 2018), 『진짜! 코딩 교과서 시리즈』(동아출판, 2018),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형설출판사, 2014), 『Computational Thinking &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이한출판사, 2014), 『중학교 정보 교과서』(두산동아, 2013), 『예비교사를 위한 컴퓨터 입문』(그린출판사, 2008) 등이 있습니다.
전용주(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 한국비버챌린지 총무간사 등으로 국내외 컴퓨터 교육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비버챌린지 II, 비버챌린지로 배우는 정보과학-초·중·고등학교』(생능출판사, 2019), 『2015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원교재사, 2018) 등이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Chapter 01 정보 교과교육의 이해 01 교과와 교과교육 02 교과교육학의 요소 03 컴퓨터 교육의 정의 04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05 교육 정보화의 역사 연습문제 Chapter 02 정보 교육의 교육과정 01 교육과정의 이해 02 정보 교육과정의 모형 03 정보 교육과정의 현황 04 외국의 정보 교육과정 연습문제 Chapter 03 정보 교육의 목표 01 교육 목표의 이해 02 교육 목표의 분류법 03 교육 목표의 진술 방법 04 정보 교과의 목표 연습문제 Chapter 04 정보 교육의 학습 내용 01 학습 내용의 선정과 조직 02 정보 교과의 학습 내용 03 컴퓨팅 사고 교육의 이해 0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해 05 인공지능 교육의 이해 06 정보 윤리의 이해 연습문제 Chapter 05 정보 교육의 교재 01 교재의 이해 02 교과서의 이해 03 멀티미디어 자료와 디지털 교과서 04 교재의 개발과 활용 연습문제 Chapter 06 정보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01 교수·학습의 이해 02 학습이론 03 교수체제개발 모형 04 교수설계이론 05 교수·학습 방법 06 교수·학습 과정안 07 설명, 발문, 피드백 08 PCK와 TPACK의 이해 연습문제 Chapter 07 정보 교육의 평가 01 교육 평가의 이해 02 평가 도구의 개발 03 정보 교과의 평가 연습문제 참고문헌 온라인 부록 1. 2015 정보과 교육과정 온라인 부록 2. 2022 정보과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