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501 | |
005 | 20230321142907 | |
007 | ta | |
008 | 230320s2022 ick 000c kor | |
020 | ▼a 9791187342212 ▼g 03800 | |
035 | ▼a (KERIS)BIB000016579827 | |
040 | ▼a 245016 ▼c 245016 ▼d 211009 | |
082 | 0 4 | ▼a 323.3291 ▼2 23 |
085 | ▼a 323.3291 ▼2 DDCK | |
090 | ▼a 323.3291 ▼b 2022z1 | |
110 | ▼a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 |
245 | 1 0 | ▼a 나는 메리암 디비나그라시아 마뉴엘이다 / ▼d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엮음 |
260 | ▼a 인천 : ▼b 말, ▼c 2022 | |
300 | ▼a 274 p. ; ▼c 21 cm | |
500 | ▼a 기획: 박흥순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3.3291 2022z1 | 등록번호 1118782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에서 이주여성을 인터뷰해서 엮은 이 책에는 중국, 몽골, 일본,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벨라루스, 인도 등에서 온 34명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가족문화, 차별 경험, 인권교육, 선주민에게 바라는 점 등을 듣다 보면, 한국 사회가 인권신장을 위해 힘써야 할 과제가 보인다. 특히 이주여성의 눈에 낯설게 비친 우리 사회의 가부장제문화는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준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정현종 시인이 쓴 <방문객>이란 시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빛고을 광주에 사는 이주여성 34명이 들려준 살아가는 이야기와 인권 이야기를 읽으며 퍼뜩 떠오른 말이 ‘한 사람의 일생이 온다’라는 표현이었습니다.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한 사람씩 살아온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사람이 오는 무게가 정말로 굉장하다는 신선한 충격과 놀람이 거듭되었습니다. 책에 등장하는 상당수가 10년 전부터 알고 지냈던 사람들인데, 살아가는 이야기와 인권 이야기를 읽으며 그들을 더 깊이 알고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독자는 책을 읽어가며 비슷한 질문에 유사하게 답변하고 내용이 반복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겁니다. 프롤로그에서 밝힌 것처럼, 빛고을 광주에 사는 34명 이주여성에게 똑같은 질문을 던지고 얻은 답변을 정리했기 때문입니다.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여기에 34명 이주여성에 던진 질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첫째 부분은 ‘자기소개’로 시작해 성장 과정, 가족 이야기, 꿈과 기대, 광주로 이주하는 과정에 관해서 물었습니다.
둘째 부분은 한국, 특히 광주에서 ‘이주여성’으로서 사는 삶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물었습니다.
셋째 부분은 이주여성이 들려주는 인권 이야기에 관한 질문이었습니다.
마지막 부분은 앞으로 계획과 비전에 관해서 물었습니다. 10년 후 자기 모습을 상상하는 것, 지역사회를 위해서 함께 할 수 있는 일, 후배 이주민에게 꼭 해 주고 싶은 말, 질문 외에 하고 싶은 말, 그리고 책을 출간할 때 사용할 자기소개를 간략하게 답변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이주민으로서 살아온 이야기와 인권 이야기를 제대로 들으려고 구체적으로 질문했습니다. 하지만 한 사람이 살아온 일생을 심층 면접 한 번으로 다 담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그래도 이주민 목소리를 다문화 담론 전면에 가져오고 그 목소리를 이주민과 선주민 모두가 듣도록 시도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책을 출간하는 건 뜻깊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빛고을 광주에서 들려준 34명 이주여성 목소리를 시작으로 전국 곳곳에서 이주여성 목소리에 공명해 다문화 담론 전면에 등장하길 상상합니다. 