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사대부가 여성의 삶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사대부가 여성의 삶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성철
서명 / 저자사항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사대부가 여성의 삶 / 신성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1  
형태사항
232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한국학총서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삶 ;4
ISBN
9791167422651 9791167422620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25-23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4622
005 20230321155601
007 ta
008 230321s2021 ulkad 000c kor
020 ▼a 9791167422651 ▼g 94910
020 1 ▼a 9791167422620 (세트)
035 ▼a (KERIS)BIB00001608306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02082 ▼2 23
085 ▼a 953.05082 ▼2 DDCK
090 ▼a 953.05082 ▼b 2021
100 1 ▼a 신성철
245 1 0 ▼a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사대부가 여성의 삶 / ▼d 신성철 지음
260 ▼a 서울 : ▼b 역락, ▼c 2021
300 ▼a 232 p. : ▼b 삽화, 도표 ; ▼c 24 cm
490 1 0 ▼a 한국학총서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삶 ; ▼v 4
504 ▼a 참고문헌: p. 225-232
830 0 ▼a 한국학총서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삶 ; ▼v 4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082 2021 등록번호 1513632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편지 중에서 어머니로서 작성한 비중이 가장 높다. 대략 전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주로 자식에 대한 자애와 근심, 걱정이 구절마다 배어 있는 내용이 확인된다. 가족의 다른 구성원, 즉 아내와 딸, 며느리로서 작성된 것들도 제법 나타나지만, 이들을 모두 합쳐도 어머니로서 보낸 건수에는 턱없이 미치지 못한다. 더불어 장모와 안사돈뿐만 아니라, 제수, 올케 등의 가족 구성원으로서도 한글 편지가 작성되기도 하며, 시어머니, 시할머니로서 보낸 편지도 발견된다. 단지, 많지 않은 건수를 보여 준다.

이 책은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여성이 작성한 한글 편지에 포함된 사대부가 여성의 삶과 내면세계를 단편적이지만 하나씩 들춰보고자 한다. 그 안에서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대부가 여성의 구체적인 삶이 그려지기를 기대한다.

조선시대 한글 편지는 왕실뿐만 아니라 사대부가, 서민 등에 이르기까지 널리 작성되었다. 또한 여성이 작성한 한글 편지가 수치 면에서 좀 더 많이 발견된 자료이기도 하다. 조선시대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의 저자들이 남자에 치우친 것과 달리, 여성이 자기의 이야기를 직접 썼다는 점에서 그들의 삶이 스며든 생생한 자료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한글 편지에는 여성의 생생한 삶과 일상생활의 모습이 표현된 1차적 자료로 평가된다.
한글 편지에 펼쳐진 발신자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일상적 사연을 통해 당시 삶의 모습에 대한 현장감과 생생함이 투사되고, 조선시대의 남성과 여성의 삶과 역할을 계층별로 대비, 분석하며, 언간 자료에 응축된 그 시대의 모습과 역사적 사실, 문화적 배경 등을 분석하여 한 편씩 글을 엮었다.
사대부가 여성들이 작성한 조선시대 한글 편지는 조선시대 여성의 일상생활을 잘 드러내었고, 일가족 생활의 주체인 주부로서의 소통 문화, 생활 문화 등을 두루 표출되어 생활사, 여성사 연구 등에서 양적, 질적으로 매우 좋은 자료이다.
이 책의 연구 대상인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편지는 총 630건이다. 『순천김씨묘 출토 언간』과 같이 무덤에서 대량으로 출토된 것, <이응태묘 출토 언간>처럼 한두 편이 출토된 것도 있는가 하면, 『의성김씨 학봉 김성일가 언간』처럼 가문에서 보관되었다가 수십에서 백 단위의 분량으로 학계에 알려진 것도 있다. 또한 <정철 자당 안씨 언간>이나 <정철 부인 유씨 언간>처럼 소수의 편수만 소개된 것 등 다양한 경로를 거쳐 학계에 소개된 자료를 포함한다.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편지 중에서 어머니로서 작성한 비중이 가장 높다. 대략 전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주로 자식에 대한 자애와 근심, 걱정이 구절마다 배어 있는 내용이 확인된다. 가족의 다른 구성원, 즉 아내와 딸, 며느리로서 작성된 것들도 제법 나타나지만, 이들을 모두 합쳐도 어머니로서 보낸 건수에는 턱없이 미치지 못한다. 더불어 장모와 안사돈뿐만 아니라, 제수, 올케 등의 가족 구성원으로서도 한글 편지가 작성되기도 하며, 시어머니, 시할머니로서 보낸 편지도 발견된다. 단지, 많지 않은 건수를 보여 준다.
이 책은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여성이 작성한 한글 편지에 포함된 사대부가 여성의 삶과 내면세계를 단편적이지만 하나씩 들춰보고자 한다. 그 안에서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대부가 여성의 구체적인 삶이 그려지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성철(지은이)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조교수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 &#65378;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수집·정리와 어휘·서체 사전의 편찬 연구&#65379;에 참여하면서 언간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공저(2016), 『조선시대 한글편지 어휘사전』 1~6, 역락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장모와 사위의 높임법 연구(2020), 조선 전기 한글 편지에 나타난 ‘ㄹ’ 두음법칙과 ‘ㄹ’ 비음화의 통시적 고찰(2020), 어두와 어중 ㄹ→ㄴ 현상의 통시적 고찰: ㄹ 비음화와 통계적 방법론(2019), &lt정조의 한글편지&gt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공저(2018),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음운론적 특징(2017),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싶-’ 구문의 사적 변화 일고찰(2016), 발신자의 사회적 성격에 따른 19세기 한글 편지의 표기와 음운(2014)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1장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편지
여성이 스스로 내는 목소리, 한글 편지에 대하여
1. 들어가기
2. 연구 동향
3. 논의 방향
4. 사대부가 여성 한글 편지의 현황

