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438 | |
005 | 20230322170924 | |
007 | ta | |
008 | 230320s2023 ulka AQ 000a kor | |
020 | ▼a 9788968507052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0 ▼a 658 ▼2 23 |
085 | ▼a 330 ▼2 DDCK | |
090 | ▼a 330 ▼b 2023z1 | |
245 | 2 0 | ▼a (연세대학교 상경대학과 경영대학의 명예교수님들이 추천하는) 경제학과 경영학의 명저들 / ▼d 이두원, ▼e 이지만 편 |
260 | ▼a 서울 : ▼b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23 | |
300 | ▼a 279 p. : ▼b 삽화 ; ▼c 23 cm | |
700 | 1 | ▼a 이두원, ▼d 1964-, ▼e 편 ▼0 AUTH(211009)81688 |
700 | 1 | ▼a 이지만, ▼e 편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 2023z1 | 등록번호 1118782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제학 분야에서 다섯 편의 명저를 그리고 경영학 분야에서 세 편의 명저를 선정하여, 모두 8인의 명예교수님들이 각 책의 핵심적인 내용을 축약하고 번역하게 된 것이다.
경제학 분야에서 다섯 편의 명저를 그리고 경영학 분야에서 세 편의 명저를 선정하여, 모두 8인의 명예교수님들이 각 책의 핵심적인 내용을 축약하고 번역하게 된 것이다. 젊은 학생들은 이제까지 그래프와 수식으로만 경제학과 경영학의 이론들 을 공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된 원문을 읽어보면 각 명저의 저자들이 얼마나 방대한 지식과 수많은 고민, 그리고 뛰어난 통찰력을 가지고 이 명저들을 저술하였는지 알게 될 것이며, 그들의 주장이 왜 아직도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큰 함의 를 주는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준석(지은이)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 - 인디아나 대학교 경영학 박사(DBA)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정보시스템: 1982 ~ 2014) - 한국 경영정보학회 회장(2002) - 태평양.아시아 정보시스템 국제학술대회 의장(PACIS: 2001)
박헌준(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영대학과 대학원,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술진흥재단 연구지원부장,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부원장, 한국협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미국 볼링그린 주립대학교와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가르쳤고, 2006년 현재 유펜 와튼 스쿨 객원교수,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세철(지은이)
1943년에 태어나 연세대학교 졸업. 노스웨스턴(Northwestern)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직행동, 사회심리학, 사회학 분야의 공부를 하고, 1975년에 조직행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사회심리학’, ‘한국사회변동과 조직’ 등의 강의를 맡고 있다. 민중회의, 민중정치연합, 정치연대, 노동자의힘(준)대표, 사회주의노동자연합 운영위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국제코뮤니스트전망과 사회실천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문화사회학방법론」(1984),「파시즘의 대중심리」(1987),「조직사회학」 (1981),「자본주의의 쇠퇴」(2009)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문화와 사회심리 이론」(1981)「동구제국의 사회와 문화」(1987),「맑스주의, 조직의 정치경제학, 그리고 한국사회변혁」(1993),「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2001),「사회주의와 노동자정치」(2004), 편저로「좌익공산주의」(2008) 등이 있다.
홍훈(지은이)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다. 연세대학교와 뉴욕 사회과학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후, 경제사상, 정치경제학, 경제이념, 행동경제학 등을 가르치며 연구해왔다. 현재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이념과 이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신동천(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원장이다.
이지만(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부와 석사학위를 마친 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에서 인사관리와 노사관계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INSEAD 경영대학원 연구원, 미국 하바드 대학과 일본 도시샤(同志社) 대학 방문학자로서 다양한 국가에서 교육과 연구 활동을 하였다. 연세대학교 대학언론사 편집인 및 연세춘추 주간, 한국중소기업학회 회장을 맡은 적이 있으며, 고용정책심의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경제사회발전 노사정위원회, 저출산ㆍ고령사회위원회, 그리고 동반성장위원회 등에 참여하였다.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및 경영전문대학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이두원(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김학은(지은이)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부 명예교수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부 교수 미국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경제학과 조교수 University of Pittsburgh, Ph.D. 경제학박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사
정창영(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현)
윤석범(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현)

목차
1장 이두원·이지만, 『서문』 2장 윤석범,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 해제(解題) 3장 신동천, 데이비드 리카아도의 『정치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에 관하여』 4장 홍훈, 다시 보는 칼 맑스의 『자본론』 5장 정창영, 존 메이야드 케인즈의 『일반이론』 6장 김학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노예의 길』 7장 오세철, 빌헬름 라이히의 『파시즘의 대중심리』 8장 박헌준, 리처드 루멜트의 『좋은 전략, 나쁜 전략』 9장 김준석·박주연·김치헌, 『변화와 혁신: 혁신역량을 키울 때 창의성의 꽃이 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