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9
헌정애국주의와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지향한 시민교육의 과제
1. 헌정애국주의와 시민교육 13
2.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시민교육 20
3. 헌정애국주의와 보이텔스바흐 합의에 지향을 둔 시민교육의 접근방안 29
제2장 46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지향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함의와 적용방안
1. 국가교육학과 모순론: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발단 50
2.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부응하는 보이텔스바흐의 함축의미 53
3.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반영한 수업방안 63
제3장 81
시민교육의 교수학습원칙과 실천방안
1. 시민교육의 원칙에 대한 합의 가능성 83
2. 교수학습원칙과 다중관점 지향 시민교육 90
3. 평생교육 차원에서 바라본 교수학습원칙 98
4. 교수학습원칙의 실천방안 106
제4장 125
논쟁문화의 조성을 위한 논쟁교육의 과제
1. 논쟁문화와 논쟁교육의 관계 128
2. 논쟁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133
3. 논쟁교육의 착근을 위한 기준 145
제5장 158
시민교육에서 논쟁성의 원칙에 관한 담론과 함의
1. 논쟁성의 원칙에 관한 논쟁 161
2. 논쟁성의 원칙과 관련한 포용적 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168
3. 논쟁성의 원칙을 적용한 수업방안 173
제6장 191
다양성교육과 내러티브역량
1. 다양성교육의 이론적 기초 193
2. 다양성과 내러티브역량 198
3. 내러티브역량과 다양성교육 그리고 세계시민교육 206
색인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