2장 어머니로서의 이야기
첩을 시새움한다 할까 하여 남에게도 아픈 사색을 않고 있다
1. 머리말
2. 기존 인식 및 연구
3. ‘첩/시앗’ 내용 분석
4. 마무리

3장 아내로서의 이야기
밴 자식 나거든 누구를 아빠라 하라고 할까요
1. 머리말
2. 논의 방법과 대상
3. 소소한 이야기와 높임 표현
4. 마무리: 남편과 이야기하다

4장 딸로서의 이야기
그리던 아버지와 딸이 만나기라도 한 듯이 반갑습니다/저는 어찌해서 종의 복이 없다 해도 이렇게 없는 것 처음 봅니다
1. 머리말
2. 논의 대상 및 방법
3. 한글 편지의 내용
4. 마무리: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전하는 이야기

5장 딸과 며느리로서의 이야기
요사이 심히 기별을 몰라서 밤낮 걱정하며 울 뿐이었는데
1. 머리말
2. 문제 제기
3. 조선시대 한글 편지와 문안 편지
4. 마무리
아무것도 정을 알릴 것이 없어서 좋지 않은 것 보냅니다 정이나 아십시오
1. 머리말
2. 조선시대 여성의 역할
3. 조선시대 한글 편지와 『계녀서』의 내용 비교
4. 마무리
6장 할머니로서의 이야기
밑에서는 과거들도 보고 하는데 이제 네 나이가 적으냐
1. 머리말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할머니가 보낸 한글 편지의 내용
4. 마무리

7장 제수, 아내, 고모로서의 이야기
장이 떨어져서 절박하니 콩 서너 말만 얻으려고 하는데
1. 서론
2. 김호연재의 문학 작품 등
3. 가문 내의 여성, 안동김씨
4. 한글 편지에 나타난 가문 내의 여성, 안동김씨
5. 마무리

8장 장모로서의 이야기
그대가 고맙게 하는 일은 내 이생에서 갚지 못할 것이네
1. 서론
2. 기존 연구 및 연구 대상
3. 상대 높임법
4. 어휘에 나타난 높임법
5. 마무리: 장모와 사위가 서로를 받들다

참고문헌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