그래서 살아온 이야기와 인권 이야기를 통해서 이주민과 선주민이, 이주민과 이주민이, 선주민과 선주민이 서로 비추어 배우는 시간과 공간이 확장하길 기대합니다. ‘100명의 이주민은 100가지 스토리를 가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34명의 이주여성은 34가지 스토리를 가진다’라고 바꾸어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34명 이주여성이 각각 다른 성장 배경과 이주 과정, 다른 처지와 환경, 다른 시각과 관점을 지녔기 때문에 34명 이주여성이 같은 질문을 듣고, 다르고 다양하게 답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담담하게, 때로는 비장하게, 때로는 용기 있게 마음속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들려줌으로써 지금 여기here and now에서 사는 모든 이에게 사람답게 사는 지혜와 더불어 사는 평화로운 세상을 제안해 준 이주여성 34명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이 책의 필자 중에는 이름을 밝힌 사람도 있지만, 이름을 밝히지 못한 이주여성이 우리 곁에 아직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안전한 공간이나 안전한 공동체를 꿈꾸는 사람으로서 미안한 마음을 전합니다. 이주여성이 들려준 모든 이야기는 한국 사회가 더욱 공감하고 연민하고 연대하는 사회로 확장해야 함을 침묵 속에서 큰 목소리로 외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 소개한 글을 읽고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을 함께 만들고자 스스로 깨닫고 실천하는 독자가 늘어난다면 책을 출간한 충분한 보람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에필로그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엮은이)
2015년 4월 빛고을 광주에서 설립했고, 지역사회와 지역교회와 함께 다문화교육, 평화교육, 인권교육을 통해 이주민과 선주민, 선주민과 선주민, 이주민과 이주민, 사람과 사람이 평화롭게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며 활동하는 비영리민간단체다. 연구소 대표 박흥순 박사는 영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고, 지금은 연구소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공무원, 시민단체, 주민과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교육에 관심을 둔다. 교육education이란 한방향 소통이 아닌, 페다고지pedagogy란 상호소통에 주목하는 활동가다. 연구소에서 출간한 책으로 『빛고을 광주 우리 안의 다문화 함께하는 다문화』, 『다문화사회 이야기마당』, 『시민과 함께하는 다문화이해교육 매뉴얼』, 『발바닥으로 인권을 만나는 평화로운 화요일』, 『이주민 목소리로 듣는 인권, 함께 만드는 평화』, 『5.18과 이주민, 인권도시 미래』, 『고통에 응답하는 평화로운 화요일』, 『인권현장으로 떠나는 평화로운 화요일』이 있다.

목차
이주민과 함께하는 인권 서로 배우기 -리셀 리 게그리모스·필리핀 13 언제나 당당하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이진영·중국 26 베트남은 남녀가 평등한데 한국 사회는-홍진아·베트남 35 내 이름은 메리암 디비나그라시아 마뉴엘 -메리암 디비나그라시아 마뉴엘·필리핀 43 글로벌 시민으로 사는 게 목표 -다나한·벨라루스 53 엄마가 어느 나라에서 왔니? -한신애·몽골 61 한국도 이제는 다민족국가? -김완서·베트남 69 월급 차별받는 게 가장 힘들어-이·베트남 77 중국을 무조건 비판하는 태도 삼갔으면 -김·중국85 한국이 분단국가라는 것조차 몰랐다 -홈테아라·캄보디아 93 쉬운 단어로 쉽게 설명하는 인권 강사가 좋아 -기따미 노리꼬·일본 100 베트남에서는 내가 빠른 편인데-응우엔 투이 흐엉·베트남 108 한국어가 미숙하다고 사람 자체가 미숙할까? -서영숙·중국118 중국에서 한국어 강사로 일하고 싶어-진·중국 123 시부모와 남편이 함께하는 인권교육 필요해 -김소연·베트남131 한국에도 장단점이 있다고 말하면-박·베트남 138 아들에게 떳떳한 엄마가 되고파 -김지선·베트남 145 인권, 차별하지 않는 것 -서민경·베트남151 내 입이고, 내 밥이다. 그리고 내 인생이다 -샤크노자·우즈베키스탄 159 나를 챙겨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생각에-성·베트남 167 여자들만 음식 만드는 추석 이해할 수 없어 -배한주·베트남173 따뜻하게 대해주는 사람이 훨씬 많아 -빈빈·중국 181 ‘우리 엄마 중국 사람이다’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딸-손선화·중국 188 베트남어 가르친다며 수업 거부한 유치원 아이들-한서윤·베트남 197 힘들고 어려울 때 힘이 되어준 시부모님 -신·베트남205 한국 이주 후회하지 않아-선여온·캄보디아 211 남편이나 시댁 식구도 이주여성 모국어 배우면 좋아-오·중국 217 친구가 광주 오면 무등산, 지리산, 한옥 보여주고 싶어-천리·중국 225 엄마 나라는 코끼리도 있는 멋진 나라다-애티나 사라·인도 231 다문화가족이라는 단어가 사라져야 -송·캄보디아237 아이들에게 엄마 모국어도 가르치길-장유미·베트남 245 자기 나라에서 살지 않고 왜 한국에 왔나?-강다인·필리핀 250 노동자로서 한국경제에 도움 주고 있어-티나·캄보디아 257 국적으로 정체성 강요하지 말아야-박향란·중국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