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442 | |
005 | 20230322170948 | |
007 | ta | |
008 | 230320s2023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67550965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6683262 | |
040 |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372.11 ▼2 23 |
085 | ▼a 372.11 ▼2 DDCK | |
090 | ▼a 372.11 ▼b 2023z1 | |
245 | 0 0 | ▼a 선생님의 학교 생활이 술술 풀렸으면 좋겠습니다 : ▼b 신규교사의 멘탈 관리부터 학습경영·상담·실무까지 / ▼d 김주창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우리학교, ▼c 2023 | |
300 | ▼a 259 p. : ▼b 삽화 ; ▼c 21 cm | |
500 | ▼a 공저자: 김현선, 이은혜, 이충효 | |
500 | ▼a 부록: 이런 문제를 마주한다면 어떻게 해결할까요? | |
504 | ▼a 참고문헌: p. 258-259 | |
700 | 1 | ▼a 김주창, ▼e 저 |
700 | 1 | ▼a 김현선, ▼e 저 |
700 | 1 | ▼a 이은혜, ▼e 저 |
700 | 1 | ▼a 이충효,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11 2023z1 | 등록번호 1118782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힘겨운 임용 준비 시절을 거쳐 막 교단에 내딛는 모든 신규교사에게 첫 학기, 첫 날은 마침내 오고야 만다. 수업은 대체 어떻게 준비하고, 학급경영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학부모들과는 무슨 이야기를 나누고 동료 선생님들과는 어떻게 지내야 할까? 모르는 것투성이에다, 심지어 자신이 무얼 모르는지조차 몰라 힘겨워하는 신규교사들을 위해 <신규교사 함께서기> 멘토링방을 운영해온 네 명의 교사가 발 벗고 나섰다. 교대에서도 가르쳐주지 않는 ‘진짜’ 교직 적응 지침서를 펴낸 것이다. <신규교사 함께서기> 멘토링방에서 이루어진 숱한 토론과 고민, 수많은 사례와 상담에서 끌어낸 귀중한 자료들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교사의 철학’에서부터 ‘학급경영’, ‘학생·학부모 상담’, 그리고 ‘교직실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교사들이 함께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이 책을 집필하였다.
혼자 부딪힐 때보다 다양한 경험과 비법을 갖춘 경력 교사들과 함께 고민을 나눌 때 현명한 해결책과 더불어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을 수 있다. 이 책은 학교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신규·저경력 교사들이 막막할 때마다 수시로 펼쳐볼 수 있는 책, 찾아가서 배움을 청하고 상의할 수 있는 옆 반 선생님 같은 책이 될 것이다.
어서와, 학교는 처음이지?
신규교사가 가장 알고 싶은 교직 적응 필살기!
힘겨운 임용 준비 시절을 거쳐 막 교단에 내딛는 모든 신규교사에게 첫 학기, 첫 날은 마침내 오고야 만다. 수업은 대체 어떻게 준비하고, 아이들과 함께하는 학급경영은 어떻게 실행할까? 학부모들과는 무슨 이야기를 나누어야 할까? 학교 동료 선생님들과는 또 어떻게 지내야 할까?
설렘만큼이나 걱정도 가득하다. 매일 매일 학교에서 우왕좌왕 고군분투 하느라 시간이 어떻게 지나는지 모른다. 그래서 해마다 신학기가 되면 교사 커뮤니티에는 갓 발령 난 신규교사들의 SOS가 줄지어 올라온다. 어떻게 가르치고 지도할지 모르는 것투성이에다, 심지어 자신이 무얼 모르는지조차 몰라 힘겨워하는 신규교사들을 위해 교직 경험이 풍부한 경력교사들이 발 벗고 나섰다.
『선생님의 학교 생활이 술술 풀렸으면 좋겠습니다』는 신규교사 멘토링방 ‘신규교사 함께서기’에서 비롯된 책이다. 2019년부터 3년 넘게 500여 명의 멘티 신규교사와 70여 명의 멘토 경력교사가 교직 적응을 돕는 멘토링 모임을 함께해 왔고, 숱한 토론과 고민, 수많은 사례와 상담에서 얻어낸 귀중한 교직 적응 필살기를 모아 책을 펴내기로 했다. 책을 쓰는 과정에서도 저경력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핵심을 담기 위해 고심하고 토론했다.
