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4357 | |
005 | 20230322114545 | |
007 | ta | |
008 | 230320s2023 ulk 000a kor | |
020 | ▼a 9788999728358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5 ▼2 23 |
085 | ▼a 155 ▼2 DDCK | |
090 | ▼a 155 ▼b 2023 | |
245 | 0 0 | ▼a 한국인의 발달과업 = ▼x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s / ▼d 여태철 [외]공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 |
300 | ▼a 200 p.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인규, 윤경희, 이성진, 임은미, 임진영, 황매향 | |
700 | 1 | ▼a 여태철, ▼g 余泰澈, ▼d 1965-, ▼e 저 ▼0 AUTH(211009)117843 |
700 | 1 | ▼a 김인규, ▼g 金仁奎, ▼d 1967-, ▼e 저 ▼0 AUTH(211009)77909 |
700 | 1 | ▼a 윤경희, ▼g 尹京喜, ▼d 1957-, ▼e 저 ▼0 AUTH(211009)137268 |
700 | 1 | ▼a 이성진, ▼g 李星珍, ▼d 1934-, ▼e 저 ▼0 AUTH(211009)107218 |
700 | 1 | ▼a 임은미, ▼g 任銀美, ▼d 1965-, ▼e 저 ▼0 AUTH(211009)36054 |
700 | 1 | ▼a 임진영, ▼g 任眞永, ▼d 1963-, ▼e 저 ▼0 AUTH(211009)58806 |
700 | 1 | ▼a 황매향, ▼g 黃梅香, ▼d 1965-, ▼e 저 ▼0 AUTH(211009)129175 |
900 | 1 0 | ▼a Yeo, Tae-chul, ▼e 저 |
900 | 1 0 | ▼a Kim, In-gyu, ▼e 저 |
900 | 1 0 | ▼a Yoon, Kyung-hee, ▼e 저 |
900 | 1 0 | ▼a Lee, Sung-jin, ▼e 저 |
900 | 1 0 | ▼a Lim, Eun-mi, ▼e 저 |
900 | 1 0 | ▼a Im, Jin-young, ▼e 저 |
900 | 1 0 | ▼a Hwang, Mae-hyang,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5 2023 | Accession No. 1118781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성진(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석사 미국 George Peabody 대학 심리학과 석사 미국 The University of Kansas 교육심리학 박사 서울대학교 교수, 명예교수 미국 Kansas주 공인 Certified Psychologist 미국 Kansas 주립병원 임상심리학자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카운슬러협회 회장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소장 한국행동분석학회 이사장 대통령 특별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상훈: 국무총리 표창, 대통령 표창, 천원교육상,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상 저서: 교육심리학서설, 행동수정, 한국인의 성장·발달 등
황매향(지은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석사, 박사(교육상담 전공) 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김인규(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학 전공(교육학 박사, Ph.D) 현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임은미(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학사학위를, 동대학 일반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Indiana University에서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전공, 교육공학(Instructional Systems Technology) 부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면서 미국과 스위스에서 연구하였다. 영국 교육부 교육과정 심의위원을 역임하였고,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유치원 평가위원으로 활용하였으며, 현재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유치원위원회 심의위원, OMEP 한국위원회 이사,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부 이사, 서울특별시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 행정교육부문 심의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부 <유아와 함께 하는 인공지능교육>와 육아정책연구소 <디지털 기반 유치원 교수·학습·평가(관찰) 관련 제도 정비 및 구현 방안 연구>의 연구진으로 참여하였다. 교육방송 eduTV <공감>에 출연하여 “자녀와의 소통, 이대로 괜찮은가”라는 주제로 강연하였으며, 현재 K-MOOC에서 “KinderTech: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유아교육” 강의 중이다. 최근의 관심 연구분야는 유아교육에서의 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교육생태계, 디지털 교수학습 통합플랫폼, 테크놀로지의 통합적 활용(Technology Integration in ECEC), 학습분석(Learning Analysis), 우연적 발견 세렌디피티(Serendipity)이다. 현재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는 《유아교사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의 모든 것》, 《가치(Value)로 풀어보는 유아교실 이야기》,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한 유아교과교육론》 등이 있다.
임진영(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박사(교육심리 전공) 現)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前)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前)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주요저서: ‘인간의 학습(공역)’, ‘인간발달과 상담(공저)’, ‘생애발달과 교육(공저)’ 외 다수
윤경희(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박사(교육심리 전공) 현재 경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여태철(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석사, 박사(교육심리 전공) 연구 분야: 아동 및 청소년의 정의적 특성 발달, 심리 검사 개발, 학교 적응 및 부적응

Table of Contents
1장 지적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2장 정서적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3장 도덕성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4장 진로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5장 기본 생활능력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6장 성·결혼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7장 가족 내 역할 인식 발달과업 1. 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20대 5. 30대 6. 40대 7. 50대 8. 60대 이후 발달과업 목록 영역별 발달과업 체크리스트