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665 | |
005 | 20230323130618 | |
007 | ta | |
008 | 230321s2023 ulka b AA 001a kor | |
020 | ▼a 9788971077740 ▼g 0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 ▼2 23 |
085 | ▼a 953 ▼2 DDCK | |
090 | ▼a 953 ▼b 2023 | |
245 | 0 0 | ▼a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 / ▼d 홍성화 [외]공저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건국대학교출판부, ▼c 2023 | |
300 | ▼a 414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이도남, 권만용, 송영대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홍성화, ▼e 저 |
700 | 1 | ▼a 이도남, ▼e 저 |
700 | 1 | ▼a 권만용, ▼e 저 |
700 | 1 | ▼a 손영대,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23 | 등록번호 11187839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관련 주제와 사건에 대한 다양한 사료를 수록한 교재다. 역사라는 것이 단순히 다른 사람들이 해석해놓은 것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명제 위에서, 독자 본인 스스로 사료를 보고 이를 통해 파악되는 내용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lt;탐구과제>라는 코너를 통해 관련 사료를 실었다.
그동안의 역사서가 단순히 역사적 사실과 역사가들의 해석 위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는 <탐구과제>라는 코너를 통해 관련 주제와 사건에 대한 다양한 사료를 수록해놓아 기존 역사서와는 다른 구성으로 선보였다.
역사라는 것이 단순히 다른 사람들이 해석해놓은 것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명제 위에서, 독자 본인 스스로 사료를 보고 이를 통해 파악되는 내용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관련 사료를 수록해놓았던 것이다.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다른 사람이 역사책에 서술한 내용만을 역사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역사의 근간이 되는 사료를 통해 독자 스스로 엄정한 사료 비판을 실행해야만이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새로운 시도로서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가 일각에서 호평을 받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최근 근현대사 부문이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현대의 역사에 대한 주제와 관련 사료 등을 추가적으로 보강, 보완할 필요성이 생겼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논점에 다가가기 위해 개정판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를 출간하게 되었다.
그동안 개정판 『사료로 읽는 우리 역사』에 수록할 <탐구과제>의 주제를 선정하고 핵심이 되는 관련 사료를 하나하나 선별하여 이 책을 발간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개정판을 펴내면서|4 1장 역사란 무엇인가·11 1. 역사의 의미ㆍ12 2. 역사를 왜 배워야 하는가ㆍ13 3. 사료란 무엇인가ㆍ15 2장 선사시대와 국가의 성립·19 1. 선사시대ㆍ20 탐구과제 선사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가?ㆍ26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립ㆍ27 탐구과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어떠한 나라였는가?