그 결과, 세찬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교직 생활의 뿌리에 해당하는 ‘교사의 철학’, 교사의 원칙과 개성이 만드는 ‘학급경영’, 학급 생활의 햇살과 토양이 될 ‘학생·학부모 상담’, 교사의 시간에 날개를 달고 교직 생활의 풍파를 막는 힘이 될 ‘교직실무’, 이렇게 4개의 파트로 큰 축을 세웠다. 이 4개의 축에 핵심적인 여러 기둥을 정밀하게 세우고, 다양한 실제 사례와 방법론, 실용적 자료와 지침을 알차게 담아 넣었기에 신규교사뿐만 아니라 경력이 오래된 교사들에게도 유용한 지침서로 손색이 없다.
처음 접하는 교직의 맛!
따뜻하고 친절한 신규교사 멘토링이 시작된다
하루하루 급급한 일들에 매몰되지 말고 차분히 내가 어떤 교사인지 ‘교사인 나’를 알아가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멘토 교사들은 제안한다. 교직 생활에 깊게 뿌리 내리기 위해서는 철학이 필요하다. 멘탈 관리는 이것에 기반한다. 1부 ‘교사의 철학’과 3부 ‘학생·학부모 상담’에서는 그래서 특히 ‘나는 어떤 교사인가?’를 반문하며, 스스로 뿌리 내리고 정립하는 교사의 기본기를 강조한다. 여기서 출발해야 학생, 학부모와의 조우가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
2부 ‘학급경영’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교사의 판단력, 적절한 거리두기, 교육철학의 일관성과 공정성을 강조하면서도 활기차고 재미난 학급경영 방법을 펼쳐 보인다. 아울러 교실환경 갖추기, 교사의 신학기 체크리스트, 학생들과 친해지면서 서로 이해하고 격려할 수 있는 교실 안 프로젝트, 경험 만들기 등이 다채롭게 소개되어 있어 큰 도움이 된다. 그 바탕에는 학생에 대한, 그리고 세상에 대한 ‘환대’가 있다.
4부 ‘교직실무’에서는 거의 모든 교사가 힘들어하는 학교 행정, 회계, 업무 영역에서 가름대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팁을 충실히 전달한다. ‘물어보면 나를 바보로 여기지 않을까?’ 싶을 만한 사소한 행정 관련 서류처리나 공문서, 기안서 작성과 처리, 회계나 인사 관련 업무까지 신규교사가 알아두면 좋을 실무 팁들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교직 실무를 잘 처리하면 교사의 시간에 날개를 달고, 교직 생활의 풍파를 견딜 수 있다.
고민이 깊어질수록, 혼자 부딪힐 때보다 다양한 경험과 비법을 갖춘 경력 교사들과 함께 고민을 나눌 때 현명한 해결책과 더불어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을 수 있다. 이 책은 학교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신규·저경력 교사들에게 막막할 때 수시로 펼쳐볼 수 있는 책, 찾아가서 배움을 청하고 상의할 수 있는 옆 반 선생님과 같은 책, 교대에서도 가르쳐주지 않는 ‘진짜’ 교직 적응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주창(지은이)
경기 미곡초등학교 호기심이 많아 항상 새로운 일을 벌이며, 시골 학생들과 좌충우돌 흥미진진하게 생활하는 도시 교사다. 2013년 ‘올해의 과학교사상’(과학·수학교육 부문)을 수상했고,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수학 교과서(국정·검정) 집필진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는 『기하 왕국의 규칙에 담긴 비밀』, 『매쓰 왕자와 지구의 비밀』 등이 있다.
김현선(지은이)
전남 대동향교초등학교 ‘교육의 전문가는 교사다’라는 신념을 현실화하기 위해 분야를 막론하고 공부 중이다. 특히 언어 공부를 좋아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 수어를 배우며 다양한 문화권과 교실을 잇는 작업을 즐긴다. 신규 시절의 힘든 기억 때문에 저경력 교사들을 지원하는 오픈톡 멘토링 <신규교사 함께서기>를 조직해, 벌써 5년째 ‘느을’이란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은혜(지은이)
전남 오룡초등학교 세상의 모든 것을 좋아하는 영원한 소녀로, 보드 게임, 사물놀이, 합창, 뮤지컬, 그림책, 경제교육 등 좋아하는 것들이 가득한 교실을 사랑한다. 신규교사들을 돕고 싶다는 마음으로 <신규교사 함께서기>에 동참한 지 어느덧 3년 차에 이르렀다. 학생, 교사,학부모가 함께 성장하며 더 행복한 삶으로 나아가는 교육을 꿈꾸며 연구하고 있다.
