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480 | |
005 | 20230322103723 | |
007 | ta | |
008 | 230320s2023 ggkad b 000a kor | |
020 | ▼a 9788946074286 ▼g 9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a 384.55502854678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23z1 | |
100 | 1 | ▼a 김동식 |
245 | 1 0 | ▼a OTT 시대의 미디어 백가쟁명 : ▼b 한국 미디어 시장을 이해하기 위한 세 가지 코드-멀티, 번들링, 온 디맨드 = ▼x Competitive dynamics in Korean pay tv & media markets / ▼d 김동식 지음 |
246 | 3 1 | ▼a Competitive dynamics in Korean pay tv and media markets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3 | |
300 | ▼a 326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27 |
500 | ▼a 부록: 1. 주요 통신서비스 연도별 가입자 현황(1000만 이상 가입 서비스 대상), 2. 주요 통신서비스 연도별 가입자 현황 | |
504 | ▼a 참고문헌: p. 321-326 | |
830 |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2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23z1 | 등록번호 11187826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7-0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23 2023z1 | 등록번호 1212630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23z1 | 등록번호 11187826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7-0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23 2023z1 | 등록번호 1212630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0년 ‘Olleh TV Skylife’(OTS) 정액형 상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IPTV 사업 성공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올레TV 가입자 600만, 매출 1조 시대’라는 새로운 목표가 제시되던 2012년, 인터넷-TV 사업의 격동의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그 시대의 화두는 IPTV였지만, 오늘날 우리는 OTT에 주목하고 있다.
IPTV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르기 시작하던 시점은 2011년이다. 이 책을 쓰면서 가장 많이 되돌아본 해이기도 하다. 가입자 및 매출 급증과 함께 키즈사업 및 IPTV 광고와 커머스, CUG, 학교·국방 IPTV 등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IPTV 사업이 성공의 반석을 다진 해라고도 할 수 있다. 2023년, 이제 우리는 OTT 시대에 들어섰다. 이에 맞춰 한국 미디어 시장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보고 앞으로 콘텐츠 미디어 업계가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자.
인터넷의 수월성, 스마트폰의 다매체 수용성,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의 고도화로 오늘날 미디어 백가쟁명의 시대가 되었다. 이 이면에 면면히
흐르는 것은 사람의 욕구다. 유료방송, OTT 등 다양한 미디어가 격돌하고 있으나 살아남는 것은 결국 고객을 제대로 이해하는 미디어일 것이다.
이 책은 2010년 ‘Olleh TV Skylife’(OTS) 정액형 상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IPTV 사업 성공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올레TV 가입자 600만, 매출 1조 시대’라는 새로운 목표가 제시되던 2012년, 인터넷-TV 사업의 격동의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그 시대의 화두는 IPTV였지만, 오늘날 우리는 OTT에 주목하고 있다. IPTV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르기 시작하던 시점은 2011년이다. 이 책을 쓰면서 가장 많이 되돌아본 해이기도 하다. 가입자 및 매출 급증과 함께 키즈사업 및 IPTV 광고와 커머스, CUG, 학교·국방 IPTV 등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IPTV 사업이 성공의 반석을 다진 해라고도 할 수 있다. 2023년, 이제 우리는 OTT 시대에 들어섰다. 이에 맞춰 한국 미디어 시장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보고 앞으로 콘텐츠 미디어 업계가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자.
‘콘텐츠는 왕, 미디어는 왕국(Contents is king, media is kingdom).’
인터넷 제국에서의 의사결정은 어느 한 사람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수많은 사람들의 욕구를 반영해 이루어진다. 시청자, 수용자, 소비자, 수요자, 그리고 비즈니스 관점에서는 고객이다. OTT 시대의 미디어 백가쟁명에서 승자도 결국 고객의 욕구를 얼마나 잘 충족시켜 주는가에 달려 있다. 그 가운데 어떤 미디어는 흡수되고, 어떤 미디어는 도태되기도 하면서 또 다른 미디어가 출현하기 전까지 경쟁은 계속될 것이다.
이 책은 시장 동학의 다양한 전개과정에서 궁극적인 승자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한다. 핵심은 고객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가다. 고객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지 비즈니스적인 측면으로만 해석할 일은 아니다. 고객이 있는 만큼 사회적인 책임 또한 막중하다. 그간 언론에 도배되었던 수많은 화재·장애·불통·멈춤 등은 자본의 이익만 앞세우고 고객에 대한 진정성이 없어 비롯된 것이다. 고객이 있는 기업이라면 그만큼의 책임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미디어 백가쟁명 시대에 단기적으로는 승리할지 몰라도 궁극적으로는 패배할 것이다.
‘사람의 관심’이라는 자원이 갈수록 희소해지고 있는 세상이 되었다. 이 책은 앞으로 미디어 사업의 성패는 많은 사람의 관심을 어떻게 끌어모으고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총 4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승전결 구조다. 이 책은 세 가지 관점에서 기존 콘텐츠 미디어 관련 서적과 차이가 있다. 첫 번째는 특정 미디어에 국한하지 않았고, 특정 시기에 한정하지도 않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다양한 미디어 간의 연관성과 상호작용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통신사업자의 시각에서 콘텐츠 미디어 시장을 바라보는 거의 유일한 책이라는 점이다. 세상은 다양한 견해와 이해의 상충 조절과정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균형 잡힌 사고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세 번째는 비즈니스 입장에서 미디어 콘텐츠 시장을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표피적인 현상과 사실의 나열이나 흘러가는 동향의 소개에 머무르지 않았다. ‘무엇’이 아니라 ‘왜’와 ‘어떻게’에 집중했다. 근본적인 원리와 본질을 쫓고자 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콘텐츠 미디어 업계에 종사하고 있거나 종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개론서로 널리 읽혔으면 한다. 나아가 콘텐츠 미디어 업계의 성장과 번영에 보탬이 되는 더 나은 통찰로 이어지길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동식(지은이)
샘이 깊은 고을(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영화의 도시가 된 전주에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진학했다. 대학교 4학년이던 1991년, 운이 좋게도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 대졸 공채시험에 합격했다. 1992년에 입사해 KT링커스 대표이사를 마치고, 현재는 자문역으로 있다. 어릴 때부터 텔레비전과 영화 보기를 좋아했다. 뚜벅뚜벅 걷기, 꾸벅꾸벅 졸기, 어슬렁거리기를 잘한다.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다’라는 중용 23장의 글귀를 사랑한다. 그리하여 성즉명(誠則明)이다.

목차
차례 제1부 밸류체인의 해체와 융합 제1장 산업 간 디커플링(Decoupling)의 시대 제2장 통신과 방송이 커플링되다 제2부 미디어 시장의 3국지 제3장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장에서의 3국지 제4장 유료방송시장에서의 3국지 제5장 IPTV 성장의 커다란 3개의 분기점 제6장 OTT 활성화에 따른 콘텐츠 시장 3국지 제3부 콘텐츠 미디어 시장을 관통하는 3개의 코드 제7장 한국 미디어 시장을 읽는 3개의 코드 제8장 멀티 (플랫폼) 제9장 (상품의) 번들링 제10장 고객의 요구에 따른 온 디맨드 세상 제4부 콘텐츠 미디어 시장의 미래 전망 제11장 한국 콘텐츠 미디어 시장의 미래 전망 제12장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