ㆍ31 3장 고대사회·35 1. 고대사회의 성립ㆍ36 탐구과제 백제 온조는 고구려 주몽의 아들인가?ㆍ38 2. 고대사회의 발전ㆍ45 탐구과제 4~5세기 고구려와 백제, 누가 한반도의 주도권을 장악했는가?ㆍ49 3. 6세기의 고대사회ㆍ52 탐구과제 신라는 어떻게 한강 유역을 장악했는가?ㆍ54 4. 삼국의 대외관계와 통일ㆍ57 탐구과제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으로 삼국은 통일되었는가?ㆍ59 5. 남북국시대ㆍ67 탐구과제 신문왕은 왜 녹읍을 폐지하였는가?ㆍ70 탐구과제 장보고는 어떻게 동아시아의 무역을 주도했는가?ㆍ77 탐구과제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인가ㆍ80 6. 주변국가의 고대사 왜곡ㆍ86 탐구과제 임나일본부설은 사실인가?ㆍ91 4장 고려시대·95 1. 중세사회로의 전환ㆍ96 탐구과제 왕건의 라이벌은 궁예인가, 견훤인가?ㆍ102 2. 고려의 대외 관계와 문벌 귀족사회의 동요ㆍ110 탐구과제 고려의 국제적 위상은 어떠했는가?ㆍ112 탐구과제 묘청의 난인가, 서경천도운동인가?ㆍ116 탐구과제 무신들은 왜 정변을 일으켰는가?ㆍ121 3. 대몽 항쟁ㆍ127 탐구과제 대몽항쟁의 주역은 누구였는가?ㆍ130 4. 고려후기의 변동ㆍ137 5장 조선전기·143 1. 15~16세기의 세계ㆍ144 2. 조선의 개창ㆍ145 탐구과제 조선 건국은 역성혁명인가?ㆍ148 탐구과제 조선은 왜 종묘와 사직을 소중히 여겼는가?ㆍ157 3. 통치체제의 정비ㆍ161 탐구과제 조선 초기, 왕권주의 대 신권주의 무엇이 올바른 길이었나?ㆍ167 탐구과제 사림은 누구이고, 사화는 왜 일어났는가?ㆍ175 4. 조선전기의 문화ㆍ182 탐구과제 기록의 나라 조선, 역사 편찬 작업은 무엇을 추구하였는가?ㆍ183 탐구과제 조선시대 세종은 왜 장영실을 통해 자격루를 만들었는가?ㆍ186 5. 조선전기의 대외관계와 임진전쟁ㆍ190 탐구과제 임진전쟁 극복의 주역은 누구였는가?ㆍ196 6장 조선후기·207 1. 임진전쟁 이후의 정국변화와 청의 침략ㆍ208 탐구과제 인조반정(仁祖反正), 진정 반정(反正)인가?ㆍ210 탐구과제 병자호란 당시 주전파와 주화파, 무엇이 올바른 길이었는가?ㆍ217 2. 붕당정치의 격화와 탕평책ㆍ221 탐구과제 붕당정치(朋黨政治)인가? 당쟁(黨爭)인가?ㆍ225 탐구과제 영조ㆍ정조는 성군이었는가?ㆍ235 3. 경제구조의 변화와 사회변동ㆍ241 탐구과제 홍경래의 난과 임술농민봉기는 왜 일어나게 되었는가?ㆍ249 4. 실학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ㆍ253 탐구과제 실학자들이 추구한 목표는 진정 실현되었는가?ㆍ258 7장 근대사회·265 1. 쇄국 정책과 개화 운동ㆍ266 탐구과제 흥선대원군의 왕권강화 정책은 성공하였는가?ㆍ267 탐구과제 개화파 대 위정척사파 무엇이 올바른 길이었나?ㆍ273 2. 근대 변혁운동의 전개ㆍ285 탐구과제 동학농민운동의 의의와 한계는 무엇인가?ㆍ286 탐구과제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성공했는가?ㆍ297 3. 독립협회운동과 대한제국 수립ㆍ302 탐구과제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은 성공하였는가?ㆍ306 4.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ㆍ310 5. 국권피탈과 항일의병ㆍ314 탐구과제 대한제국이 맺은 조약은 합법적이었는가?ㆍ316 탐구과제 항일의병운동은 실패했는가?ㆍ321 6. 일제의 식민통치ㆍ325 탐구과제 일제의 무단통치는 성공했는가?ㆍ327 탐구과제 일제의 문화통치란 무엇인가?ㆍ331 탐구과제 일제가 왜 민족말살정책을 실시했는가?ㆍ339 7.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ㆍ342 탐구과제 대한민국 임시정부 어떻게 볼 것인가?ㆍ346 탐구과제 의열단과 무장투쟁론이 한국독립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ㆍ356 8장 현대사회·369 1. 현대사회의 성립ㆍ370 2. 4ㆍ19혁명ㆍ372 3. 5ㆍ16쿠데타와 유신체제ㆍ374 탐구과제 산업화의 명과 암ㆍ377 4. 민주화 운동ㆍ383 탐구과제 한국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ㆍ386 5. 민주주의의 진전과 통일을 위한 노력ㆍ396 탐구과제 통일을 위한 노력ㆍ397 ㆍ찾아보기ㆍ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