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496 | |
005 | 20230321141356 | |
007 | ta | |
008 | 230320s2023 ggka b 000a kor | |
020 | ▼a 9788955018356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230684 ▼2 23 |
085 | ▼a 302.230684 ▼2 DDCK | |
090 | ▼a 302.230684 ▼b 2023 | |
100 | 1 | ▼a 김원제 |
245 | 1 0 | ▼a 굿 콘텐츠 = ▼x Good content / ▼d 김원제, ▼e 이용준, ▼e 송해룡 |
260 | ▼a 파주 : ▼b 신영사, ▼c 2023 | |
300 | ▼a 365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59-365 | |
536 | ▼a 이 저서는 우송대 교양교육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700 | 1 | ▼a 이용준, ▼e 저 |
700 | 1 | ▼a 송해룡,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684 2023 | Accession No. 1118782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끊임없이 새로운 콘텐츠가 쏟아진다. 바야흐로 ‘콘텐츠 시대’다. 그런데 콘텐츠가 넘쳐나지만, 정작 무엇을 봐야 할지 고민이다. 볼 게 너무 많아 뭘 볼지 모르겠고, 반대로 눈앞에 펼쳐진 것은 많지만 정작 볼 게 없다고 탄식한다. 우리는 범람하는 콘텐츠 속에서 무엇을 즐길까 고민하기보다 배속 재생과 랜덤 재생, 연속 재생 등으로 내용물을 빠르게 흘려보내는 쪽을 택하고 있다.
‘콘텐츠 폭식’을 하게 되고, 급기야 콘텐츠 소화불량을 겪게 된다. 오늘 내가 무엇을 봤는지조차 기억이 나지 않는다. 콘텐츠로 인해 산만해지기만 하고, 나 자신을 잃는 듯한 기분이 든다. 콘텐츠 풍요 속에서 우리는 결핍을 겪는다. 지나치게 콘텐츠의 양이 많아져 소비자는 풍요 속 고독과 불안감을 겪고 있다. 콘텐츠의 범람이 우리에게 콘텐츠 소비 부담을 가져온 것이다.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는 늘 피곤하다. 지쳐 있다.
그래서 과로사회, 피로사회다.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는 재난재해, 사건사고로 점철된 세상에 불안하다.
그래서 위험사회다.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는 콘텐츠를 탐닉하고, 휴대폰에 집착한다.
그래서 콘텐츠 과잉, 디지털 중독사회다.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는 디지털 공간, 스마트 세상에서 박탈감을 경험한다.
그래서 격차사회다.
‘선한 영향력’이 화두다. 한 사람의 생각이나 행동이 긍정적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 선순환을 뜻한다.
콘텐츠의 긍정적인 사회적 역할·책무·효과가 강조된 ‘선한 영향력!’
콘텐츠는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사회적 영향력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간이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하는 일, 놀이, 삶의 방식에 변화를 결과한다. 사람들이 상호관계하면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대처하는 방식의 변경을 야기하는 사회·문화적인 결과이다.
이러한 사회적 영향력 가운데 특히 정서적 공감을 일으켜 긍정적 작용을 하는 영향력을 ‘선한 영향력’이라 할 수 있다. 선한 영향력은 낙관의 단계를 넘어 적극성과 진취성의 단계로 이끌어 자신은 물론 가족, 이웃, 사회, 대중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의 삶과 태도를 향상시키는 선순환 작용을 한다. 일이나 행동이 의미가 있어 긍정적 작용을 하면서 성과를 만들어내 인간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힘이라 하겠다.
끊임없이 새로운 콘텐츠가 쏟아진다. 바야흐로 ‘콘텐츠 시대’다. 그런데 콘텐츠가 넘쳐나지만, 정작 무엇을 봐야 할지 고민이다. 볼 게 너무 많아 뭘 볼지 모르겠고, 반대로 눈앞에 펼쳐진 것은 많지만 정작 볼 게 없다고 탄식한다. 우리는 범람하는 콘텐츠 속에서 무엇을 즐길까 고민하기보다 배속 재생과 랜덤 재생, 연속 재생 등으로 내용물을 빠르게 흘려보내는 쪽을 택하고 있다. ‘콘텐츠 폭식’을 하게 되고, 급기야 콘텐츠 소화불량을 겪게 된다. 오늘 내가 무엇을 봤는지조차 기억이 나지 않는다. 콘텐츠로 인해 산만해지기만 하고, 나 자신을 잃는 듯한 기분이 든다. 콘텐츠 풍요 속에서 우리는 결핍을 겪는다. 지나치게 콘텐츠의 양이 많아져 소비자는 풍요 속 고독과 불안감을 겪고 있다. 콘텐츠의 범람이 우리에게 콘텐츠 소비 부담을 가져온 것이다.
좋은 콘텐츠, 선한 콘텐츠가 요구되는 이유다.
우리는 좋은 콘텐츠를 기대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콘텐츠는 인간적이고 사회적인 선(善)한 콘텐츠다. 휴먼 콘텐츠, 해피 콘텐츠, 헬스 콘텐츠, 힐링 콘텐츠, 소셜 콘텐츠, 공정 콘텐츠다. 인간, 자연, 소통, 협력, 휴식, 치유, 공감, 위로, 안심, 포용 등을 키워드로 하는 콘텐츠다. 누구에게도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 콘텐츠다. 자극적이지 않은 콘텐츠다. 공감하는, 목적을 만드는, 행동하게 하는 콘텐츠가 좋은 콘텐츠다.
