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420 | |
005 | 20230404101916 | |
007 | ta | |
008 | 230320s2023 tgka b SC 000a kor | |
020 | ▼a 9788971806005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09 ▼2 23 |
085 | ▼a 897.09 ▼2 DDCK | |
090 | ▼a 897.09 ▼b 2023z1 | |
100 | 1 | ▼a 김주현, ▼g 金宙鉉, ▼d 1966- ▼0 AUTH(211009)26563 |
245 | 1 0 | ▼a 계몽과 심미 : ▼b 한국 현대 작가·작품론 / ▼d 김주현 |
260 | ▼a 대구 : ▼b 경북대학교출판부, ▼c 2023 | |
300 | ▼a 426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경북대학교 학술총서 ; ▼v 2 |
504 | ▼a 참고문헌: p. 416-426 | |
536 | ▼a 본 저서는 <2022년 경북대학교 연구학술총서 집필 및 출간지원사업>의 재원으로 출간되었음 | |
830 | 0 | ▼a 경북대학교 학술총서 ; ▼v 2 |
900 | 1 0 | ▼a Kim, Ju-hyeon,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 2023z1 | 등록번호 1118782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주현(지은이)
밤하늘에 별이 하늘 가득 빛나는 소백산 자락 부석에서 태어났다. 자라면서 가통을 적실히 지켜나가라는 가친의 뜻을 따라 학문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상, 김동리, 최인훈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으며, 최근 신채호를 비롯한 애국계몽기 문인들에 대해 집중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상 소설 연구』(1999), 『정본 이상문학전집』(전3권, 2005), 『신채호문학연구초』(2012), 『김동리 소설 연구』(2013), 『실험과 해체-이상 문학 연구』(2014), 『계몽과 혁명-신채호의 삶과 문학』(2015), 『화두를 찾아서-문학의 화두, 삶의 화두』(2017), 『신채호 문학 주해』(2018), 『선금술의 방법론-신채호의 문학을 넘어』(2020), 『선금술의 방법론2-춘원, 이상과 동리의 문학을 넘어』(2021) 등이 있으며, 편저로는 『백세 노승의 미인담(외)』(2004), 『이상단편선-날개』(2005), 『단재신채호전집』(2008) 등이 있다. 제32회 김환태평론문학상(2021)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 작가론 제1장 | 영웅에서 민중으로-신채호 문학론 제2장 | 실험과 해체-이상 문학론 제3장 | 설화와 현실, 그리고 역사 세계-김동리 문학론 제4장 | 구상에서 추상으로-최인훈 문학론 제2부 - 소설 작품론 제5장 | 계몽의 언어와 시대적 한계-이해조의 「자유종」론 제6장 | 일제 패망과 한국 해방의 참언(讖言)-신채호의 「용과 용의 대격전」론 제7장 | 실존과 반공 이데올로기의 선택-황순원의 『카인의 후예』론 제8장 | 산업사회에서 열린 사회로의 지향-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론 제9장 | 모순된 세계에서의 갈등과 좌절된 욕망-이문열의 『사람의 아들』론 제10장 | 이념 와해 시대에 진정성 찾기-최인훈의 『화두』론 제3부 - 시 작품론 제11장 | 신령주의와 민중 문학-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론 제12장 |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낭만적 승화-이상의 「절벽」론 제13장 | 해체와 전위-장정일의 「길안에서의 택시 잡기」론 제4부 - 원전과 정전 제14장 | 원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15장 | 신채호 문학과 정전의 문제 보론 - 문학과 다른 장르 소설과 영화의 미적 차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