이충효(지은이)
전남 광영초등학교 ‘다름을 알고 함께 자라는 우리, 다알자!’라는 학급 브랜드를 가지고 학생들과 일곱 번째 만남을 하고 있다. ‘기록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반’을 목표로 항상 카메라를 들고 학생들의 활동 모습을 관찰하고 사진과 영상으로 추억을 담는 것을 교직의 소소한 즐거움으로 삼으며 가르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따뜻하고 친절한 신규교사 멘토링을 시작하며 4 1부 수많은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교직 생활의 뿌리/ 교사의 철학 1장 교사 철학의 틀을 세우는 준비 17 교사상의 부재가 불러온 문제 19 교사상 정립을 위한 교사 유형 이론 22 2장 학생과 학부모, 교실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28 교사상을 다듬기 위한 공부 28 감정코칭의 아이·학부모 유형 31 교실 이해도를 넓히는 교실 페이즈 0~4단계 36 3장 학생 이해도를 높이는 바탕 이론 41 학생과 함께 교사가 크는 성장형 마인드셋 42 학생 이해를 돕는 삼위일체뇌 이론과 욕구 5단계설 47 아이들을 꽃피우는 자기결정성 이론 55 2부 교사의 원칙과 개성이 이루는 학급이란 소우주/ 학급경영 1장 학급경영을 위한 기본기 71 학급경영이야말로 교사의 핵심적 활동 72 필수 1 : 흔들리지 않는 교사의 판단 갖추기 75 필수 2 : 재미와 의미를 담은 나만의 교육철학 갖추기 78 필수 3 : 냉정과 열정 사이, 적당한 균형 잡기 80 필수 4 : 서두르지 않기, 학급경영은 1년간의 긴 마라톤 82 2장 2월부터 미리 시작하는 신학기 준비 87 필수 1 : 교실 구석구석 살펴보기 87 필수 2 : 교사용 컴퓨터와 주변기기 환경 점검하기 91 필수 3 : 학생을 반기는 교실 분위기 만들기 95 3장 의미를 담아 함께 자라는 교실의 한해살이 98 생활지도 : 다름을 이해하는 우리 반 99 특색활동 : 하나가 되어가는 우리 반 117 종업식과 졸업식 : 헤어짐 준비하기 3부 학급 생활의 햇살과 토양 / 학생·학부모 상담 1장 수업만큼 중요한 학생·학부모 상담 139 좋은 상담에 이르기까지의 우여곡절 140 학생의 자립과 성장을 위한 소통, 바로 상담 143 학생·학부모 상담, 부담에서 성장으로 145 학생의 장점에서부터 이야기 풀어가기 147 2장 학생 상담 : 생활지도의 또 다른 이름 151 학급 전체 지도 152 학생 상담을 위한 준비 작업 158 학생 개별 상담 160 3장 학부모 상담 : 학생의 성장을 위한 동맹 173 학부모 상담 주간 운영하는 방법 174 상담 이후 피드백하기 181 4장 잘못된 상담의 다양한 실제 사례 184 1학년 학생 다툼에서 시작된 학부모 전체 상담 사례 184 학부모가 학교로 쫓아와서 교사를 협박한 사례 187 성격 강한 학생과 잘못된 줄다리기를 한 사례 191 과연 교사는 어떻게 행동하고 말해야 했을까? 194 4부 교사의 시간에 날개를 달고, 교직 생활의 풍파를 막는 힘/ 교직실무 1장 이것만은 알아둬야 할 교직 상식 199 공문서, 아는 만큼 보인다 201 공문서에 대해 질의사항이 생길 때 208 인사를 알아야 내 권리를 찾는다! : 휴가와 휴직 210 인사를 알아야 내 권리를 찾는다! : 겸직, 외부강의 및 징계 220 인사를 알아야 내 권리를 찾는다! : 기타 인사 사항 227 (국외자율연수, 41조 연수, 출장, 초과근무, 대학원 과정) 2장 학교의 업무와 용어 이해하는 법 234 학교 업무분장표 살펴보기 235 학교 행정용어와 회계용어 살펴보기 238 에필로그 : 서로에게 손을 내미는 교사의 ‘함께서기’를 위하여 243 부록 : 이런 문제를 마주한다면 어떻게 해결할까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