이 책에서 제안하는 좋은 콘텐츠, 선한 콘텐츠 향유를 통해 좋은 사람이 되고 더 나은 사회가 되길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송해룡(지은이)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방송학회장, 성균관대학교 사회대 학장, 문화융합대학원장, 국무총리 직속 국민안전안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넥스트 노멀>(2020, 공저),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시니어 비즈니스 블루오션>(2018,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쟁점과 과제>(2017),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아이디스오더:기술문명 스트레스와 그 극복>(2015, 역저), <디지털미디어시대 리스크 현실과 진단>(2014,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13,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미디어 비즈니스 시장과 생태계>(2010) 등이 있다.
김원제(지은이)
현재 (주)유플러스연구소 연구소장(대표이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공공 분야 연구기획, 프로젝트 및 자문, 기업비즈니스 컨설팅을 주업으로 하며, 다양한 사회현상에 대한 기획저술을 꾸준히 하고 있다. 저서로 <힐링 문화 비즈니스>(2022, 한국출판학회 올해의 책 선정), <넥스트 노멀>(2020, 공저),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시니어 비즈니스 블루오션>(2018, 공저), <위험사회를 넘어 안심사회의 조건>(2017, 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 <미디어스포츠 사회학>(2016 개정판),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13,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구텐베르크의 귀환>(2012,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스마트 미디어 콘텐츠 인사이트>(2011, 공저), <콘텐츠 실크로드 미디어 오디세이>(2009, 문화부 우수교양도서), <퓨전테크 그리고 퓨전비즈>(2007, 문화부 우수교양도서) 등이 있다.
이용준(지은이)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 회장과 대진대학교 정보전산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관리위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간행물윤리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규제개혁위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영상미디어문화콘텐츠위원회 위원장, 한국언론학회 출판과 커뮤니케이션연구회 회장,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영국 Center for Publishing of Stirling University의 Visiting Researcher를 역임했다. 저서로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구텐베르크의 귀환>(2012,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전자책 빅뱅>(2010, 공저)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전반부 : 개념 및 이론 살펴보기 1. 미디어가 환경인 세상, 미디어 사회 미디어 세상에 사는 우리는 호모 미디어쿠스 미디어 진화는 사회의 진보와 상호작용 미디어 진화의 원칙과 방식 호모 모빌리쿠스, 디지털 노마드 미디어와 정체성의 관계 가상세계와 자아의 문제 초연결사회, 미디어 환경의 변화 미디어 4.0 콘셉트로 진화 스마트 시대의 도래와 스마트미디어 스마트미디어 테크놀로지 인사이트 2. 일상의 콘텐츠, 콘텐츠라이프 콘텐츠의 개념 및 의미 스마트미디어 시대 스마트콘텐츠 콘텐츠 4.0 시대의 도래 테크놀로지 덕분에 콘텐츠 범주의 무한 확장 코로나19로 인한 콘텐츠 시장의 역설적 변화 가상융합(XR) 경제 시대 콘텐츠 비전 3. 굿 콘텐츠가 필요한 배경 맥락 지치고 피곤한 사회 (피로사회 | 과로사회) 불안하고 우울한 위험사회 (재난재해로 점철된 위험사회 | 코로나블루, 멘탈데믹) 디지털 중독·격차사회 (미디어 확장에 따른 위험요소, 디지털 리스크 | 집단지성이 낳은 디지털 피로감 | 코로나19에 따른 위험 이슈 | 디지털 중독, 호모 아딕투스의 시대 | 미디어콘텐츠와 디지털 격차) 4. 대안이론, 미디어 생태학 미디어 생태학적 고려의 필요성 미디어의 현실구성과 감각의 손실 커뮤니케이션 능력 상실에 대한 우려 미디어 빅뱅, 콘텐츠 과잉 시대, 생태학적 접근의 유용성 후반부 : 굿 콘텐츠 전경 톺아보기 1. 휴먼 콘텐츠 감성소통, 이모티콘 취향도 콘텐츠, 좋은 콘텐츠 비즈니스 정보·지식 공유 플랫폼으로 기능하는 유튜브 연대와 협력, 공실존의 미디어 애도 콘텐츠 죽음의 사회학, 부고 콘텐츠 좋은 콘텐츠의 집합, 잡지 2. 재미ㆍ행복 콘텐츠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콘텐츠 스낵컬처 시대, 콘텐츠 스낵 숏폼 동영상의 미학 음악 축제(페스티벌)와 일탈 건강을 챙겨주는 스포츠콘텐츠, 디지털 헬스 미디어와 음식 문화의 결합 음식 이미지 공유로 행복 추구하는 ‘먹스타그램’ 캐주얼 게임, 향수와 소통의 매개 테마파크와 몰입 체험 체험적 몰입을 극대화하는 노래방 콘텐츠 어르신들의 목적 있는 여행을 지원하는 콘텐츠 서비스 가상 관광, 스마트 여행 서비스 온라인 공연과 콘텐츠 경험의 확장 3. 안심ㆍ힐링 콘텐츠 위험사회, 불안 시대 안심 콘텐츠의 가치 힐링을 제공하는 미디어콘텐츠 오디오콘텐츠의 재발견 세대 통합의 음악콘텐츠, 트로트 킬링이 아닌 힐링의 게임 콘텐츠 진정한 위로를 건네는 애플리케이션 마음 챙김을 위한 명상 애플리케이션 VR 힐링 콘텐츠 XR, 경험 확장을 통한 사회적 치유 4. ESG 콘텐츠 사회적 책무의 가치, ESG 글로벌 콘텐츠업계의 ESG 활동 국내 콘텐츠업계의 ESG 추진 ESG 철학 보여주는 방송 프로그램 팬데믹-엔데믹 시대 일상회복과 콘텐츠 방탄소년단(BTS) 음악의 선한 영향력 포용적 경험과 포용 콘텐츠 사회적 이슈에 주목하는 착한 미디어 장애인 묘사와 미디어 다양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